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질 분석

Search Result 252, Processing Time 0.061 seconds

A comparison of commercial software for the sound quality analysis (음질 분석용 상용 소프트웨어 비교)

  • Shin Sung-Hwa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15-218
    • /
    • 2004
  • 제품 발생 소음의 음질 (sound qualif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음질 제어가 제품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음질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다수의 상용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지만 라우드니스 (loudness)를 제외한 음질인자 (sound quality metrics)들은 아직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질 분석을 위한 4 개의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정 신호의 라우드니스, 샤프니스 (sharpness), 러프니스(roughness), 변동강도 (fluctuation strength)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이미 표준화 된 라우드니스를 포함한 음질인자들의 계산 결과는 프로그램에 따라 무시할 수 없는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품의 음질 평가 시 사용된 분석 프로그램 따라 그 결과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향후 음질 인자의 표준화 및 음질 지수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 될 수 있다.

  • PDF

The Algorithm for pitch analysis of noise (소음의 피치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 Shin Sung-Hwa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41-544
    • /
    • 2002
  • 피치 (pitch)는 주파수와 관련된 인간이 실제 느끼는 음의 높이로 라우드니스 (loudness), 음색 (timbre)과 함께 소리의 음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치는 음성 해석 및 분리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소음 분석 및 음질 향상을 위한 방향으로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저막 (basilar membrane)의 위치에 따른 주파수 분리 이론인 위치이론 (place theory)을 기본으로 한 기존의 가상 피치 (virtual pitch) 분석 알고리즘을 소음에 적용하기 위해서 수정하고, 절러가지 소음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알고리즘은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의존한 방법이기 때문에, 토널 (tonal) 성분이 존재하는 소음의 적용에는 적합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그 이외의 소음에 대해서는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 (fundamental frequency)와 이와 관련된 고조파음(harmonics)이 음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소음의 음질 해석 린 음질 향상을 위해 본 연구의 알고리즘에 의한 피치 분석과 기존의 음질 인자를 적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소음의 예로는 엔진의 부밍 소음이나 기어 whine 소음 등이다.

  • PDF

Psycho-acoustical analysis of program feature of Symphonie Fantastique using Zwicker's sound quality parameters (쯔비커의 음질 파라메터를 이용한 환상교향곡 표제성의 심리음향학적 분석)

  • Chung, Haewook;Jeong, Soo-Ran;Cheong, Cheolu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1
    • /
    • pp.78-87
    • /
    • 2017
  • The goal of the present paper is to objectify the intrinsic subjectivity of sound as a media of music by applying psycho-acoustical methodology to the analysis of a musical work. First, 18 sound samples are extracted from "Symponie Fantastique" written by Hector Berlioz, which is a piece of program music, and then the objective Zwicher's sound quality parameters such as: Loudness, Sharpness, Roughness and Fluctuation Strength are evaluated for each of these sound samples. For subjective sound quality evaluation, 9 representative sound quality adjectives are extracted on a basis of program feature of Symponie Fantastique and the first jury test is carried out by using the numeric rating method and the paired comparison method. Three sound quality adjectives, "bright", "noisy", and "realistic" a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of the first jury test result. On a basis of the computed sound metrics and the second jury test result for the three sound quality adjectives, three sound quality indexes are developed to represent the sound qualities of "Symponie Fantastique".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pplied to the Subjective Test of the Sound Quality of the Car Audio (차량 음향 시스템의 음질평가를 위한 다변량 분산분석)

  • Choi, Kyung-Mee;Doo, Se-Ji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0 no.3
    • /
    • pp.475-485
    • /
    • 2007
  • In this work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subjective opinions of consumers towards the sound quality of car audios through a questionnaire. First of all, we chose eight controllable factors which had been known to affect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An orthogonal design of experiments was used to imitate the objective sound environments by reproducing the combinations of 8 sound characteristics, each with two levels. Then we defined 8 corresponding response variables to measure the subjective opinions towards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Finally, we applied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liance to explore the significant sound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 subjective opinions towards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A New Objective Speech Quality Measure Over Mobile Communication Using Bark Coherence Function (바크 코히어런스 함수를 이용한 이동 전화 음질 평가)

