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급 시스템

Search Result 41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위험관리정보 2: 응급 의사소통 시스템(ECS)에서 명료한 음성 전달을 위한 10가지

  • Jeong, Jeong-Ho
    • 방재와보험
    • /
    • s.140
    • /
    • pp.30-37
    • /
    • 2011
  • 응급 의사소통 시스템(ECS)은 세심한 계획, 설계시공 및 사용이 요구된다. 음성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시스템은 수많은 사용자, 관계당국, 종사자 및 전문가와 관련된 수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관련 당사자와 전문가가 결정되고 응급 의사소통 시스템(ECS) 프로젝트의 초기 설계 단계부터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성 전달 시스템은 통상적인 화재 경보 시스템과는 많이 다르기 때문에, 엔지니어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고 새로운 설계 기법 또는 경험이 있는 새로운 전문가를 찾아 협력해야 한다. 관계 당국과 건물주는 응급 의사소통 시스템(ECS)의 설계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응급 의사소통 시스템(ECS)의 음성 메시지를 무시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전달하는 것은 응급 상황 시 음성을 이용한 의사소통의 효과와 품질을 위태롭게 하는 것이다.

  • PDF

ICT 기술을 이용한 응급상황에서의 구급차 위치관제 시스템

  • Park, Jeong-Jin;Yu, Seon-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2
    • /
    • pp.3-9
    • /
    • 2014
  • 본고에서는 ICT 기술이 헬스케어 기술과 접목되어 우리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응용 분야 중에서, 응급상황에서 적용가능 한 응용 시스템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응급시스템 중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응급접점에서 환자와 관제센터를 연결하여 생명의 구명과 직결되어 있는 ICT-기반 구급차 관제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설계의 내용에는 구급차의 위치와 방향을 효과적으로 관제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하며, 환자가 응급 처치를 신속히 받을 수 있으며, 관제시스템은 최단거리에 있는 최적의 병원을 찾아주고, 환자의 위치를 병원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내용의 효용성을 시뮬레이션 하여 앞으로 응급체계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Simulation of MultiAgent-based Emergency Medical System Using ARENA (ARENA를 이용한 멀티 에이전트 기반 응급 의료 시스템 시뮬레이션)

  • Noh, Seon-Taek;Yi, Keun-Sang;Choi, Yo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408-413
    • /
    • 2007
  • 최근 인구와 기계문명의 발달로 예전에 비해 좀더 복잡한 응급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응급 구조 시스템은 타인에 의한 신고나 정적인 웹페이지로 수집된 정보를 통해 당시 상황에 맞춰 응급 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이는 비전문 의료인인 구급대원의 현장 판단과 의료기관으로의 부적절한 판단으로 인해 응급 환자의 적절한 치료의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로써 기존의 응급 의료 시스템에 멀티 에이전트 개념을 도입하여 멀티 에이전트 기반의 응급 의료 시스템(MAEMS)을 모델링하였다.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은 독립적인 성격과 자율적인 성격으로 않은 부분에 응용되어 설계되고 있다. 특히 에이전트의 독립적인 성격은 이질적인 환경에서 동일한 목적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동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는 상황에서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행동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EMS에 구성되어 있는 각 에이전트를 구현하며, ARENA를 통해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실제 통계자료와 비교하여 멀티 에이전트를 도입한 응급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에 대해 연구한다.

  • PDF

Development of Kore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gainst Chemical Accident (화학사고 대비 응급의료정보 제공 한국적 시스템 개발)

