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향학적 탐색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Vocabulary Recognition Optimize using Acoustic and Lexical Search (음향학적 및 언어적 탐색을 이용한 어휘 인식 최적화)

  • Ahn, Chan-Shik;Oh, Sang-Yeob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4
    • /
    • pp.496-503
    • /
    • 2010
  • Speech recognition system is developed of standalone, In case of a mobile terminal using that low recognition rate represent because of limitation of memory size and audio compression. This study suggest vocabulary recognition highest performance improvement system for separate acoustic search and lexical search. Acoustic search is carry out in mobile terminal, lexical search is carry out in server processing system. feature vector of speech signal extract using GMM a phoneme execution, recognition a phoneme list transmission server using Lexical Tree Search algorithm lexical search recognition execution. System performance as a result of represent vocabulary dependence recognition rate of 98.01%, vocabulary independence recognition rate of 97.71%, represent recognition speed of 1.58 second.

Vocabulary Recognition Retrieval Optimized System using MLHF Model (MLHF 모델을 적용한 어휘 인식 탐색 최적화 시스템)

  • Ahn, Chan-Shik;Oh, Sang-Yeob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0
    • /
    • pp.217-223
    • /
    • 2009
  • Vocabulary recognition system of Mobile terminal is executed statistical method for vocabulary recognition and used statistical grammar recognition system using N-gram. If limit arithmetic processing capacity in memory of vocabulary to grow then vocabulary recognition algorithm complicated and need a large scale search space and many processing time on account of impossible to process. This study suggest vocabulary recognition optimize using MLHF System. MLHF separate acoustic search and lexical search system using FLaVoR. Acoustic search feature vector of speech signal extract using HMM, lexical search recognition execution using Levenshtein distance algorithm. System performance as a result of represent vocabulary dependence recognition rate of 98.63%, vocabulary independence recognition rate of 97.91%, represent recognition speed of 1.61 second.

Inversion of Acoustical Properties of Sedimentary Layers from Chirp Sonar Signals (Chirp 신호를 이용한 해저퇴적층의 음향학적 특성 역산)

  • 박철수;성우제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8
    • /
    • pp.32-41
    • /
    • 1999
  • In this paper, an inversion method using chirp signals and two near field receivers is proposed. Inversion problems can be formulated into the probabilistic models composed of signals, a forward model and noise. Forward model to simulate chirp signals is chosen to be the source-wavelet-convolution planewave modeling method. The solution of the inversion problem is defined by a posteriori pdf. The wavelet matching technique, using weighted least-squares fitting, estimates the sediment sound-speed and thickness on which determination of the ranges for a priori uniform distribution is based. The genetic algorithm can be applied to a global optimization problem to find a maximum a posteriori solution for determined a priori search space. Here the object function is defined by an L₂norm of the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nd modeled signals. The observed signals can be separated into a set of two signals reflected from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a sediment. The separation of signals and successive applications of the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 process reduce the search space, therefore improving the inversion results. Not only the marginal pdf but also the statistics are calculated by numerical evaluation of integrals using the samples selected during importance sampling process of the genetic algorithm. The examples applied here show that, for synthetic data with noise,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n inversion for sedimentary layers using the proposed inversion method.

  • PDF

Automatic Recognition of Korean Broadcast News Using Flexible Vocabulary Recognition Models (가변 어휘 인식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방송 뉴스 음성의 인식)

  • 유하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70-7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방송 뉴스 인식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한다. 인식 실험 과정에서는 실제로 방송된 음성을 인식하였으나, 인식을 위한 음향 모델은 본 연구소에서 갭라한 고립단어 인식용 가변 어휘 인식모델을 이용하였다. 가변 어휘 인식기는 방송 음성의 연속 문장을 이용하지 않고, 음향학적으로 고르게 분포된 고립 단어를 이용하여 학습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특성상 문장이 영어권과 같이 단어 단위가 아닌 어절로 나누어 지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전 표제어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또한 탐색과정의 초기단계에 장거리 언어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인식 오류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On the Source Identification by Using the Sound Intensity Technique in the Radiated Acoustic Field from Complicated Vibro-acoustic Sources (음향 인텐시티 기법을 이용한 복잡한 진동-음향계의 방사 음장에 대한 음원 탐색에 관하여)

  • 강승천;이정권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8
    • /
    • pp.708-718
    • /
    • 2002
  • In this paper, the problems in identifying the noise sources by using the sound intensity technique are dealt with for the general radiated near-field from vibro-acoustic sources. For this purpose, a three-dimensional model structure resembling the engine room of a car or heavy equipment is considered. Similar to the practical situations, the model contains many mutually coherent and incoherent noise sources distributed on the complicated surfaces. The sources are located on the narrow, connected, reflecting planes constructed with rigid boxes, of which a small clearance exists between the whole box structure and the reflecting bottom. The acoustic boundary element method is employed to calculate the acoustic intensity at the near-field surfaces and interior spaces. The effects of relative source phases, frequencies, and locations are investigated, from which the results are illustrated by the contour map, vector plot, and energy streamlines. It is clearly observed that the application of sound intensity technique to the reactive or reverberant field, e.g., scanning over the upper engine room as is usually practiced, can yield the detection of fake sources. For the precise result for such a field, the field reactivity should be checked a priori and the proper effort should be directed to reduce or improve the reactivity of sound field.