  • 박상옥;류승균;박영철;윤대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4B
    • /
    • pp.437-446
    • /
    • 2001
  • 음질 평가에는 주관적 음질 평가법과 객관적 음질 평가법이 있는데, 주관적 음질 평가법은 사람이 직접 듣고 평가하므로 실제 체감 음질을 나타낸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직접 평가되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객관적 음질 평가법은 수학적인 계산에 의하여 원음과 왜곡음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것으로 빠르고 비용이 적게 되나 실제 체감 음질과는 거리과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관적 음질 평가 척도로 BCF(Bark Coherence Function)을 제안한다. BCF는 심리 음향 영역에서 코히어런스 함수를 정의한 것으로 기존의 객관적 음질 평가법에 비하여 주관적 음질과 상관관계가 높고 계산량이 적다. CDMA 이동 전화 시스템의 음성 데이터와 회기분석 결과, BCF가 ITU-T 표준안의 PSQM(Perceptual Speech Quality Measure)와 MNB(Measuring Normalizing Block)에 비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갖음을 입증하였다.

  • PDF

Subjective Listening Test Methods by Reference CD Based on Sound Factors (음인자별 테스트용 Reference CD에 의한 주관적 음질평가법)

  • Kim Ki-duk;Choi Hoon-k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37-140
    • /
    • 2000
  • 스피커나 앰프 등의 음향기기의 음질을 평가한다는 것은 전기(electric)적인 신호와 음향(acoustic)신호의 종합적인 측정,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러한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외에 청취자의 심리상태와 관련하여 음질을 분석하는 주관적 음질 평가 역시, 계측기에 의한 측정의 한계와 귀의 탁월한 센싱능력에 힘입어 보편적인 음질 측정법으로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주관적 음질 평가법의 경우 개인적 취향이나 음에 대한 숙련정도에 따라 평가가 다를 뿐 아니라 개인의 심리상태에 따라서도 평가가 달라지는 등 그 재현성이나 객관성이 논란이 되어 왔고 이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으로서의 음향기기(여기서는 스피커)와 청취자의 심리를 포괄하는 시험법인 주관적 음질 평가법에 재현성이나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청감에 영향을 미치는 음색인자를 스피커의 특성과 인간의 청각에 근거하여 8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Test용 Reference CD를 제작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r Audio Sound Qualify Enhancement under Vehicle Noise (차량 주행소음을 고려한 자동차 오디오 음질 개선법 연구)

  • Park Seok Tae;Kim Kyung Hwan;Lee Jong Ky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74-277
    • /
    • 1999
  • 자동차 오디오는 차량의 상품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급 차량일수륵 또한 젊은 층일수록 차량 구매시 선택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동차 오디오는 크게 두가지 면에서 가정용 오디오와 차이가 있다. 첫번째는 청취공간이 매우 헙소하다는 것이고 둘째로는 주행시 차량소음이 차 실내로 유입되어 오디오 음질에 영향을 미친다. 차 실내는 즘은 공간 음향폭성으로 인한 음향 dip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오디오 음질의 왜곡을 가져오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라우드스피커 최적배치 뿐 아니라 주행소음에 대한 시험 및 분석을 하여 오디오 음질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 밴드를 파악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음에 차량소음이 섞인 경우에 대하여 차량의 라우드스피커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밴드별 출력을 디지털필터를 이용하여 수정하는 방법으로 음질 개선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필터의 보정치는 차량 주행소음 특성과 차 실내 음향특성을 고려하였다. 차량소음을 섞은 주파수 옥타브 밴드 분석법을 이용한 객관적인 분석과 감성적 분석법인 NCB곡선으로 차량소음을 분식하여 디지털 필터 보정치를 구하는데 사용하였다. 제안한 9가지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여 차량소음과 음악을 합성하였고 이중에서 좋은 음질에 대한 판정을 하기 위해 Scheffe가 제안한 7점 주관 평가법을 사용하여 64명이 내린 주관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r Audio Sound Quality Enhancement under Vehicle Noise and Its Subjective Evaluation (차량 주행소음을 고려한 자동차 오디오 음질 개선 및 주관적 음질평가 연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8
    • /
    • pp.108-115
    • /
    • 1999
  •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digital filter method to enhance car audio sound quality against the sound distortion due to cabin's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car driving noises. The digital filters designed we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n car driving noises and cabin acoustic characteristics. Car driving noises were analyzed by two ways; one is an objective method, octave band frequency analysis method. The other is a subjective method; sensory evaluation method, NCB method. On these results, seven sets of modified coefficients of eleven band digital filters were obtained. To find optimum audio sound quality among nine sound samples filtered by designing seven types of digital filters, which were mixed car driving noises at 100km/h,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was used, paired comparison method; Scheffe' seven point method.