  • Wang, So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89-290
    • /
    • 2017
  • 본 연구는 화학사고 시 피해에 대한 응급의료정보를 신속, 적정히 제공, 관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며, 그 내용으로서 화학사고 응급의료 정보 및 대응 시나리오를 포함한 컨텐트를 제작하여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운영하게 될 때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응급의료진이 직접 참여하고 관련 기관이 연계되어 시범 운영함으로써 그 결과를 환류, 수정 반영하여 응급의료 정보가 적절히 제공되는 지속적인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가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화학사고 시 응급의료정보 제공에 적합한 콜센터 시스템의 다양한 유형을 개발하고 이 운영 체계가 한국적 상황에 맞는지 시범사업을 통하여 확인하여 화학사고 응급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 운영 기반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Multi Agent-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응급 의료 서비스를 위한 멀티 에이전트 기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Noh, Seon-Taek;Yi, Keun-Sang;Choi, Yo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723-726
    • /
    • 2007
  • 국내의 응급의료체계는 119구급대와 1339 응급의료 정보센터간의 이원화된 체계로 구축되어 있다. 하지만 두 기관간의 긴밀한 연계체계의 부족으로 응급의료기관이나 의료기관으로의 이송된 자 중 이송의료 기관 선정이 부적절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또한 각각의 환경에 맞게 구축된 병원 정보시스템의 이질성으로 응급환자의 효율적인 이송체계 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멀티 에이전트의 자율적이며 독립적은 성향은 이질적인 병원 정보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상호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주며 점점 복잡해지는 응급 의료 상황에 대하여 동적으로 행동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응급환자의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응급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후보 병원을 결정하여 동적으로 응급환자의 병원 이송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mergency Medical System based on the Standard of HL7 Message for Utilization of Patient Medical Information (환자 임상정보 활용을 위한 HL7기반 응급의료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Jong-Pan;Oh, Am-Su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2
    • /
    • pp.295-306
    • /
    • 2011
  • The existing emergency medical systems are unable to obtain accurate clinical information, so most of the specialized first aid is being done within the hospital. In this paper, designed medical information transfer structure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standards HL7 for accurate first aid is proposed. The designed system can share clinical information an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in terms of standard HL7 messages. Therefore, the correct first aid is available in steps taken by the hospital. In addition, the system of this paper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OSGi service platform for the efficient integration with other health-related services.

A design of efficient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heuristic knowledge (경험적 지식을 활용한 효과적 응급의료정보시스템의 설계)

  • Kim, Hyung Hoon;Cho, Jeong R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8 no.3
    • /
    • pp.47-56
    • /
    • 2013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rden medical science technology, the life of the men is keeping by medical technology. But if a proper treatment could not be provided to the patient in pre-hospital phase and the patient could not be transferred to the necessary hospital timely, it can not prevent the serious damage to the patient. In this paper, when an emergency was generated,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can give the most suitable first aid to the patient by our proposed efficient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heuristic knowledge.

EC&M System to Improve Emergency Rescue Service (응급구조서비스 개선을 위한 EC&M 시스템)

  • Na, Eunseo;Sin, Hayeon;Kim, Dayeong;Jang, Mugyeong;Hwang, S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61-36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환자 이송 및 치료를 위한 응급구조사와 의료기관 간의 의사소통 및 질 관리를 위한 EC&M (Efficient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관련 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응급차 배치부터 병원 도착 시 환자 수속 작업 등을 최소화하고, 각 작업의 수행시간을 최소화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의 사용자는 소방청, 의료기관, 119 응급 구조사이고, 이 중 응급구조사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PRE-KTAS를 소방청과 의료기관에 동시전달하여 전달된 PRE-KTAS를 통한 적절한 의료기관을 배치하고 선정된 응급의학 전문의에게 직접의료지도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응급구조사는 의무기록활동지를 작성하여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내용전달의 효율성을 높인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응급구조사와 의료기관 간의 정보 공유 시스템은 기존에 제안하는 앱을 사용하지 않고 발생했던 많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므로 기존의 앱보다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응급구조사 해외연수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 Gwon, Chang-Hui;Kim, Jeong-In;Hwang, Hyeong-Gyu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2a
    • /
    • pp.43-5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 운송부 산하 고속도로교통안전국에서 규정한 EMT-I 의 미 국립표준교과과정을 알아본 뒤, 기존 피츠버그 의과대학 응급의료센터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에 대하여 소개하고 미 국립 응급구조사 협회의 연차보고서를 토대로 EMT-I 자격의 미국 내 시행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각 주별로 제공되는 교육과정의 내용과 EMT-I 구급대원의 활동범위에 대하여는 응급 의료시스템 잡지의 주 별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장기적인 추진과제인 Paramedic 과정 개설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 for Emergency Treatment (응급상황 대처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개인건강기록 시스템 개발)

  • Lee, Jisoo;Dang, Thien-Binh;Yeom, Sanggil;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80-682
    • /
    • 2017
  • 최근 급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급성 질환은 초기 증상 발생 시 올바른 인지와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그러나 유지 관리비용 면에서 모든 개인의 응급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의료시스템은 구축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개인건강기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한 심박 체온의 생체신호로 응급 상황을 판별해 지정된 보호자에게 알린다. 또한, 응급버튼을 통해 곧바로 응급상황을 알린다. 개인이나 가족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생명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