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질평가

Search Result 35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Objective Sound Quality Evaluation Method Based on Subjective Sound Quality Evaluation (주관적 음질 평가 모델을 이용한 객관적 음질 평가 방법의 개발)

  • Kim Jong-Bae;Sung Ho-Young;Lee Joon-Hyun;Jang S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15-118
    • /
    • 2004
  • 일반적으로 오디오 시스템 혹은 AV 장치의 음질 평가는 숙련된 음질 평가자(Trained Listeners)의 주관적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평가자의 개인적 선호도(Preference) 및 청취 환경에 따라 음질 평가 결과가 왜곡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주관적인 음질 평가 방법은 음질 평가자의 체감 음질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성 및 시불변성에 취약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시스템 혹은 AV 장치에 대한 주관적인 음질 평가 방법을 기본 모델로 이용하여 주관적 음질 평가 항목과 계량화가 가능한 객관적 음질 평가 항목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여 기존의 주관적 음질 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 객관적 음질 평가 방법을 새로이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an Automatic Speech Quality Evaluator for Analog Cellular System (아날로그 셀룰라 시스템을 위한 자동 음질 평가기 개발)

  • 박상욱;최용수;정성교;윤대희;이충용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7
    • /
    • pp.28-3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 이동 전화 환경에서의, 객관적인 음질 평가 척도를 사용하 여 주관적 음질을 추정하는 이동전화 자동 음질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동전화의 통화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동전화의 네트워크를 계속하여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주관적 음질 평가는 사람의 체감을 직접 나타내는 것이므로 실제적인 음질을 평가하는데 중 요한 척도가 되지만,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므로 다양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음질을 평가하는데 부적절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객관적 음질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음질 평가 척도를 예측하는 자동 음질 평가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반복된 실험을 통 하여 BSD(Bark Spectral Distance)가 주관적 음질 평가 척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 인하였으며 원래의 음성과 이동 전화 채널을 통과한 음성과의 BSD를 측정한 후 이를 바탕 으로 MOS(Mean Opinion Score)를 추정하는 자동 음질 평가 시스템(Automatic Speech Quality Evaluator)을 개발하였다.

  • PDF

객관적 음질평가 기법 연구

  • 이신열;최낙진;성광고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2 no.10
    • /
    • pp.24-34
    • /
    • 2005
  •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한 후에 그 시스템과 구성 요소가 최종적으로 음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음질평가 기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사람의 귀로 듣고 평가하는 주관평가 방법이고, 두 번째는 측정 데이터로부터 객관적으로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주관적 음질평가 방법은 사람이 직접 귀로 듣고 평가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불안정한 요소를 안고 있다. 주관 평가자의 신체적$\cdot$심리적 상태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으며, 개개인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내기도 한다. 따라서, 주관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통계적인 데이터를 얻고 평가자를 올바르게 훈련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비된다. 따라서 측정 데이터로부터의 정교한 계산을 통하여 라우드스피커의 음질을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 및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 데이터로부터 시스템의 음질을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새롭게 제안한다. 이것은 ITU-R Recommendation BS. 1387인 PEAQ를 사용하여 라우드스피커의 음질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A New Objective Speech Quality Measure Over Mobile Communication Using Bark Coherence Function (바크 코히어런스 함수를 이용한 이동 전화 음질 평가)

  • 박상옥;류승균;박영철;윤대희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4B
    • /
    • pp.437-446
    • /
    • 2001
  • 음질 평가에는 주관적 음질 평가법과 객관적 음질 평가법이 있는데, 주관적 음질 평가법은 사람이 직접 듣고 평가하므로 실제 체감 음질을 나타낸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직접 평가되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객관적 음질 평가법은 수학적인 계산에 의하여 원음과 왜곡음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것으로 빠르고 비용이 적게 되나 실제 체감 음질과는 거리과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관적 음질 평가 척도로 BCF(Bark Coherence Function)을 제안한다. BCF는 심리 음향 영역에서 코히어런스 함수를 정의한 것으로 기존의 객관적 음질 평가법에 비하여 주관적 음질과 상관관계가 높고 계산량이 적다. CDMA 이동 전화 시스템의 음성 데이터와 회기분석 결과, BCF가 ITU-T 표준안의 PSQM(Perceptual Speech Quality Measure)와 MNB(Measuring Normalizing Block)에 비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갖음을 입증하였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f sound quality evaluation of cochlear implant users (인공와우 사용자의 심리음향적 음질평가 예비연구)

  • Bahng, Junghwa;Oh, Soo He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1
    • /
    • pp.45-51
    • /
    • 2022
  • Sound quality evaluation is one of the psychoacoustic methods to measure subjective judgements for sound col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und quality benefits of bimodal users by comparing sound quality scores between bimodal hearing condition and unilateral cochlear implant(CI) condition as a preliminary study. Thirteen bimodal users and seven unilateral CI us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udiologists performed pure tone and speech audiometry and measured functional gain and real-ear insertion gain. Subjective assessment of sound quality was followed with four sounds including violin sound, male and female voices, and refrigerator noise. Participants judged the sound quality with six sound quality index. Bimodal users showed mean 0.8 points more sound quality improvements in bimodal condition than unilateral CI condition. Group comparison between bimodal and unilateral CI users showed no differences. A follow-up study of sound quality tools an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subjective bimodal benefits of cochlear implant users.

