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급치료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9초

개심술 후에 발생한 급성 복부 대동맥 차단 -1예 보고- (Acute Abdominal Aortic Occlusion after Open Heart Surgery - A case report -)

  • 한원경;조준용;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0호
    • /
    • pp.710-713
    • /
    • 2005
  • 급성복부대동맥 폐쇄는 드물지만, 응급을 요하며 높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보이는 혈관질환이다. 늦은 진단은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승모판 협착, 심방세동, 관상동맥협착, 삼첨판 역류 및 심방중격결손으로 인한 개심슬을 받은 60세 여자가 술 후 13일에 하지의 감각이상, 마비,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배꼽 아래부터 발끝에 이르는 피부가 얼룩덜룩하였으며 하지의 맥박이 촉지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다중 검출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급성 복부 대동맥 폐쇄를 진단하고, 응급 혈색전 제거 및 대동맥-양측 대퇴동맥 우회로술로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응급실 내원 수단에 따른 중증도 분류와 치료시간 비교 (Triage level and treatment time according to mode of arrival to emergency department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 박창제;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66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according to the mode of arrival affect the emergency medical proces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8 adult patients (46 patients admitted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48 walk-in patients, and 24 transferred from other hospitals)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s at one regional-level medical center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between January 1, 2016 and December 31, 2017. To compare treatment courses, the median values of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compared among groups: symptom to door time; door to triage time; and door to ECG time.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Results: Based on the initial assessment at triage, there was a significantly greater proportion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tage (KTAS) Level 1 or 2 among patients admitted by EMS than among walk-in patients. All three analyzed variables were lower in patients admitted by EMS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ACS patients who accessed EMS reached the emergency center faster after symptom onset, received initial triage assessment at earlier stages, and underwent sooner important examinations (i.e., the 12-lead ECG).

급성뇌졸중 환자의 발생과 예후 (Acute Cerebrovascular Accident in Korea)

  • 노상균;김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23-28
    • /
    • 2012
  • 이 연구는 1990년대부터 국내외 전반에 걸쳐 진행된 다양한 규모와 기관에서 진행된 급성 뇌졸중 환자의 연구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예후 관련 접근에 대해 올바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검토는 BNBI PubMed, KMBase, RISS, KoreaMed를 이용하였다. 검색된 논문을 대상으로 발생빈도, 병원 전 뇌졸중 환자의 평가 및 응급처치, 병원 내 전문치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뇌졸중 평가의 중요한 척도로 사용되고 있는 신시내티 뇌졸중 척도와 로스앤젤레스 뇌졸중 척도를 이용한 평가가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시행되어야 한다.

족부백선 치료액 오인 점안 후 발생한 안구화학손상 2례 (Ocular chemical burns following accidental instillation of tinea pedis treatment solution: A report of two cases)

  • 김정호;정한솔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38
    • /
    • 2022
  • Many commonly used household chemicals and medical eye drops look alike, resulting in a worldwide increase in incidences of accidents caused by confusion between similar-looking agents.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two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following inadvertent instillation of tinea pedis treatment solution instead of eye drops. Both patients developed corneal chemical burns following the accidental application. Notably, the visual acuity and symptoms eventually recovered for both patients after hospitalization. However, complete recovery occurred only after several weeks. Both patients were relatively old and had been prescribed eye drops after previous ophthalmic surgery. Since the eye is a sensory organ that receives visual information, ocular injuries significant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functioning of the patient. Incidences of accidental misidentification of eye drops are steadily increasing in South Korea; unfortunately, regulatory policies are unavailable to avoid such hazards. Therefore, physicians should be mindful of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misidentification of everyday household products and must spend time educating patients when prescribing eye drops. Policy regulations are warranted for products with containers that resemble eye drop bottles. Such items need to be clearly labeled with additional warnings to prevent misidentification and accidental ocular instillation.

코브라과 뱀에 물린 환자에서 코브라 항독소를 사용하여 치료한 1례 (A Case of Cobra Antivenom Therapy in a Patient Bitten by Elapid Snake in South Korea)

  • 김지은;권인호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2-24
    • /
    • 2022
  • Elapid snakes have neurotoxic venom which causes diverse neuroparalytic manifestations, including fatal respiratory failure. In South Korea, since elapid snakebites are very rare, the cobra antivenom, which is effective against neurotoxicity, was only introduced recently. Most physicians in South Korea have little experienc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ho have been bitten by elapid snakes. A 19-year-old man was brought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sudden diplopia, 1 hour after a snakebite on the left 2nd finger. The patient presented with drowsiness and complained of mild dizziness and binocular diplopia. After 1 hour, he had sudden onset of dyspnea and dysphagia and appeared to be agitated. He was immediately intubated and received mechanical ventilation as he was unable to breathe on his own. A total of 2.5 mg of neostigmine diluted with normal saline was slowly infused, and 1 vial of cobra antivenom was infused for an hour, 5 times every 2 hours, for a total of 5 vials. He slowly recovered self-breathing; on the 3rd day of hospitalization, he showed tolerable breathing and was extubated. He was discharged without any neurological deficits or other complications.

