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질인자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comparison of commercial software for the sound quality analysis (음질 분석용 상용 소프트웨어 비교)

  • Shin Sung-Hwa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15-218
    • /
    • 2004
  • 제품 발생 소음의 음질 (sound qualif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음질 제어가 제품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음질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위하여 다수의 상용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지만 라우드니스 (loudness)를 제외한 음질인자 (sound quality metrics)들은 아직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질 분석을 위한 4 개의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정 신호의 라우드니스, 샤프니스 (sharpness), 러프니스(roughness), 변동강도 (fluctuation strength)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이미 표준화 된 라우드니스를 포함한 음질인자들의 계산 결과는 프로그램에 따라 무시할 수 없는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품의 음질 평가 시 사용된 분석 프로그램 따라 그 결과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향후 음질 인자의 표준화 및 음질 지수 개발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binaural sound assessment system using psychoacoustic parameters (청각 감성 인자를 이용한 바이노럴 음질 평가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임준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85-88
    • /
    • 1998
  • 심리음향학적으로 소리의 감성 요소를 평가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나 뚜렷한 결과가 나온 것은 많지 않다. 또한 감성 인자 평가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도 정확히 나와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심리음향학 인자로 loudness, sharpness, roughness, fluctuation strength, pleasantness, annoyance를 사용하며, 이러한 인자들을 이용하여 바이노럴 음질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바이노럴 음질 평가 시스템의 객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성 실험을 실시하였고 인성 실험 결과와 음질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Sound quality metrics to express the discomfort of overload excavator noise during operation (과부하 굴삭기 소음의 불쾌감 표현인자)

  • Sim, Sangdeok;Song, Ohseop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3
    • /
    • pp.147-155
    • /
    • 2018
  •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out sound quality metrics to express discomfort of overload excavator noise and to develop sound quality index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m. For this purpose, the interior noise of cabin under overload condition was recorded for six excavator models with different noise properties and Jury test was carried out by PCM (Paired Comparison Method) and MEM (Magnitude Estimation Method). Jury test result with low consistency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with different preference tendencies by cluste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which sound quality metri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discomfort(low preference). As a result, we figured out that the sound quality metrics to express the discomfort were the partial loudness (= $PN_{10Bark}$) between 0 and 10 Bark in case of group1 and the difference between engine noise(= $dB_{EG}$) and hydraulic system noise ($dB_1$) in case of group2. Using the results of preference ranking and tendency analysis of PCM follow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CM and MEM, the more reliable results were adopted by excluding the data with low consistency obtained from Jury test via MEM.

Subjective Listening Test Methods by Reference CD Based on Sound Factors (음인자별 테스트용 Reference CD에 의한 주관적 음질평가법)

  • Kim Ki-duk;Choi Hoon-ki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37-140
    • /
    • 2000
  • 스피커나 앰프 등의 음향기기의 음질을 평가한다는 것은 전기(electric)적인 신호와 음향(acoustic)신호의 종합적인 측정,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러한 대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외에 청취자의 심리상태와 관련하여 음질을 분석하는 주관적 음질 평가 역시, 계측기에 의한 측정의 한계와 귀의 탁월한 센싱능력에 힘입어 보편적인 음질 측정법으로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주관적 음질 평가법의 경우 개인적 취향이나 음에 대한 숙련정도에 따라 평가가 다를 뿐 아니라 개인의 심리상태에 따라서도 평가가 달라지는 등 그 재현성이나 객관성이 논란이 되어 왔고 이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상으로서의 음향기기(여기서는 스피커)와 청취자의 심리를 포괄하는 시험법인 주관적 음질 평가법에 재현성이나 객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청감에 영향을 미치는 음색인자를 스피커의 특성과 인간의 청각에 근거하여 8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Test용 Reference CD를 제작하였다.

  • PDF

Trend of sound quality development in vehicles (자동차 음질 개발 동향)

