• 제목/요약/키워드: 응답성

검색결과 5,507건 처리시간 0.039초

무선 ATM 망에서의 ABR 전송률 제어 알고리즘 응답성 개선 방안 (Responsiveness-Enhancing Scheme for ABR Rate Control Algorithms in Wireless ATM Networks)

  • 민구;최명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7권3호
    • /
    • pp.370-380
    • /
    • 2000
  • Asynchronous Transfer Model(ATM)에 기반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망에서 best effort 형태의 서비스 지원을 위해 Available Bit Rate(ABR)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미 제안된 많은 수의 ABR 전송률제어 알고리즘들은 정확하게 적정전송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exact fair rate calculation algorithm)과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approximate fair rate calculation algorithm)의 두 분류로 크게 구분 될 수 있다. 정확하게 적정전송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공정성과 응답성(responsiveness)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무선ATM 환경 하에서는 무선링크의 가용대역폭이 무선채널의 오류특성으로 인해 시변(time-varying)하므로, 정확하게 적정전송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무선ATM 환경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대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들의 응답성이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는 특성으로 인해 가용대역폭이 시변하는 경우 알고리즘 성능의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들을 위한 응답성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응답성이 개선된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의 한 예로 응답성이 개선된 EDMRCA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시하는 알고리즘이 EDMRCA보다 응답성 측면에서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인다.

  • PDF

비대칭 망에서 TCP 성능 향상을 위한 동적 응답 패킷 재생성 기법 (A Dynamic ACK Regeneration Scheme to Improve TCP Performance over Asymmetric Networks)

  • 안준철;이지현;임경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562-564
    • /
    • 2005
  • 비대칭 율이 높은 비대칭 망에서 동작하는 TCP의 성능은 상향 링크의 혼잡 발생 여부에 좌우된다. 상향 링크에 실리는 응답 패킷 트래픽이 링크의 대역폭을 넘어서게 되면 응답 패킷이 손실되거나 전송 지연이 길어져서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향 링크의 혼잡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응답 패킷 필터링/재생성 기법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기법의 문제점을 해결한, 송신측 TCP의 상태에 따라 응답 패킷 재생성 작업을 수행하는 동적 패킷 재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정확한 응답 패킷을 재생성하고, 이를 순서 뒤바뀜 없이 송신측에 전송하도록 하여 혼잡 제어 구간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 TCP가 혼잡 제어 상태에 있는 동안에만 응답 패킷 재생성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응답 패킷 트래픽과 패킷 재생성에 드는 부하를 줄인다.

  • PDF

선사상 기법을 통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응답성 향상 (Improving Responsiveness of Android Smartphones via Premapping Mechanism)

  • 김정호;허승주;홍성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61-62
    • /
    • 2013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응답성은 중요한 성능 이슈이다. 스마트폰 응용 구동 시 응답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수많은 페이지 부재 처리기의 수행 시간이다. 선사상 기법은 페이지 부재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법이지만, 선사상할 페이지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는 요구 사상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응답성 향상을 위해 커널이 안드로이드 런타임과 라이브러리의 도움을 받아 선사상할 페이지를 예측하는 선사상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은 기존 시스템에 비해 웹 브라우저 응용의 응답 시간을 최대 3.25% 단축할 수 있었다.

  • PDF

응답스펙트럼법에 의한 고층 건축물의 탄소성 지진응답해석법 (Nonlinear Response Analysis of Multi-Degree-of-Freedom Building Structures Using Response Spectrum Method)

  • 전대한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권4호
    • /
    • pp.1-9
    • /
    • 1997
  • 본 논문은 고층건물의 지진응답해석에서 탄성 및 탄소성 응답스펙트럼 해석법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선형 구조물의 지진응답 해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응답스펙트럼법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서로 다른 모드 조합방법으로 제안되었으며, 이들 조합방법에 따른 차이점을 상세히 검토하였다. 탄소성 지진응답해석에 응답스펙트럼법은 아직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주기를 갖는 고층 건물의 탄소성 지진응답해석에 응답스펙트럼을 확장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탄소성 응답스펙트럼법을 이용하면, 고층건물의 예비 설계에서 시간이력해석 대신으로 보다 간편히 탄소성 응답치를 예측하는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ethanol, N,N-dimethylformamide 및 Acetonitrile 속에서 유리전극의 pH 응답성 (The Response Characteristic of Hydrogen-responsive Glass Electrode in Methanol, N, N-dimethylformamide and Acetonitrile)

  • 문수찬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9-156
    • /
    • 1972
  • 메타놀, N,N-디메칠포름아미드 및 아세토니트릴 속에서 유리전극의 pH 응답성을 여러가지 pH의 완충용액으로 시험한 바 전극을 물속에 보관하는 것보다 측정하고저 하는 용매속에 보관하는 것이 더 빨리 전위가 안정되었다. 같은 용매에서 용액의 염기성에 비례하여 응답속도가 느리고 강염기성 용액에서는 안정한 전위를 얻기 어려웠다. 산성용액에서의 pH 응답성은 보다 빠르나 같은 용액의 pH 측정에서도 전극의 사용한 이력에 따라 응답성과 측정치에 차이가 생겼다.

