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질 등급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초고속 네트워크 상의 전송 품질에 관한 주관적 평가 (Subjective Evaluation of Transmission Quality on Very high-speed Network)

  • 남동우;이재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513-1516
    • /
    • 2001
  • 본 논문은 기가비트 네트워크 테스트베드인 JGN상에서 대표적인 스트림형 트래픽인 DV와 MPEG2에 대한 전송 품질의 주관적 평가를 통하여 전송지연과 패킷 손실에 따른 영향이 최종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한 것이다. 스트림형 데이터에 대해 음질 측정은 ITU-R BS.1116-1을 기반으로 하고 화질 측정은 ITU-R BT.500-1 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최종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DSCQS 5 단계 평가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MPEG2 스트림의 경우 네트워크 트래픽 파라미터가 급증하는 54%의 부하율에서 화질과 음질의 평가 등급이 급격히 하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DV의 경우 화질은 MPEG2 와 마찬가지로 54%의 부하율에서 평가 등급이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나 그 변화정도가 MPEG2 에 비하여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DV 음질의 경우 트래픽 파라미터(RTT, 패킷 손실)와는 큰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고 대부분의 측정자들이 보통 수준의 평가등급을 보였다.

  • PDF

쯔비커의 음질 파라메터를 이용한 환상교향곡 표제성의 심리음향학적 분석 (Psycho-acoustical analysis of program feature of Symphonie Fantastique using Zwicker's sound quality parameters)

  • 정혜욱;정수란;정철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8-8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심리음향학적 연구 방법론을 음악의 작품 분석에 적용하여 음악의 매개체인 소리에 내재된 주관성을 객관화하고자 한다. 먼저, 대표적인 표제음악인 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에서 18개의 샘플음원을 추출한 다음 쯔비커의 음질 파라메터(Loudness, Sharpness, Roughness, Fluctuation Strength)를 이용해서 샘플음원의 객관적 음질을 평가하였다. 주관적 음질 평가를 위하여 환상교향곡의 표제성을 기초로 9개의 대표 음질형용사를 추출한 다음 수치등급평가법과 쌍대비교법을 사용하여 1차 청음평가를 수행하였다. 1차 청음평가결과의 요인분석법을 통하여 "밝은", "시끄러운", "현실적인"의 세 가지 음질을 추출하였다. 세 가지 음질 형용사를 사용하여 2차 청음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객관적 음질 파라메터와 상관분석을 수행하여 음질지표를 개발하였다.

차량 D 단 소음의 음질 인덱스 및 등급화 구축 (Construction of the Sound Quality Index and Grade at Automotive Level D Noise)

  • 윤태건;박상길;심현진;이정윤;오재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논문집(수송기계편)
    • /
    • pp.186-189
    • /
    • 2005
  • Since human listening is very sensitive to sound, a subjective index of a sound quality is required. Therefore, in the analysis for each situation, the sound evaluation is composed with sound quality factor. Many researchers spends their effort to make a more reliable and more accurate of sound in term of sound quality index for various system noise. In this study a reliable index is constructed and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weighting factor for each sound quality factor. We have made the sound quality index that agrees with more than human subjective sensitivity which apply to various sound quality metrics. Also we applied a 'grade' metric to jury for sound evaluation, analyzed relation between sound duality index and sound quality grade. Then we will judge the sound quality level according to the sound quality grade scheme.

  • PDF

초고속 네트워크 상에서의 스트림형 트래픽의 전송 품질 평가 (Evaluation of Transmission Quality for Stream-type traffics on Very High-speed Network)

