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형대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전통음악 및 서양음악 가수에 대한 음악 음형대 및 성대진동양상에 대한 연구

  • 홍기환;박병암;양윤수;김현기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54-254
    • /
    • 1997
  • 서양음악을 전공하는 숙달된 가수들은 공연시 효과적인 소리의 울림현상을 생성하여 노래소리가 잘 전달되는데 이는 노래소리에 대한 음악 음형대의 형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판소리의 일반적인 창법은 발성중 적절한 감정의 삽입과 더불어 아주 깨끗한 소리보다는 적절하게 탁음을 조화시키므로서 우리민족의 정서에 맞는 감정을 전달하는 것으로 판소리 가수만이 가지는 독특한 발성법에 의해 성대의 과다한 접촉 및 진동에 의해 병변이 초래되며 심한 경우 발성기관에 병적인 병변이 발생하여 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많다. (중략)

  • PDF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 이후의 음성변화

  • 손영익;김선일;윤영선;이은경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59-259
    • /
    • 1997
  •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 구개수구개인두성형술 이후의 음성변화 유무를 파악하여, 성악가 등의 전문적인 음성사용자에게 상기한 수술을 결정함에 있어서 가능한 guideline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수면다원검사상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 성인남자 20명을 대상으로 수술전후의 음성변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술전, 수술후 1개월에 각각 /아/, /이/, /우/ 모음의 제1, 2, 3 음향대를 비교하였으며, 표준 비음비율이 각기 다른 세가지 문장을 이용하여 수술전후의 비음비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환자 자신은 수술전후의 음성이나 음색의 변화를 느낄 수 없었고, 비음비율의 변화나 모음의 음형대에 대부분은 변화가 없었지만, /우/ 음의 제3음형대 특성에 변화가 있음을 관찰하였고, 구인두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특정언어의 일부 발음이나 vibrato, singer's formant등의 변화유무에 대한 연구가 없는 점을 감안한다면, 성악가를 비롯한 전문적 음성사용자에?서는 구개수 구개인두성형수술을 결정함에 있어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비성화된 모음의 음형대 특성 연구 (A Study about Formant Characteristics of Nasalized Vowels)

  • 김효정;정옥란;권도하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3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55-5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asalization on vowels. Ten males and 7 females produced 5 vowels (/a/, /e/, /i/, /o/, /u/) in conditions: normal and nasalized. In this study we compared normal vowels' formant with nasalized vowels' and examined nasal-formant in the nasalized vowels.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vowels and nasalized in terms of F1 and F2. Second, the nasal formants were observed in nasalized vowels more frequently in females than males. Third, N1 appeared to influence F1 of vowels whereas N2 seemed to have an impact on F2 and/or F3.

  • PDF

최고도이상의 청력손실을 가진 아동의 모음음형대 분석 (An Acoustic Analysis of Vowels for Severe-profound Hearing Impaired Children)

  • 허명진
    • 음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65-71
    • /
    • 2007
  • The severe-profound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various disorders in everday communication due to the lack of hearing feedback. Especially, their speech produced unstable voice, omission and distortion of articulation, pitch break, cul-de-sac voice, and so on so that they were difficult to accurately deliver an intended messag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4 vowel sounds produced by 35 severe-profound hearing impaired children using CSL(Computerized Speech Lab, Model 4300b). The formant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pectrogram and analyzed data by 12 formant filter and auto-correlation among the formants. Results showed that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s formant values came out very high. They produced the vowels at the mode of hypertension with unstable voice. In order to improve their speech, they would need some adequate auditory feedback.

  • PDF

비폐색 부위에 따른 비강자음의 음향학적 특성과 비음비율의 변화

  • 손영익;정유석;윤영선;이은경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53-253
    • /
    • 1997
  • 비폐색이 있는 경우 음성이 변하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있지만, 비폐색 때의 음향학적인 특성에 대하여 알려진 바를 찾기는 쉽지 않다. 저자들은 인위적으로 비폐색을 유발하여 비폐색 부위에 따른 비강자음의 음향학적 변화특성을 파악하고 비음도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정상비음도를 보이는 성인남녀 각 10명을 대상으로, 2ml의 부피를 갖도록 수술용장갑에 Merocel$^{\circledR}$을 넣은 뒤, 이를 이용하여 ostiomeatal unit(OMU)을 중심으로 전후상하 4부위의 인위적인 비폐색을 유발하여, 비폐색 전과 후의 부위에 빠른 차이틀 비교하였다. /나나/의 발성을 각 조건에서 3회 실시하여, 모음중간의 /ㄴ/중 (CVCV) 안정된 spectorgram소견을 보이는 부위를 선택하여, 해당구간의 제1, 제2, 제3 음형대와 각각의 bandwidth 평균값을 남녀별로 비교하였고, 표준비음비율이 알려진 rabbit, baby, mama 문장을 이용하여 비음비율을 비교하였다. 남녀모두 비폐색전에 비하여 OMU의 앞쪽부위를 막은 경우에 제1음형대가 가장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비음비율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비폐색이 있는 경우, 비강자음 /ㄴ/은 제1음형대를 중심으로 주요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비폐색 부위에 따라 비음비율이나 제1음형대 감소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성악도의 두성구와 흉성구 발성에 대한 음향학적 분석 (Acoustic Analysis of Singing Voice)