  • PDF

응답자의 성격특성과 응답스타일 (Personality Traits and Response Styles)

  • 김석호;신인철;정재기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2호
    • /
    • pp.51-76
    • /
    • 2011
  • 본 연구는 조사항목에 체계적으로 응답하는 경향인 응답스타일과 성격특성과의 관련을 탐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용에 관계없이 설문문항에 긍정적으로 응답하는 경향인 묵인응답스타일(ARS)와 가장 극단의 응답범주를 지지하는 경향인 극단응답스타일(ERS)이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등 성격 5요인 모형에 의해 어느 정도 설명되는지를 검증한다. 2009년 일반종합사회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응답자의 특성과 면접상황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성격특성변수가 ERS와 ARS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ERS의 발생은 응답자의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과 정적인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ARS는 성격특성과의 관련이 발견되지 않았다. 분석결과의 함의와 함께 응답스타일에 따른 편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과 그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 PDF

내부공진을 가진 원판의 조합공진응답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Combination Resonance Responses of a Circular Plate with Internal Resonance)

  • 이원경;김철홍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한국과학연구소, 21 May 1993
    • /
    • pp.23-29
    • /
    • 1993
  • 내부공진 (.omega.$_{3}$ = .omega.$_{1}$ + 2.omega.$_{2}$)을 가진 원판 의 조합공진(.OMEGA. = 2.omega.$_{1}$ + .omega.$_{2}$)응답의 안정성 을 해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진폭이 0(.alpha.$_{1}$=.alpha.$_{2}$=.alpha.$_{3}$=0)인 공진응답 은 매개변수의 값에 관계없이 안정하다. 2) 모든 진폭이 0이 아닌 (.alpha.$_{1}$.neq.0, .alpha.$_{2}$.neq.0, .alpha.$_{3}$.neq.0) 공진응답은 쌍으로 존재하는데 진폭이 큰 응답(upper branch)은 안정하나 진폭이 작은 응답(lower branch)은 불안정하다. 3) 진폭이 0이 아닌 공진응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형계와 마찬가지 로 모든 진폭이 0이 공진응답(결과적으로 비공진 응답)이 계의 응답을 지배 하지만 모든 진폭이 0이 아닌 공진응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안정한 공진응 답이 2개이므로 초기조건이 실제의 응답을 결정하게 된다.

  • PDF

질의응답문서 검색에서 문서구조를 이용한 질의재생성에 관한 연구 (Query Reconstruction for Searching QA Documents by Utilizing Structural Components)

  • 최상희;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9-243
    • /
    • 2006
  • 질의응답문서는 이용자가 입력한 질의, 질의설명, 답을 아는 다른 이용자가 제시한 응답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문서로서, 최근 웹 문서처럼 검색이 일반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정보원이다. 이 연구에서는 질의응답문서의 구조적 특성을 기반으로 질의를 재생성하여 질의응답문서의 검색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질의재생성 실험에서 성능이 비교된 문서구조는 질의와 응답내용이다. 질의를 기반으로 질의를 재생성하는 방식에서는 질의응답검색 시스템에 입력되어 있는 유사질의를 활용하여 클러스터링하는 기법이 적용되었다. 응답정보를 기반으로 질의를 재생성하는 방식에서는 가장 유사한 기존 질의에 대해 응답된 내용에서 단락검색으로 적합한 문장들을 선정하여 활용하는 기법이 적용되었다. 실험 결과 응답정보를 활용하여 질의를 재생성하는 방식이 정확률은 유지하면서 더 다양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한 테스트컬렉션 구축 (Construction of Test Collection for Evaluation of Question Answering System)

  • 이경순;김재호;최기선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pp.190-19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질의에 대해 대답을 제시하는 질의응답시스템의 평가를 위한 테스트컬렉션을 구축하였다. 질의응답시스템 평가를 위한 테스트컬렉션은 207,067개의 문서, 90개의 질의, 각 질의에 대한 적합성 판정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서집합은 신문기사로 SGML형식으로 가공되었고, 질의는 다양한 유형의 질의와 변형질의를 포함한다. 적합성 판정 집합은 각 질의에 대해서 문서에 대답을 포함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적합/부적합으로 판정하였고, 적합한 문서에 대해서는 대답을 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질의응답시스템 평가를 위한 테스트컬렉션은 질의응답시스템의 객관적인 신뢰성 평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응답면기법을 이용한 적응적 중요표본추출법 (Adaptive Importance Sampling Method with Response Surface Technique)

  • 나경웅;김상효;이상호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4호
    • /
    • pp.309-320
    • /
    • 1998
  • 중요표본추출기법중에서도 층화표본추출법을 이용한 적응적 중요표본추출기법이 일반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확률장 유한요소모형문제와 같이 기본 확률변수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층화표본추출법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표본점의 규모가 급증하여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층화표본추출에서 기본확률변수를 사용하는 대신에 기본확률변수들의 함수이며 새로운 확률변수인 응답값을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여기에서 응답값은 일반적인 함수형태로 표시되지 않으며, 한 번의 응답계산에 많은 계산량이 소요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답면식을 이용한 층화표본추출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법에서는 기본확률변수의 모의발생규모는 기본의 기본확률변수를 이용한 층화표본추출법에서 보다 증가하지만 매우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실제응답해석규모는 응답면식을 이용함으로써 획기적으로 감소되었다. 특히 본 기법은 기본확률변수의 규모가 크고 대상한계상태의 파괴확률이 낮을수록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