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질평가

Search Result 35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Non-Intrusive Speech Quality Estimation of G.729 Codec using a Packet Loss Effect Model (G.729 코덱의 패킷 손실 영향 모델을 이용한 비 침입적 음질 예측 기법)

  • Lee, Min-Ki;Kang, Hong-G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2
    • /
    • pp.157-166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non-intrusive speech quality estimation method considering the effects of packet loss to perceptual quality. Packet loss is a major reason of quality degradation in a packet based speech communications network, whose eff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put speech characteristics or the performance of the embedded packet loss concealment (PLC) algorithm. For the quality estimation system that involves packet loss effects, we first observe the packet loss of G.729 codec which is one of narrowband codec in VoIP system. In order to quantify the lost packet affects, we design a classification algorithm only using speech parameters of G.729 decoder. Then, the degradation values of each class are iteratively selected that maximizes the correlation with the degradation PESQ-LQ scores, and total quality degradation is modeled by the weighted sum. From analyzing the correlation measures, we obtained correlation values of 0.8950 for the intrusive model and 0.8911 for the non-intrusive method.

A Study on the Car Audio Sound Quality Enhancement under Vehicle Noise and Its Subjective Evaluation (차량 주행소음을 고려한 자동차 오디오 음질 개선 및 주관적 음질평가 연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8
    • /
    • pp.108-115
    • /
    • 1999
  •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digital filter method to enhance car audio sound quality against the sound distortion due to cabin's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car driving noises. The digital filters designed we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n car driving noises and cabin acoustic characteristics. Car driving noises were analyzed by two ways; one is an objective method, octave band frequency analysis method. The other is a subjective method; sensory evaluation method, NCB method. On these results, seven sets of modified coefficients of eleven band digital filters were obtained. To find optimum audio sound quality among nine sound samples filtered by designing seven types of digital filters, which were mixed car driving noises at 100km/h,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was used, paired comparison method; Scheffe' seven point method.

  • PDF

Speech Quality Measur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PLP Cepstral Distance with CMS (심리 음향 겝스트럼 평균 차감법을 이용한 이동 전화망에서의 음질 평가)

  • 윤종진;박상욱;박영철;안동순;윤대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12B
    • /
    • pp.2046-205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음질 평가 방법들보다 우수할 뿐 아니라 다양한 채널 경로의 음성 신호에 대해서도 일관된 성능을 갖는 새로운 음질 평가 방법 PLP-CMS(Perceptual Linear Predictive-Cepstral Mean Subtraction)를 제안한다. CDMA PCS 이동 전화 환경에서 음성 신호의 주관적 음질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PLP-CMS는 심리 음향 선형 예측 분석(PLP Analysis: Perceptual Linear Predictive Analysis)을 이용하여 주관적 음질과의 상관 관계를 높였으며, 겝스트럼 평균 차감(CMS: Cepstral Mean Subtraction) 과정을 통하여 PSTN 경로에 무관하게 일관된 성능을 갖음을 확인하였다.

  • PDF

Speech Quality Measure for VoIP Using Wavelet Based Bark Coherence Function (웨이블렛 기반 바크 코히어런스 함수를 이용한 VoIP 음질평가)

  • 박상욱;박영철;윤대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7 no.4A
    • /
    • pp.310-315
    • /
    • 2002
  • The Bark Coherence Function (BCF) defies a coherence function within perceptual domain as a new cognition module, robust to linear distortions due to the analog interface of digital mobile system. Our previous experiments have shown the superiority of BCF over current measures. In this paper, a new BCF suitable for VoIP is developed. The unproved BCF is based on the wavelet series expansion that provides good frequency resolution while keeping good time locality. The proposed Wavelet based Bark Coherence function (WBCF) is robust to variable delay often observed in packet-based telephony such a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We also show that the refinement of time synchronization after signal decomposi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WBCF. Th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VoIP speech data.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standard error of estimates computed using the WBCF showed noticeable improvement over the Perceptual Speech Quality Measure (PSQM) that is recommended by ITU-T.