  • 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2-58
    • /
    • 2002
  • The pitch range of the human voice is variable, extending from chest register to falsetto.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after laryngeal mechanism description of registers, systematic and objective studies were l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head register with chest register of singers acoustically. Fifteen healthy tenor major students were selected. Fifteen healthy untrained adults were the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Long term average(LTA) power spectrum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FFT) algorithm and Linear predictive coding (LPC) filter response were made during /a/ sustained in both head(G4, 392Hz) md chest registers (C3, 131Hz).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ann-Whitney test. In the LTA power spectrum, head register of singer has increased level(energy gain) in the frequency band of 2.2-3.4kHz(p<0.01), and 7.5-8.4kHz(p<0.01, p<0.05). Chest register of singer has increased level in the frequency band of 2.2-3.1kHz(p<0.01), 7.8-8.4kHz(p<0.05) and around 9.6kHz(p<0.01). LTA power spectrum reveals a peak of acoustic energy around 2500Hz known as the singer's formant and another peak of acoustic energy around 8000Hz in singer's voice.

  • PDF

한국어 모음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제2음형대의 변화양상 ($F_2$ Formant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ging Male and Female Speakers)

  • 김찬우;차흥억;장일환;김선태;오승철;석윤식;이영숙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9-123
    • /
    • 1999
  • Background and Objectives : Conditions such as muscle atrophy, stretching of strap muscles, and continued craniofacial growth factors have been cited as contributing to the changes observed in the vocal tract structure and function in elderly speake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F$_1$ and F$_2$ frequency levels in elderly and young adult male and female speakers producing a series of vowels ranging from high-front to low-back placement. Material and Methods : The subjects were two groups of young adults(10 males, 10 females, mean age 21 years old range 19-24 years) and two groups of elderly speakers(10 males, 10 females, mean age 67 years : range 60-84 years).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speech pathologist to be a speaker of unimpared standard Korean. The headphone was positioned 2 cm from the speakers lips. Each speaker sustained the five vowels for 5 s. Formant frequency measures were obtained from an analysis of linear predictive coding in CSL model 4300B(Kay co). Results : Repeated measure AVOVA procedures were completed on the $F_1$ and $F_2$ data for the male and female speakers. $F_2$ formant frequency levels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ly lower fir elderly speakers. Conclusions : We presume $F_2$ vocal cavity(from the point of tongue constriction to lip) lengthening in elderly speakers. The research designed to observe dynamic speech production more directly will be needed.

  • PDF

급성 후두개염과 편도주위 농양 환자의 발화시 조음 및 음성의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cute Epiglottitis and Peritonsillar Abscess)

  • 이남훈;이제연;이상혁;최정임;송윤경;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8-53
    • /
    • 2010
  • Backgraound and Objectives : The voice change can occur in acute epiglottitis or peritonsillar abscess, and the labelings of both changes as a "muffled voice" or "hot potato voi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hanges in acoustic feature of voic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patients with acute epiglottitis or peritonsillar abscess. Subjects and Method: 13 patients with acute epiglottitis and 12 patients with peritonsillar absces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coustic analysis on sustained Korean vowels /${\alpha}$/, /u/ and /i/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In patients with acute epiglottitis, the first formant frequency (F1) of /${\alpha}$/ was increased, and the second frequency (F2) of /i/ was decreased. In patients with peritonsillar abscess, F1 and F2 of /${\alpha}$/ were decreased. F1 of /i/ and /u/ were increased, while F2 were decreased. Conclusion : The anatomical and functional changes of oropharynx and larynx by acute epiglottitis and peritonsillar abscess can cause different change in resonance and speech quality. We suggest that these changes could be the cause of 'muffled vocie' in patients of acute epiglottitis or peritonsillar abscess, but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honation in each disease should be distinguished.

  • PDF

직.간접흡연 환경에서의 성대 및 음형대 변화에 대한 음성 분석학적 연구 (A Study on Voice Analytical the Vocal Cord and Formant Change in the Smoking and Secondhand Smoking Environments)

  • 김봉현;조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B호
    • /
    • pp.720-727
    • /
    • 2011
  • 웰빙이 새로운 미래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건강관리 및 유지에 대한 현대인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흡연에 대한 좋지 않은 인식이 높아지면서 대대적인 금연 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흡연은 인체의 호흡기와 순환기 등에 많은 악영향을 미치며 직접적인 흡연뿐만 아니라 간접흡연도 동일한 증상이 유발되는 치명적인 행위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직접흡연과 간접흡연 환경에서 성대 및 음형대에 미치는 영향을 음성 분석학적 요소 기술의 적용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흡연자와 비흡연자로 피실험자 집단을 구성하고 직 간접흡연 전과 후의 음성을 수집하여 Pitch, Jitter, Shimmer 및 5~8 Formant Frequency를 적용한 실험 결과를 추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