고빈도 환기법 (High Frequency Ventilation)

  • 이현우;이관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17
    • /
    • 1993
  • 고빈도 환기법은 최근에 개발되어 임상에 응용되면서 호흡생리학, 마취학, 집중치료의 학등의 분야에서 호흡부전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환기법이다. 현재까지 고빈도 환기법중 고빈도 양압 환기와 제트 환기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되고 있고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고빈도 진동 환기법은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고빈도 진동 환기법에 대해서도 더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 개발되고 있는 고빈도 흉벽 진동 환기와 체표면 진동 환기에도 관심을 기울이면 호흡부전 환자의 치료에 바람직한 새로운 환기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고빈도 환기법의 몇몇 적용형태는 기관지-늑막루등의 폐압손상으로 인한 병변의 치료외에도 기관수술, 흉부수술, 뇌수술에서 수술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면서 충분한 가스교환율 이룩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응급심폐소생술, 폐쇄성 폐질환, 성인 또는 영아 호흡곤란증후군등과 같은 질환에서의 적용은 더 규명되어져야겠다. 고빈도 환기법의 여러가지 문제점중 적절한 환기빈도의 결정, 충분한 습도를 공급하는 장치, 고빈도 환기의 정확한 감시장치의 개발등은 앞으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또한 임상에 더욱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새로운 환기법이 되기 위해서는 고빈도 환기법의 호흡생리와 안정성등에 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겠다.

  • PDF

심실중격결손과 동반한 다중판막 감염성 심내막염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ultivalvular Endocarditis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 김선희;제형곤;이상권;김상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417-420
    • /
    • 2010
  • 다중판막을 침범한 감염성 심내막염은 단일 심내막염에 비해 사망률이 높고 합병증의 발생이 빈번하여 일반적으로 조기수술이 권장된다. 저자들은 고열을 주소로 입원한 46세 환자에서 심초음파 검사로 폐동맥판막, 삼첨판막, 승모판막을 침범한 급성 심내막염 및 심실중격결손을 진단하였고, 항생제 치료에도 감염증이 악화되어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비교적 드문 증례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일산화탄소중독치료(一酸化炭素中毒治療)에 있어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의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Hyperbaric Oxygen Treatment in Acute CO Poisoning)

  • 윤덕로;조수헌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6권1호
    • /
    • pp.153-156
    • /
    • 1983
  • 1950년(年) 이후(以後) 무연탄(無煙炭)으로 만든 연탄(煉炭)을 취사(炊事), 난방용(煖房用)으로 가정(家庭)에서 광범위(廣範圍)하게 사용(使用)하게 되면서 연탄(煉炭)가스내(內)의 일산화탄소(一酸化炭素)로 인(因)한 중독사고(中毒事故)가 빈발(頻發)하여 심각(深刻)한 국민보건(國民保健)의 문제(問題)가 되어왔다. 저자(著者)들의 실태조사(實態調査)(1975년도(年度))에 의(依)하면 서울특별시일원(特別市一圓)에 있어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년간발생(年間發生)은 인구(人口), 10만당(萬當) 경증(輕症) 260명(名), 혼수상태(昏睡狀態)의 중증중독(重症中毒) 45명(名), 사망(死亡) 1명(名)으로 위험인구(危險人口)를 3,000만명(萬名)으로 하였을 때 전국적(全國的)으로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추정발생수(推定發生數)는 년간(年間) 경증(輕症) 78만명(萬名), 중증(重症) 13만(萬) 5천명(千名), 사망(死亡) 3,000명(名)으로 그 피해(被害)의 규모(規模)가 100만을 육박(肉薄)하는 가공(可恐)할 수자(數字)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著者)들은 이러한 심각(深刻)한 국민보건(國民保健)의 문제(問題)를 우선(于先) 실천가능(實踐可能)한 제이차예방(第二次豫防)에 역점(力點)을 두어 고압산소요법(高壓酸素療法)을 보급(普及)할 목적(目的)으로 일인용고압산소장치(一人用高壓酸素裝置)를 개발(開發)하고 1969년(年) 1월(月)에 서울대학교병원(大學校病院)에 고압산소치료실(高壓酸素治療室)을 개설(開設)하여 급성일산화탄소(急性一酸化炭素) 중독환자(中毒患者)에 대(對)한 응급치료(應急治療)를 실시(實施)하여 1978년(年)까지 10년간(年間)의 치료결과(治療結果)를 요약(要約)한바 다음과 같다. 1. 총치료환자수(總治療患者數)는 2,242명(名)이고 회복(回復)된 수(數)는 2,202명(名)으로 98.2%의 회복률(回復率)을 보였다. 2. 계절적(季節的)으로 10월(月)에서 4월(月)까지가 연중최성기(年中最盛期)이나 5월(月)에서 9월(月)까지도 적지않은 환자(患者)의 발생(發生)을 볼 수 있었다. 3. 연령별분포(年齡別分布)를 보면 15세(歲)${\sim}29$세군(歲群)이 전체환자(全體患者)의 반이상(半以上)인 52.7%를 차지하고 있고 $0{\sim}14$세군(歲群)은 인구비(人口比)에 대해 발생(發生)이 훨씬 적은 결과(結果)를 보이고 있다. 4. 도착시간별(到着時間別) 입원율(入院率)은 오전(午前) 10시이후(時以後) 도착군(到着群)서부터는 입원율(入院率)이 급증(急增)하는데 이는 병원도착(病院到着)이 늦일수록 당일회복(當日回復)이 되지못하고 입원가료(入院加療)하게 됨을 나타내주는 결과(結果)라 할 수 있다. 5. 병발증(倂發症)으로는 급성욕창, 폐렴(肺炎) 및 신경학적(神經學的) 이상등(異常等)의 소견(所見)을 많이 볼 수 있었다.

