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질 개선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Voice/Unvoice Decomposition in Noisy Background (이중 여진 음성모델을 이용한 음질개선)

  • 유창동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175-178
    • /
    • 1998
  • 음질개선에 이줄 여진(Double Excitation) 음성모델을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유성음과 무성음 성분들로 분리하는 이 방법은 각 성분들의 고유한 성질을 이용하여 음질을 저하시키는 wideband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이중 여진 음성모델을 이용한 음질개선 시스팀과 기존의 스펙트랄 제거(spectal subtraction) 알고리즘을 비공식적으로 비교한 결과 이중 여진 모델을 이용한 방법이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 PDF

Improving Noise Performance of CS-ACELP Coder by Energy Matching Method (에너지정합방법을 이용한 CS-ACELP 음성부호화기의 잡음특성 개선)

  • 이행우;박기영;김종교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8B
    • /
    • pp.1070-1077
    • /
    • 2001
  • 본 논문은 여러 배경잡음에서 높은 성능을 나타내는 8 kbps CS-ACELP 부호화기의 음질개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형정합방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CELP 부호화기가 순수한 음성신호에 대해서는 우수한 음질을 제공하지만, 배경잡음에 대해서는 큰 음질저하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성신호뿐만 아니라 이러한 배경잡음에 대해서도 우수한 음질을 달성하는 에너지정합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부가적인 비트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음질을 개선한다. 실험 결과, 객관적 평가에서는 MSEGSNR이 0.01∼1.1dB 증가하였고, 주관적 평가에서는 MOS 점수가 평균 0.2, 최대 0.5점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PS 알고리즘을 적용한 부호화기의 음질이 최대 12%까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The Study for Quality Enhancement by Inter-Band Smoothing Using Masking Effect Analysis (마스킹 특성을 이용한 Inter-band Smoothing기법을 통한 음질 개선에 관한 연구)

  • 엄혜영;김헌중;차형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83-18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신호의 마스킹 특성을 이용한 Inter-Band Smoothing 기법을 통한 음질 개선 연구를 하였다. 이것은 임계 대역 신호 처리 후 신호의 전체 신호 대 마스킹 비를 보상해 주는 방식으로, 각 대역의 여기(Excitation) 에너지로부터 근사화 시킨 전역 마스킹 임계치를 통한 보상 기법이다. 잡음 에너지 제어를 통한 음질 개선알고리즘을 이용한 실험 결과 보다 자연스러운 음질의 제공을 통해 MOS의 개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On the Use of a KAK Filter for Enhancement of Noisy Speech (KAK 필터를 이용한 잡음이 섞인 음성의 음질향상)

  • 조동호;유득수;은종관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48-57
    • /
    • 1986
  • 광대역 또는 협대역잡음이 섞인 음성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 KAK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 안한다. KAK 필터는 그 구조가 간단하지만, 잡음이 섞인 음성의 음질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객관적인 음질척도로 볼 때 spectral subtraction 방법과 성능이 비슷하다. 또한 귀로 들어봐도 kak 필터를 사용한 경우와 spectral subtraction 방법을 이용한 경우의 개선된 음질이 거의 비슷하다. 그런데 이 kak 필터는 구조가 다른 기존방법보다 훨씬 간단하며, 다른 음질개선 알고리즘과는 달리 음성과 묵음의 판별이 필 요하지 않다. 또한 kak 필터는 ADPCM과 같은 파형 부호화기와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깨끗 한 음성뿐만 아니라 잡음이 섞인 음성을 부호화하는데 있어서 제안한 kak 필터를 ADPCM과 같은 파형 부호화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 PDF

Audio Enhancement Algorithm Using Adaptive Perceptual Filter (적응 지각 필터를 이용한 오디오 음질 개선 알고리즘)

  • 엄혜영;한헌수;홍민철;차형태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8
    • /
    • pp.687-693
    • /
    • 2003
  • In this paper, a new adaptive audio signal enhancement algorithm is proposed. In order to remove a broadband noise from a noisy signal, a filter is designed and applied adaptively to noisy audio signal. The noisy signal is first transformed to frequency domain and divided into bark domain to calculate excitation energy. A filter will be calculated to eliminate the noise by using the excitation energy and noisy energy which is obtained from a silent area. The filter is adaptively adjusted and continuously applied until the threshold point is met. The algorithm also works well even though the noise's energy change all of a sudden. SNR, NMR comparison and MOS Test are perform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On-line noise coherence estimation algorithm for binaural speech enhancement system (양이형 음성 음질개선 시스템을 위한 온라인 잡음 상관도 추정 알고리즘)

