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풍경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고시조에 표현된 한국인의 소리인식 조사에 관한 연구 (The Korean's Sound Recognition Impressed in Ancient Sijo)

  • 이태강;장길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724-730
    • /
    • 2005
  • Literary works contain various human emotion and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It is very significant to understand sound recognition and receptions represented in many literary work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ound impression on ancient Korean Sijo( Korean Verse) involved various traditional korean emotion, which were expressed in different situations. Firstly we selected the appropriate Sijo to express sounds, and then classified the sound, analyzed the meaning of recognition to the sound. The number of 297 sounds were classified into 13 categories, and 20 emotional meanings. Especially, 'internal sadness' characterized the korean rooted emotion were more expressed than other meanings and this meaning were symbolized by the sound of wild geese and cuckoos.

복합소음 공간의 Soundscape에 대한 사운드 마스킹의 효과 (Effects of sound-masking on the soundscape of urban public spaces with multiple noises)

  • 정충일;유진;이평직;전진용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8-271
    • /
    • 2008
  • A sound-masking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urban public spaces with multiple noises in order to reduce the annoyance of the construction and traffic noise. In addition, the effects of masking system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scape. In several urban spaces, building construction and nearby road traffic noise were recorded using a head and torso simulator and sound quality (SQ) system which specifies the spectral and temporal aspects of the noises. The sound-masking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distributed speakers and control devices was applied to the boundaries of the construction sites. Synthesized masking sounds were produced with consideration of SQ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le noise. Subjective evaluations on the soundscape were conducted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system under the conditions with and without the masker sounds.

  • PDF

거리경관에 대한 청각적 이미지의 평가구조 - 대학생들의 음풍경 체험을 통한 의미론적 고찰 - (The Evaluation Structure of Auditory Images on the Streetscapes - The Semantic Issues of Soundscape based on the Students' Fieldwork -)

  • 한명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481-491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사운드스케이프의 의미론적 관점에 기초하여 도시의 거리경관에 관한 청각적 이미지의 평가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캡션평가법이라는 새로운 환경심리조사수법을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총45명의 대학생이 남원시의 주요 거리를 걸으면서 듣고 느끼는 소리의 이미지 파악을 위한 현장조사에 참가하고, 그 결과 청각적 경관에 대한 요소, 특징, 인상 및 선호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남원시에 있어서, 청각적 이미지의 구성 요소는 자연음, 그리고 기계음, 사회음, 지시음 등을 포함한 인공음으로 분류되고, 청각적 경관의 특징은 소리종류, 양태, 상황, 성질, 주변관계, 이미지 등으로, 그리고 청각적 경관의 인상은 인간의 감성, 거리의 분위기, 소리 자체의 특성이라는 3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청각적 경관과 판단과의 관계로 부터, 청각적 경관의 요소, 특징, 인상 등은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이미지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또한, 남원시의 거리경관의 평가구조모델로부터 그 장소 또는 공간의 청각적 이미지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도심 공원의 소리연출에 의한 사운드스케이프 개선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soundscape with providing sound in urban parks)

  • 김항;이태강;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18-1021
    • /
    • 2004
  •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troduce the soundscape design for urban parks. subjective response to soundscape for 4 urban park are carried out using 7 scale S.D. method which are included 25 adjective pairs. In order to recognized the effect environmental sound(bird singing, sweet environmental music, nature sound) for enriching the present sondscape, this study analyse the subject response for soundscape after and before using the environmental sou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visual atmosphere is higher than for auditory atmosphere of parks, this means that visual clues are much more effective to the environment condition than auditory clues. The effect of using the environmental sound is positive and effective to enrich the soundscape. On providing environmental soun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cteristics of urban parks.

  • PDF

실내조경에 사운드스케이프 음원 제공시 재실자의 음환경 만족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ccupants' Satisfaction for the Sound Environment When the Sound Source of Soundscape is Provided to the Interior Landscape)

  • 김호곤;국찬;백은선;백건종;송민정;신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07-314
    • /
    • 2011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nfluence of soundscape provided to the interior landscape on the improvement of occupants' sound environment. When soundscape was provided to occupants together with the interior landscape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interior landscape, the occupants' satisfaction seemed to be improved. The most preferred sound source among the three sound sources was considered as the sound of the grasshopper. When both of the interior landscape and the landscape substances was provided, the adjectives with the average difference of more than 1 are "Vicissitudinous", "Elegant" and "Cheerful". When the interior landscape and the sound source were provided, such adjectives as "Vicissitudinous", "Complex" and "Cheerful" are extracted. When all the variables were provided, such adjectives as "Vicissitudinous", "Abundant" and "Cheerful" seem to show the difference of more than 1. Regarding "Vicissitudinou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average difference of more than 1.5 was the biggest. Regarding the relative values of the ${\alpha}$ wave and the ${\beta}$ wave for each part, it seemed that the highest ${\alpha}$ wave was generated on the left parietal lobe of P3, while the lowest ${\beta}$ wave was generated on the left and right frontal lobes of Fp1 and Fp2. According to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soundscape and the interior landscape seemed to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the occupants' sound environment.