  • PDF

영유아 환자 위장관 응급 질환의 영상 소견 (Imaging Findings of Gastrointestinal Emergency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 김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794-805
    • /
    • 2020
  • 급성 복증(acute abdomen)은 갑자기 발생하는 심한 복부 통증으로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할 수도 있는 상태를 말한다. 소아 환자의 급성 복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 질환부터 투약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임상적 관찰 만을 요하는 질환까지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급성 복증의 환자에서 영상 검사의 역할은 가능하다면 복통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밝혀서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와 투약 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를 구분해 주는 것이다. 장중첩증과 충수돌기염이 소아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급성 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이므로, 급성 복통을 호소하는 영아에서는 장중첩증을, 좀 더 나이가 많은 소아에서는 충수돌기염을 영상 검사를 이용해 배제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유아 환자의 급성 복통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 중 특징적 영상 소견을 보이는 장중첩증, 충수돌기염, 중장 염전, 메켈 게실 및 중복낭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악성 기도 폐쇄에 대한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의 단기 임상 경험 (Short-term Results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Malignant Airway Obstructions)

  • 안용찬;임도훈;최동락;김문경;김대용;허승재;김호중;정만표;권오정;이종헌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299-306
    • /
    • 1996
  • 목적 : 주요 기도의 악성 종양으로 인한 호흡기 증상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때로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급한 경우가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호흡기 증상의 완화를 위하여 적용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고선량율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차료의 단기 임상 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2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원발성 또는 전이성 폐암으로 인한 기도폐쇄 와 이로 인한 주요 호흡기 증상이 있는 25명의 환자들에 대하여 고선량율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를 시술하였다. 원발 병소는 비소세포성 폐암이 21례 ($84\%$), 원발성 기관암이 3례($12\%$), 재발된 식도암이 1례였다. 20명의 환자들에 대하여는 외부 조사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으며, 급성 기도 폐쇄로 위급한 증상을 호소하였던 6명의 환자에 대하여는 응급 기관내 Laser 소작술을 먼저 시행하였다.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는 모든 환자에서 각 3회씩 시행하도록 예정하였으며 모두 70회의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의 전후로 조사한 주요 호흡기 증상은 기침, 호흡곤란, 각혈, 폐쇄성 폐렴이 각각 $88\%$ (22/25), $96\%$ (22/23), $100\%$ (15/15), $100\%$ (9/9)에서 호전되었으며, 환자의 일반 활동도 (ECOG performance score)는 전체 환자의 $56\%$에서 호전되었고 악화된 경우는 없었다. 관찰 기간 동안 15명이 사망하였으며 치료 개시로부터 사망까지 기간의 중앙값은 4개월 (범위: 1개월$\~$17개월) 이었고 10명의 생존자들의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9개월 (범위: 5개월$\~$19개월)이었다. 치료 후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는 5명이었으며 이들 모두에선 원발 병소의 완전 관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망자들은 모두 원발 및 전이 병소의 진행으로 인한 경우였다. 대량 각혈로 사망한 경우는 4명이었으며 이 중 3명은 응급 기관내 Laser 소작술을 선행하였던 경우였다. 결론 :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 치료는 기도의 악성 병변시 호흡기 증상 및 환자의 활동도를 호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저자들의 관찰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기관내 근접 조사 방사선치료는 근치적 방사선치료의 국소 추가 방사선 조사의 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