  • Ji, Youna;Baek, Yong-hyun;Park, Young-cheo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5 no.3
    • /
    • pp.234-242
    • /
    • 2016
  • In this paper, an on-line noise coherence estimation algorithm for binaural speech enhancement system is proposed. A number of noise Power Spectral Density (PSD) estimation algorithms based on the noise coherence between two microphon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speech enhancement performance. In the conventional algorithms, the noise coherence was characterized using a real-valued analytic model. However, unlike the analytic model, the noise coherence between the two microphones is time-varying in real environments. Thus, in this paper, the noise coherence is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the acoustic environment to track the realistic noise coherence. The noise coherence can be updated only during the absence of speech, and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over the conventional algorithms based on the analytic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of Perceptual Filter Using Noise Energy Control (잡음 에너지 제어를 통한 지각 필터 성능 개선)

  • Seo Joung-Kook;Cha Hyung-Ta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1
    • /
    • pp.43-51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improves a tone quality of a noisy audio signal in order to enhance a Performance of perceptual filter using noise energy control. Most of the algorithms which were proposed by the other researchers usually applied a filter using the noise energy acquired from a silent range. In this case. the improvement rate of tone quality decreases if the noise energy is changed by the magnitude or environment variation in a signal frame. Bu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the means to find a food estimated noise through energy control of the estimated noise which is obtained from a silent range. Also we can get the enhancement of tone qualify in low frequency band unlike other methods.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various input signals which had a different signal-to-noise ratio (SNR) such as 5dB, l0dB, 15dB and 20dB were used to test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e proposed algorithm, we could confirm the enhancement of tone quality in terms of segmental SNR (SSNR). noise-to-mask ration (NMR) and mean opinion score (MOS) test.

Audio Quality Enhancement using Perceptual Property at a Low-bitrate Compression (지각적 특성을 이용한 저 비트오율 압축 오디오 음질개선)

  • Cha Hyuk-Geun;Chae Byoung-Koog;Cha Hyung-Ta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75-27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저 비트오율 압축 시 발생되는 신호 왜곡을 인간의 지각적 특성을 이용하여 음질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저 비트오율 압축 과정에서 손실된 고주파 영역의 신호를 부가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손실되지 않은 영역의 정보를 사용하여 고주파 영역의 신호를 첨가함으로써 음질을 개선하였다. 비 손실 영역의 순음 및 비 순음 성분을 검출하여 손실영역에 해당 하모닉 성분을 청각 자극 에너지로 스케일 하여 새로운 신호를 첨가한다. 원 신호와 저 비트오율 압축으로 인해 왜곡된 신호, 그리고 본 논문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선된 신호를 신호 대 잡음 비를 측정하고 청감 테스트를 통해 음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Signal Quality Enhancement using Perceptual Convolutional Noise Suppression (지각형 컨벌루션 잡음 제어를 통한 음질 개선 방법)

  • 김헌중;한헌수;홍민철;차형태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8 no.1
    • /
    • pp.11-18
    • /
    • 2003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ovel signal quality enhancement algorithm with a perceptual interference analysis and perceptual convolutional noise suppression. A perceptual convolutional noise is reflected in the audible disturbance that can still be recognized after the additional noise suppression and tonality change which is caused by the noise energy excitation. The enhancement system is organized with a perceptual additional noise suppression part and a perceptual convolutional noise suppression par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se two parts have an equivalent quality enhancement performance.

Refinement of Vehicle Cabin Noise by Changing Interior Trims (흡음/차음재 변경에 의한 차실 내부소음 개선)

  • 김재권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107-110
    • /
    • 1998
  • 차량의 주요 소음원부터 실내 탑승자의 귀의 위치까지 도달되는 소음의 전달에 대한 전체적인 경로 및 주파수특성에 대한 해석은 차량의 구조-음향적인 특성이 복잡하므로 매우 어렵다. 그러나, 중-고주파수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는 흡차음재가 유용함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차실 벽면에 사용된 흡/차음재는 소음레벨에 부분적인 기여를 함은 물론이고 음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소음 레벨에 있어서는 수백 Hz 이하의 저주파수 성분이 주요하며, 음질에는 중-고주파수 대역의 소음특성이 큰 영향을 미친다[1].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으로 측정된 소음원의 특성을 수치해석 모델에 이용하여 소음레벨 저감과 음질개선을 위한 흡/차음재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