  • PDF

A Study of the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for Environmental Noise Assessments Parameters (음질을 고려한 환경소음 평가 인자의 기여도분석에 관한 연구)

  • Jo Kyoung-Sook;Cho Yeon;Hwang Dae-Sun;Hur Deog-J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3
    • /
    • pp.129-136
    • /
    • 2006
  • For the environmental noise assessments. A weighted equivalent noise level (LeqA) is used to measure the time varying environmental noise.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ly reflect various environmental noise features and human emotions. The human perception of the noise is affected largely by the psychoacoustic characteristics of noise as well as the sound pressure level In this study, the effective factors of noise qualify are analyzed using the subjective assess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nvironmental noise, such as road traffic noise. construction site noise, noise in daily living. and other. The analysis methodology is composed to three steps as follows : firstly, the values of the sound qualify metrics of various noise sources were analyzed. And to classify the noise sources, we conducted a cluster analysis using sound quality metrics. Secondly, subjective jury test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methods of paired comparisons and semantic differential.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parameters and the noise quality metric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human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environmental noise are described in some physical parameters of the noise qualify metrics.

Trend of sound quality development in vehicles (자동차 음질 개발 동향)

  • Kang, Koo-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5a
    • /
    • pp.327-327
    • /
    • 2010
  • 자동차에서 실내음질은 구매결정 요소들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운전자가 기대하는 실내음질의 기대 수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소비자는 운전경험과 습관에 따라 기대하는 음질에 차이가 있고 소리에 대한 표현방식도 모호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관적 특성을 하나의 통일된 표현으로 정의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지난 이십여 년 동안의 음질개발과 차량 실내소음 주관평가의 통계처리로 통일된 표현을 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심리음향학 및 신호처리기술의 발달과 꾸준한 음질연구결과로 소리특성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소리의 시각화가 가능하였으며, 운전자가 인식하는 주관평가와의 상관관계를 높여 차량의 대표적인 음질인자로 정량화하여 음질목표를 설정할 수 있었다. 실내소음의 구성은 엔진 투과음, 흡배기 소음, 바람 소음, 도로 기인 소음 등으로 다양하므로 소음원에 따라 음의 균형을 맞추어 조화로운 음질개발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차량 판매되는 지역에 따라 선호음이 상이하여 지역별 실내음질의 차별화가 필요했다. 궁극적으로는 운전자의 감성품질을 만족할 수 있도록 음을 제어하여 브랜드 사운드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음질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음원과 전달경로에 대해 기여도를 분석하고, 경로를 구성하는 시스템 별로 세분화하여 시스템 목표를 설정하였다.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인자로 차량의 동강성 및 흡차음 성능을 들 수 있다. 특히 디젤차량의 비중이 큰 유럽업체의 차량의 동강성 및 흡차음 개발 능력은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유럽의 부품전문회사가 가지고 있는 해석과 시험적인 개발 방법을 통하여 전달계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강성 및 흡차음 특성을 개발하고 있다. 차량음질 튜닝의 중요한 기법 중 하나로 흡배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자동차인 하이브리드차량, 전기차량 및 연료전지차량의 경우 전기구동부품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음 발생을 최소화 했다. 보행자를 보호하고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하기 위한 가상사운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 수익성 향상을 위한 원가절감 및 구조 경량화에 따른 음질악화와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고성능 고출력 엔진탑재에 따른 음질악화 요인을 극복해야 했다. 운전자의 청감은 차량의 운전성에 따라서도 크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엔진제어와 변속기제어를 통해 음질과 운전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향후, 소음원에 따른 시스템 최적화 개발, 운전성과 음질 연계 개발과 친환경차량의 가상사운드 개발 등이 자동차 음질 개발의 중요한 이슈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