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향제어

Search Result 593,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능동소음제어-제어음장의 물리적 성질 및 제어방법론

  • 김양한;강성우
    • Journal of KSNVE
    • /
    • v.5 no.4
    • /
    • pp.440-452
    • /
    • 1995
  • 이 글에서는 능동소음제어에 있어서, 음장 혹은 음원을 표현하는 물리량은 음향에너지, 파워, 인텐시티를 통하여 제어 가격함수로서의 각 의미를 살펴보았다. 졍리하면 이 세가지 물량들은 음향에너지의 균형이라는 물리적 변칙에 의해 서로 단단히 결속되어 있으며, 이들은 음장의 형태와 성격 그리고 파장과 주파수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능동소음제어 입장에서 제어 목적에 맞게 적절히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음향 에너지의 제어 개념 즉, 음향에너지를 가격함수로 하는 제어 방법은, 원하는 정숙공간(zone of quiet)을 제어할 때 그 적절성이 있음을 보았 으며, 음향 파워는 그 물리량 자체가 어떤 음원의 특성을 표현하고 있으므로 제어에 의하여 방사 효율을 감소(weak radiator)시키고자 할 때 가장 자연스러운 가격 함수 가 됨을 살펴보았다. 또한 음향 인텐시티라는 물리량은 음향 에너지의 전달 특성을 대표하는 특성임을 살펴보았고, 따라서 소음 전파의 감소(noise transmission reduction)를 위한 제어 가격 함수로의 당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모든 제어 방법 들이 사실은 가관측성 및 가제어성을 가져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며, 음향 파워나 인텐시티를 가격 함수로 하는 제어 방법의 경우 실제적인 가관측성상의 문제점들로 인하여 그 현실성이 아직은 거리가 있다 하겠다.

  • PDF

Absorption and Reflection of Sound Waves Using Acoustic Impedance Control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관 내 음파의 반사와 흡수)

  • Oh, Ha-Young;Min, Dong-Ki;Park, Ju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5a
    • /
    • pp.537-537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음향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능동형 소음 제어 방법을 연구하였다. 관의 끝단에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향 임피던스를 제어하게 된다. 음향 임피던스 제어는 음향의 반사를 최소화 하는 제어 방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닫힌 관의 끝단에 음파의 흡수와 반사를 제어한다. 나아가 음향 임피던스 제어 방법은 관의 중앙에 설치되어 적용된다. 이 경우에는 음향의 반사, 흡수 및 전달이 측정되고, 최소화하기 위한 임피던스가 계산된다. 이를 위해 가진기, 마이크로폰, 진동측정용 레이저 바이브로미터, 그리고 능동 소음 제어 하드웨어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증하였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KAIST 소음 및 진동제어연구센터 이정권 교수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1 s.380
    • /
    • pp.22-23
    • /
    • 2001
  • 대전 KAIST 소음 및 진동제어 연구센터의 이정권 교수는 제반 음향이론 및 실험기법과 이에 대한 실제적용을 연구하는 중견과학자이다. 이교수는 음향학 중에서도 덕트 내의 음향전파, 차량의 소음 및 진동제어, 구조음향 및 이에 수반된 음장소음 및 진동제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 PDF

Controlling a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f a Sound Using Acoustic Impedance Control (능동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소음의 반사, 투과 특성 제어)

  • Min, Dong-Ki;Oh, Ha-Young;Park, Ju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297-297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음향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능동형 소음 제어 방법을 연구하였다. 음향 임피던스 제어는 기존의 적응 제어 알고리즘 대신 임피던스의 크기 및 위상 최적화를 통하여 닫힌 관의 끝단에 음파의 반사를 최소화 하는 임피던스를 계산하고 제어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킨다. 그리고 음향 임피던스 제어 방법을 끝단이 개방되어 있고, 중앙에 스피커가 있는 관에 적용시킨다. 이 경우에는 개방된 음장에서 음향 전달이 최소화하기 위한 임피던스를 계산하고, 음향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소음 저감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마이크로폰, 진동측정용 레이저 바이브로미터, 그리고 능동 소음 제어 하드웨어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축하고 검증하였다.

  • PDF

Variable Acoustics in performance venues- A review (공연장에서의 가변음향에 대한 고찰)

  • Hyon, Jinoh;Jeong, Daeup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0 no.6
    • /
    • pp.626-648
    • /
    • 2021
  • Domestically, demands for multi-purpose performance venues which accommodate various performance genres have increased. However, those venues have limited capability and confined to a primary performance. The present work investigated various methods for controlling the acoustics of room for required performance genres by reviewing aurally presented and published materials. The method of varying the acoustics of a space is called Variable Acoustics, and adjusted in either passive and active ways. Passive control encompasses variable absorption, variable volume, coupled volume, and canopy reflectors, where the acoustics of a room is controlled in an architectural way. Active control includes In-line, Regenerative, and Hybrid systems where the acoustics of a room is manipulated electronically. The mechanism and application of each passive control system in existing venues are reviewed and their pros and cons are discussed. Also, the concept of each active systems and product applications are looked at through literature reviews. Lastly, some considerations that need to be taken into in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 of a multi-purpose hall using Variable Acoustics are suggested.