Objective measurement of spatial auditory quality for multi channel audio codecs (멀티채널 오디오 압축 코덱 음질의 객관적인 측정방법)

  • Choi, In-Yong;Chon, Sang-Bae;Sung, Koeng-Mo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5.11a
    • /
    • pp.431-434
    • /
    • 2005
  • 본 논문은 멀티채널 오디오 압축 코덱의 음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파라메터에 관한 것으로,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양이입력신호(ear input signals)를 만들어내는 전처리 과정과 이 과정을 통해 출력되는 양이입력신호로부터 양이레벨차이왜곡(inter-aural level difference distortion)을 구하는 과정 및 양이레벨차이왜곡이 청취평가 결과와 일관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을 서술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멀티채널 오디오 압축 코덱의 음질을 선별된 청취자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와 통계처리 없이 객관적인 측정만을 통해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사용하면 멀티채널 오디오 압축 코덱 개발자들이 시간, 경제적 부담 없이 자신이 개발한 압축 코덱의 음질을 간단하게 평가해볼 수 있다.

  • PDF

A comparison of commercial software for the sound quality analysis (음질 분석용 상용 소프트웨어 비교)

  • Shin Sung-Hwa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15-218
    • /
    • 2004
  • 제품 발생 소음의 음질 (sound qualif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음질 제어가 제품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음질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다수의 상용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지만 라우드니스 (loudness)를 제외한 음질인자 (sound quality metrics)들은 아직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질 분석을 위한 4 개의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정 신호의 라우드니스, 샤프니스 (sharpness), 러프니스(roughness), 변동강도 (fluctuation strength)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이미 표준화 된 라우드니스를 포함한 음질인자들의 계산 결과는 프로그램에 따라 무시할 수 없는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품의 음질 평가 시 사용된 분석 프로그램 따라 그 결과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향후 음질 인자의 표준화 및 음질 지수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 될 수 있다.

  • PDF

The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Synthesized by Rule According to Korean Syllable Types (음절 유형별 규칙합성음 음질평가)

  • 강찬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93-97
    • /
    • 1993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어변환(TTS:Text-to-Speech) 시스템내에서의 음성합성시 음질 및 자연성 개선을 위한 연구 결과이다. 합성음 평가방법으로는 한국어 발음대사전에 수록된 빈도수 순위대로 추출한 음절(V형: 19개, CV형:80개, VC형:30개, CVC형: 100개, 총 229개)을 대상으로 규칙합성시킨 1음절어(합성음절수:229개)중 음절유형별로 15개씩 총 60개 음절을 20초간 3회 반복음의 녹음 테이프를 작성한 합성음에 대하여 사전지식이 없는 임의의 그룹을 선정하여 이해도, 명료도, 잡음감, 자연성 등 4 가지 항목에 대하여 오피니온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음질(Voice Quality)에 관한 청지각적 훈련자료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심현섭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198-199
    • /
    • 2003
  • 최근에 음성언어장애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평가 및 치료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음성평가 기준 및 치료 자료가 충분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음성 평가를 실시할 때에도 각 치료실마다 음성 평가에 사용하는 장비가 달라 결과물의 해석에 다소 차이가 있으며, 또한 같은 장비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음성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준화된 절차 및 자료에 따라 평가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표준화된 측정절차에 대한 요구는 개인적인 기준으로 좌우될 수 있는 주관적인 평가에서는 더욱 절실하다. 음성의 지각적 평가에서 중요한 측면 중에 하나는 음성의 질에 정확한 판단 및 이에 대한 자료공유 및 정보교환이다. 현재 음성의 질에 대한 측정평가를 위해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가 GRBAS 방법이 간편하여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나 음성의 질에 대한 세밀한 평가를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자주 사용되는 음질 용어에 대한 우리말 용어를 통일의 필요성의 시급한 실정에 기초하여 이를 대표할 수 있는 음성샘플 자료의 구축마련을 위한 일종의 발제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각 음성 및 언어치료실에서 음성의 질에 대한 청지각적 평가에 공통 기준을 마련하고, 임상교육 적인 목적으로 청지각적 훈련 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중략)

  • PDF

The Criterion of Speech Quality Measurement for VoIP (VoIP를 위한 음질 평가 기준 연구)

  • Cho A Seo;Park Sang Wook;Park Young Chul;Youn Dae He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21-224
    • /
    • 2002
  • VoIP 음성 통신 시스템에서 통화를 할 때, 네트워크 상황이 나빠짐에 따라 시간 지연, 패킷 손실, 지터 등의 QoS 파라미터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므로 통화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통화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통화 품질과 QoS 파라미터와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통화 품질과 QoS 파라미터와의 상관관계를 회귀 분석을 통해 도출해 내었다. 제시된 음질 평가 기준은 QoS 파라미터만을 가지고 음질을 예측하기 때문에 계산량이 매우 적으며, 음질 평가 수행 중에 음성 통신 시스템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