  • 이양민;이재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6호
    • /
    • pp.773-78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스트림형 트래픽인 DV와 MPEG2를 초고속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하고 이들 스트림에 대한 최종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두 가지 스트림형 데이터에 대해 화질 측정은 ITU-R BT.500-1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하였고, 음질 측정은 ITU-R BS.1116-1을 기반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최종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를 얻기 위한 실험 방법으로는 DSCQS 5단계 평가 방법을 채택하였다. 유사한 조건하에서 MPEG2 스트림의 경우, 네트워크 트래픽 파라미터가 급증하는 $54\%$의 부하율에서 화질과 음질의 평가 등급이 급격히 하강한다. DV의 경우 화질은 MPEG2와 마찬가지로 $54\%$의 부하율에서 평가 등급이 하락하지만 그 변화의 정도가 MPEG2에 비해 완만하며 점진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DV 음질의 경우는 부하율 $70\%$까지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 등급이 우수하여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를 고려한 트래픽 제어 및 QoS 제어가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MPEG2의 경우는 네트워크 상의 실측값과 최종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가 거의 동일하므로, 네트워크 실측값만으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하고, DV의 경우는 네트워크 상의 실측값과 최종 사용자의 주관적 평가 등급을 동시에 고려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하다.

MTS기법을 이용한 차량 D단 소음의 음질 평가 및 음질 등급화 구축 (Sound Quality Evaluation and Grade Construction of the Level D Noise for the Vehicle Using MTS)

  • 박상길;박원식;심현진;이정윤;오재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93-399
    • /
    • 2008
  • The reduction of the Vehicle interior noise has been the main interest of NVH engineers. The driver's perception on the vehicle noise is affected largely by psychoacoustic characteristic of the noise as well as the SPL. The previous methods to evaluation of the SQ about vehicle interior noise ar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subjective SQ metrics by statistics and the estimation of the subjective SQ values by neural network. But these are so depended on jury test very much that they result in many difficulties. So, to reduce jury test weight, we suggested a new method using Mahalanobis distance for SQ evaluation. And, optimal characteristic values influenced on the result of the SQ evaluation were derived by signal to noise ratio(SN ratio) of the Taguchi method. Finally, the new method to evaluate SQ is constructed using Mahalanobis-Taguchi system(MTS). Furthermore, the MTS method for SQ evaluation was compared by the result of SQ grade table at the previous study and their virtues and faults introduced.

초고선명 디지털 TV 를 위한 차세대 라우드스피커 레이아웃 (Next-generation loudspeaker layout for Ultra High Definition (UHD) Digital TV)

  • 이영우;김선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7-6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초고선명 디지털 TV 를 위한 차세대 멀티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최적의 라우드스피커 레이아웃을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라우드스피커 배치 환경에서 인지 관점의 오디오 음질 주관평가를 실시하였다. NHK 22.2 채널 시스템, ITU-R BS.775-2 표준의 7.1 채널 시스템과, 실감 음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Top Layer 라우드스피커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신규 레이아웃 구성들을 비교하였으며, 스튜디오에서 믹싱된 컨텐츠와 B-format 레코딩을 멀티채널로 생성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주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주관 평가 결과, Top Layer 에 3 개의 라우드스피커를 가지는 10.2 채널 라우드스피커 레이아웃이 평가에서 사용된 전체적인 오디오 음질의 등급에서 NHK 22.2 채널 시스템과 차이를 인지하기 어렵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국립공원 내 소리 분포 특성 분석 연구 - 무등산국립공원 - (Analysis of Sou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ts Impact on National Park - Mudeungsan National Park -)

  • 유지수;류훈재;문성준;장서일;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50-35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에서 자연의 소리는 생태계의 구성요소임과 동시에 탐방객들이 공원을 체험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국립공원 내 소음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자연의 음환경(Soundscape) 보존 및 복원을 위한 노력은 국립공원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국립공원에서는 소음 관리 및 음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무등산국립공원은 호남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자연보호지역 중 하나로 계절별 동물이 우는 소리, 물소리, 바람 소리 등 탐방객들에게 자연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지만 대도시에 인접해 있고 공원 내부로 도로 및 대규모 시설지가 인접해있는 등 소음이 발생하여 공원 내 음환경에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음지도, 탐방로 소리등급도, 주요 지점의 음환경 녹음 데이터, 소리자원 분포도 등의 분석을 통해 무등산국립공원 내 소리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광범위한 소음의 영향을 나타냄으로써 음환경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는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인력과 장비의 한계로 인하여 소음지도, 탐방로 소리등급도, 소리자원 분포도의 속성 데이터 수집 기간이 상이한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탐방 만족도 및 자연의 음환경 보존 등을 목표로 향후 지속적인 음환경 보존 및 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