Language Models constructed by Iterative Learning and Variation of the Acoustical Parameters (음향학적 파라미터의 변화 및 반복학습으로 작성한 언어모델에 대한 고찰)

  • Oh Se-Jin;Hwang Cheol-Jun;Kim Bum-Koog;Jung Ho-Youl;Chung Hyun-Y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5-3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시스템에 적합한 음향모델과 언어모델을 작성하고 항공편 예약 태스크를 대상으로 인식실험을 실시한 결과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HMM의 출력확률분포의 mixture와 파라미터의 차원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한 음향모델을 작성하였다. 또한 반복학습법으로 특정 태스크를 대상으로 N-gram 언어모델을 적용하여 인식 시스템에 적합한 모델을 작성하였다. 인식실험에 있어서는 3인의 화자가 발성한 200문장에 대해 파라미터 차원 및 mixture의 변화에 따른 음향모델과 반복학습에 의해 작성한 언어모델에 대해 multi-pass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25차원에 대한 mixture 수가 9인 음향모델과 10회 반복 학습한 언어모델을 이용한 경우 평균 $81.0\%$의 인식률을 얻었으며, 38차원에 대한 mixture 수가 9인 음향모델과 10회 반복 학습한 언어모델을 이용한 경우 평균 $90.2\%$의 인식률을 보여 인식률 제고를 위해서는 38차원에 대한 mixture 수가 9인 음향모델과 10회 반복학습으로 작성한 언어모델을 이용한 경우가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Selection of Personalize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Using a Binary Search tree (이진 탐색 트리를 이용한 개인화된 머리 전달 함수의 탐색)

  • Lee, Ki-Seung;Lee, Seok-Pi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5
    • /
    • pp.409-415
    • /
    • 2009
  • The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which has an important role in virtual sound localiz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cross the subjects. Measuring HRTF is very time-consuming and requires a set of specific apparatus. Accordingly, HRTF customization is often employ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search an adequate HRTF from a set of the HRTFs. To achieve rapid and reliable customization of HRTF, all HRTFs in the database are partitioned, where a binary search tree was employed. The distortion measurement adopted in HRTF partitioning was determined in a heuristic way, which predicts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sound location well. The DC-Davis CIPIC HRTF database set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n the listening test, where 10 subjects were participated, the stimuli filtered by the HRTF obtained by the proposed method were closer to those by the personalized HRTF in terms of sound localization. Moreove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shown to be superior to the previous customization method, where the HRFT is selected by using anthropometric data.

Phoneme-Model Word Recognizer on RASTA-PLP (RASTA-PLP의 음소 모델 단어 인식기 적용)

  • 허창원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6a
    • /
    • pp.9-12
    • /
    • 1997
  • 대부분의 음성 파?너 추정 기법은 통신 채널의 주파수 응답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음성에서 그러한 안정상태의 스펙트럼 계수에 있어서 좀더 강인한 기법인 RASTA-PLP 방법을 적용하여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그 파라미터를 연속 HMM 인식기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문맥독립 음소 모델을 훈련하는 과정에서 최적의 모델을 찾게 된다. 여기서는 ETRI 445 DB에 RASTA-PLP를 적용하였을 때 가장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재추정 횟수와 mixutre 수를 찾는 데 목표를둔다. 문맥독립음소모델은 한국어의 발성학적 근거를 토대로 하고 여기에 묵음(silence)을 추가하여 총 40개로 정의하였다. 문맥독립 음소모델은 3개의 상태를 가지는 전형적인 left-to right CHMM(Continuous Hidden Markov Model)을 이용하여 훈련한다. 그리고 훈련시간을 줄이기 위해 Viterbi beam 탐색법을 적용한다.

  • PDF

Pseudo-Morpheme-Based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의사 형태소 단위의 연속 음성 인식)

  • 이경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309-314
    • /
    • 1998
  • 언어학적 단위인 형태소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음성인식 과정에 적합한 분리 기준의 새로운 디코딩 단위인 의사형태소를 정의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해 새로이 정의된 37개의 품사 태그를 갖는 의사 형태소를 표제어 단위로 삼아 발음사전 생성과 형태소 해석에 초점을 두고 한국어 연속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각 음성신호 구간에 해당되는 의사 형태소가 인식되면 언어모델을 사용하여 구성된 의사 형태소 단위의 상위 5개 문장을 기반으로 시작 시점과 끝 시점, 그리고 확률 값을 가진 의사 형태소 격자를 생성하고, 음성 사전으로부터 태그 정보를 격자에 추가하였다. Tree-trellis 탐색 알고리즘 기반에 의사 형태소 접속정보를 사용하여 음성언어 형태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의사 형태소를 문장의디코딩 단위로 사용하였을 경우, 사전의 크기면에서 어절 기반의 사전 entry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었으며, 문장 인식률면에서 문자기반 형태소 단위보다 약 20% 이상의 인식률 향상을 얻을 수있었다. 뿐만 아니라 형태소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분석과정 없이 입력값으로 사용되며, 전반적으로 문자을 구성하는 디코딩 수를 안정화 시킬 수 있었다. 이 결과값은 상위레벨 언어처리를 위한 입력?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언어 정보를 이용한 후처리 과정을 거쳐 더 나은 인식률 향상을 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