정신병원 치유정원의 음경관 디자인을 위한 소리효과 분석 - 심리적 및 생리적 효과를 중심으로 - (Analyses on Sound Effects for Soundscape Design of Healing Garden at Psychiatric Hospitals - Focused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

  • 안득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2-95
    • /
    • 2015
  •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청각적 요소의 심리적, 생리적 영향을 분석하여 정신병원 치유정원의 음경관 조성을 위한가이드라인을 얻는데목적이있다. 피실험자는전라북도에소재한정신병원의입원환자중주치의의추천을받은경증의 정신분열증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조사는 2011년 10월에 이루어졌다. 조사는 피실험자에게 물소리, 새소리, 풍경소리 및 음악소리 등의 단일음과 이들의 일부로 구성된 4개의 복합음을 각각 들려주고, 뇌파 및 심리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물소리는 기분 좋고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이미지로, 새소리는 듣기 좋고 유쾌한 소리로 인식되어 정신병원의 치유정원을 설계할 때에는 반드시 소리의 활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물소리는 선호도도 높고, 심리적 활력성에 미치는 영향도 여타의 단일음 보다 탁월하다. 마음의 평정심에는 음악소리가 큰 영향을 미치며, 물소리는 심리적 활력성과 평정심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심리적 영향에 대한 단일음과 복합음을 비교하면 활력성에는 물소리, 평정심에는 음악소리와 같이 단일음이 복합음보다 영향력이 크다. 복합음에 대한 선호도는 물소리와 새소리로 구성된 복합음이 상대적으로 높고, 대체적으로 물소리가 포함된 복합음이 선호되었다. 단일음에 대한 생리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마음의 평정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물소리나 새소리의 자연음보다는 인공음인 음악소리가 더 효과적이다. 생리적 반응에 있어서 평정심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복합음을 도입할 경우에는 음악소리와 새소리 또는 음악소리와 물소리를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복합음보다 단일음인 음악소리가 가장 효과적이다. 심리적 반응 및 생리적 반응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마음을 가장 평온하게 하는 것은 음악소리와 물소리이며, 가장 큰 활력을 불어 넣는 것은 물소리이다.

교동도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성과 재현 (On the Characteristic and Representation of Kyodong Island Soundscape)

  • 김지나;조경진;권병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7-75
    • /
    • 2019
  • 본 연구는 사운드스케이프를 통해 시각적 풍경 이면에 축적되어 있는 지역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전통을 경험할 수 있으며, 사운드스케이프를 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사운드스케이프는 M. Schafer가 비판적, 미적 관찰 대상이 되는 소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으로 시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을 사용함으로써 경관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평화의 섬'을 비전으로 하고 있는 DMZ 접경지역의 교동도에서 사운드스케이프를 조사, 분석한 후, 지역주민 교육과 방문객 경험을 위한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재탄생시키고자 하였다. 교동도는 DMZ 접경지역이자 섬 전체가 민간인 통제구역으로, 한국전쟁과 분단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격변을 겪었으며, 최근에는 지역활성화를 위한 민관의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한강하구중립수역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을 문화적으로 해석하여 '평화의 섬'으로서 새롭게 장소마케팅이 되고 있다. 교동도의 사운드스케이프 조사를 위해 먼저 사운드아티스트와 함께 사운드스케이프의 개념과 기술에 대한 워크샵을 실시하였으며, 이어 관찰조사, 청취조사, 문헌조사를 진행하였다. 녹음결과물은 Schafer의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에 맞추어 기조음, 신호음, 표식음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사운드맵으로 기록하였으며, 교동도의 지역특성과 비전을 반영하여 사운드스케이프 작곡의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스튜디오 작업을 진행하였다. 최종결과물은 '화합과 평화에 대한 희망과 염원'이라는 전체 주제를 바탕으로 '교동도와의 만남', '전쟁과 긴장', '교동도의 일상', '화합과 평화를 찾아서'로 세부 주제를 구성하였고, 전시와 YouTube를 통해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교동도의 역사 및 지역정체성을 보존하고, 새로운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매체로서 사운드스케이프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물을 교동도에서 역사적, 문화적으로 의미가 있는 기존 장소들을 활용하여 전시함으로써 공간활용을 제고하고, 지역 역사와 문화를 담은 관광자원뿐만 아니라, 교육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