Subjective Listening Test Methods by Reference CD Based on Sound Factors (음인자별 테스트용 Reference CD에 의한 주관적 음질평가법)

  • Kim Ki-duk;Choi Hoon-k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37-140
    • /
    • 2000
  • 스피커나 앰프 등의 음향기기의 음질을 평가한다는 것은 전기(electric)적인 신호와 음향(acoustic)신호의 종합적인 측정,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러한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외에 청취자의 심리상태와 관련하여 음질을 분석하는 주관적 음질 평가 역시, 계측기에 의한 측정의 한계와 귀의 탁월한 센싱능력에 힘입어 보편적인 음질 측정법으로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주관적 음질 평가법의 경우 개인적 취향이나 음에 대한 숙련정도에 따라 평가가 다를 뿐 아니라 개인의 심리상태에 따라서도 평가가 달라지는 등 그 재현성이나 객관성이 논란이 되어 왔고 이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으로서의 음향기기(여기서는 스피커)와 청취자의 심리를 포괄하는 시험법인 주관적 음질 평가법에 재현성이나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청감에 영향을 미치는 음색인자를 스피커의 특성과 인간의 청각에 근거하여 8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Test용 Reference CD를 제작하였다.

  • PDF

Review of Standard Sound Quality Assessment Methods for the Transmitted and Processed Sounds (음질 평가법의 표준과 연구 동향 - 전송 처리음 분야)

  • Oh, Wongeu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3
    • /
    • pp.214-226
    • /
    • 2013
  • Assessing the quality of audio signal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making high quality sounds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is paper provides a general framework of sound quality and a technical overview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methods which are described in ITU-T, ITU-R, IEC and ANSI Recommendations in the speech intelligibility, speech quality, and audio quality areas. In addition, some recent findings and future works are included.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binaural sound assessment system using psychoacoustic parameters (청각 감성 인자를 이용한 바이노럴 음질 평가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임준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85-88
    • /
    • 1998
  • 심리음향학적으로 소리의 감성 요소를 평가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나 뚜렷한 결과가 나온 것은 많지 않다. 또한 감성 인자 평가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도 정확히 나와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심리음향학 인자로 loudness, sharpness, roughness, fluctuation strength, pleasantness, annoyance를 사용하며, 이러한 인자들을 이용하여 바이노럴 음질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바이노럴 음질 평가 시스템의 객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성 실험을 실시하였고 인성 실험 결과와 음질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Psycho-acoustical analysis of program feature of Symphonie Fantastique using Zwicker's sound quality parameters (쯔비커의 음질 파라메터를 이용한 환상교향곡 표제성의 심리음향학적 분석)

  • Chung, Haewook;Jeong, Soo-Ran;Cheong, Cheolu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1
    • /
    • pp.78-87
    • /
    • 2017
  • The goal of the present paper is to objectify the intrinsic subjectivity of sound as a media of music by applying psycho-acoustical methodology to the analysis of a musical work. First, 18 sound samples are extracted from "Symponie Fantastique" written by Hector Berlioz, which is a piece of program music, and then the objective Zwicher's sound quality parameters such as: Loudness, Sharpness, Roughness and Fluctuation Strength are evaluated for each of these sound samples. For subjective sound quality evaluation, 9 representative sound quality adjectives are extracted on a basis of program feature of Symponie Fantastique and the first jury test is carried out by using the numeric rating method and the paired comparison method. Three sound quality adjectives, "bright", "noisy", and "realistic" a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of the first jury test result. On a basis of the computed sound metrics and the second jury test result for the three sound quality adjectives, three sound quality indexes are developed to represent the sound qualities of "Symponie Fantastique".

Performance Comparison of Audio Coders According to Core Codec Bandwidth (주부호화기 대역폭에 따른 오디오 부호화의 성능비교)

  • Jeong, Yong-Seok;Kim, R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177-17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음향신호의 부호화에 있어 주부호화기로 부호화 되는 주파수 대역폭이 음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또한 비트율을 변화시켜 양자화 잡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비트율의 기준에 대하여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음질평가 및 객관적 음질평가를 통하여 그에 따른 성능을 평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