The effects of the Control of Combustion Instabilities in accordance with various Acoustic Cavities (음향공 형상에 따른 연소 불안정 제어 효과)

  • Cha Jung-Phil;Yang Jea-Jun;Seo Ju-Hyoung;Kim Hong-Jip;Ko You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73-76
    • /
    • 2006
  • Acoustic cavity as a stabilization device to control high-frequency combustion instabilities in liquid rocket engine is adopted and its damping capacity is verified in atmospheric temperature. Geometric effects of acoustic cavity on damping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nd compared quantitatively. Satisfactory agreements have been achieved with linear acoustic analysis and experimental approach. Results show that the acoustic cavity of the largest orifice area or the shortest orifice length was the most effective in acoustic damping of the harmful resonant frequency finally, it is proved that an optimal design process is indispensable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combustion instabilities.

  • PDF

Selecting Sound-Field Control Factors in the Image Model Method Using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영상 음원법에서 음장 제어 요소 결정)

  • 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d
    • /
    • pp.56-59
    • /
    • 1998
  •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를 이용한 영상 음원법(Image Model Method, IMM)을 적용하여 3차원 음장을 제어하기 위한 요소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어 요소들은 직방체 내부에서의 음 에너지에 관한 이론을 토대로 결정하였다. 각 제어요소를 3차원 음장 모델에 적용하고, 헤드폰을 사용하여 청취자에 의한 심리음향 실험한 결과, 제어된 음장에서는 음상의 두외 정위, 거리감, 공간감이 실내에서와 같이 자연스럽게 형성됨을 나타냈다.

  • PDF

Geometric Effects on Damping Characteristics of Acoustic Cavity for the Control of Combustion Instabilities (연소불안정 제어를 위한 음향공의 감쇠에 대한 형상 효과)

  • 차정필;고영성;고영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6
    • /
    • pp.59-66
    • /
    • 2006
  • Acoustic cavity as a stabilization device to control high-frequency combustion instabilities in liquid rocket engine is adopted and its damping capacity is verified in atmospheric temperature. First, harmful resonant frequency in a modeling chamber can be damped effectively by the installation of properly-tuned acoustic cavity. Besides, geometric effects of acoustic cavity on damping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nd compared quantitatively. Satisfactory agreements have been achieved with linear acoustic analysis and experimental approach. Results show that the acoustic cavity of the largest orifice area or the shortest orifice length was the most effective in acoustic damping of the harmful resonant frequency. Finally, it is proved that an optimal design process is indispensable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combustion instabilities.

Fundamentals of Bright and Dark Zone: Theoretical Backgrounds (음향 대조 및 밝기 제어: 이론적 배경)

  • Choi, Jung-Woo;Kim, Yang-Han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388-393
    • /
    • 2012
  • Acoustic brightness and contrast control are promising techniques for manipulating acoustic energy over selected zones of interest using loudspeaker arrays. In this paper, the fundamental theory and concept of the brightness and contrast control is review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wo different strategies are explained in terms of the constraint required to determine a unique solution among many possible candidates. The application examples and recent progresses of the brightness and contrast control are presented.

  • PDF

A Study on Quantification of Damping Efficiency of Acoustic Cavities by Absorption Coefficient (흡음 계수를 이용한 연소불안정 제어용 음향공의 감쇠 정량화)

  • Cha, Jung-Phil;Song, Jae-Gang;Hong-Jip Kim;Ko, Young-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5
    • /
    • pp.438-445
    • /
    • 2007
  • A Helmholtz resonator as a stabilization device to control high-frequency combustion instabilities in liquid rocket engine is adopted and its damping capacity is verified by linear acoustic analysis and atmospheric acoustic tests. To compare the results of acoustic attenuation effect in accordance with uni-resonator's geometry, quantitative analyses were made in the cases of various orifice diameters and lengths. Next, in the experiments to compare the results of acoustic attenuation effect by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sonators, damping capacity of harmful resonant frequency was improved by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resonators. On the other hand, attenuation efficiency of the frequency tended rather to lower due to over damp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absorption coefficient. As the result, tuning the suitable geometry for the resonator to the resonant frequency is required for the control using the resonator. Also, the design of resonator's geometry and the choice of its number are important to put up the optimal efficiency in consideration of restriction of its vol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