  • Kang, Koo-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5a
    • /
    • pp.327-327
    • /
    • 2010
  • 자동차에서 실내음질은 구매결정 요소들 중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운전자가 기대하는 실내음질의 기대 수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소비자는 운전경험과 습관에 따라 기대하는 음질에 차이가 있고 소리에 대한 표현방식도 모호하기 때문에 이러한 주관적 특성을 하나의 통일된 표현으로 정의 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지난 이십여 년 동안의 음질개발과 차량 실내소음 주관평가의 통계처리로 통일된 표현을 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심리음향학 및 신호처리기술의 발달과 꾸준한 음질연구결과로 소리특성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소리의 시각화가 가능하였으며, 운전자가 인식하는 주관평가와의 상관관계를 높여 차량의 대표적인 음질인자로 정량화하여 음질목표를 설정할 수 있었다. 실내소음의 구성은 엔진 투과음, 흡배기 소음, 바람 소음, 도로 기인 소음 등으로 다양하므로 소음원에 따라 음의 균형을 맞추어 조화로운 음질개발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또한 차량 판매되는 지역에 따라 선호음이 상이하여 지역별 실내음질의 차별화가 필요했다. 궁극적으로는 운전자의 감성품질을 만족할 수 있도록 음을 제어하여 브랜드 사운드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음질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음원과 전달경로에 대해 기여도를 분석하고, 경로를 구성하는 시스템 별로 세분화하여 시스템 목표를 설정하였다.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인자로 차량의 동강성 및 흡차음 성능을 들 수 있다. 특히 디젤차량의 비중이 큰 유럽업체의 차량의 동강성 및 흡차음 개발 능력은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유럽의 부품전문회사가 가지고 있는 해석과 시험적인 개발 방법을 통하여 전달계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강성 및 흡차음 특성을 개발하고 있다. 차량음질 튜닝의 중요한 기법 중 하나로 흡배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자동차인 하이브리드차량, 전기차량 및 연료전지차량의 경우 전기구동부품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음 발생을 최소화 했다. 보행자를 보호하고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하기 위한 가상사운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 수익성 향상을 위한 원가절감 및 구조 경량화에 따른 음질악화와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고성능 고출력 엔진탑재에 따른 음질악화 요인을 극복해야 했다. 운전자의 청감은 차량의 운전성에 따라서도 크게 영향을 받게 되므로 엔진제어와 변속기제어를 통해 음질과 운전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향후, 소음원에 따른 시스템 최적화 개발, 운전성과 음질 연계 개발과 친환경차량의 가상사운드 개발 등이 자동차 음질 개발의 중요한 이슈로 생각한다.

  • PDF

A Study of the Sound Quality Characteristics for Environmental Noise Assessments Parameters (음질을 고려한 환경소음 평가 인자의 기여도분석에 관한 연구)

  • Jo Kyoung-Sook;Cho Yeon;Hwang Dae-Sun;Hur Deog-J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3
    • /
    • pp.129-136
    • /
    • 2006
  • For the environmental noise assessments. A weighted equivalent noise level (LeqA) is used to measure the time varying environmental noise.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ly reflect various environmental noise features and human emotions. The human perception of the noise is affected largely by the psychoacoustic characteristics of noise as well as the sound pressure level In this study, the effective factors of noise qualify are analyzed using the subjective assess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of environmental noise, such as road traffic noise. construction site noise, noise in daily living. and other. The analysis methodology is composed to three steps as follows : firstly, the values of the sound qualify metrics of various noise sources were analyzed. And to classify the noise sources, we conducted a cluster analysis using sound quality metrics. Secondly, subjective jury test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methods of paired comparisons and semantic differential.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parameters and the noise quality metric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human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environmental noise are described in some physical parameters of the noise qualify metrics.

Sound Quality Evaluation Based on the Mahalanobis Distance for the Interior Noise of Driving Vehicles with Various the Tire Type (타이어 종류에 따른 차량 실내 소음의 Mahalanobis Distance 를 이용한 음질인덱스 구축)

  • Jeong, Jae-Eun;Yang, In-Hyung;Park, Goon-Dong;Lee, You-Yub;Oh, Jae-Eu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12
    • /
    • pp.1871-1876
    • /
    • 2010
  • The reduction of vehicle interior noise has been the main interest of NVH engineers. The driver's perception of the vehicle noise is strongly affected by the psycho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noise and the SPL. The existing methods to evaluate the SQ for vehicle interior noise ar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subjective SQ metrics by statistics and the estimation of subjective SQ values by neural network. However, these methods strongly depend on jury tests, this leads to difficulties. To reduce the important of the jury tests, we suggest a new method using the Mahalanobis distance for SQ evaluation. And, the optimal characteristic values that influenced the results of sound quality evaluation on the basis by main effect. Finally, we developed a new method based on the MD method to evaluate sound quality. The result of noise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sound quality could be well improved by chang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The Algorithm for pitch analysis of noise (소음의 피치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 Shin Sung-Hwan;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41-544
    • /
    • 2002
  • 피치 (pitch)는 주파수와 관련된 인간이 실제 느끼는 음의 높이로 라우드니스 (loudness), 음색 (timbre)과 함께 소리의 음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치는 음성 해석 및 분리를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소음 분석 및 음질 향상을 위한 방향으로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저막 (basilar membrane)의 위치에 따른 주파수 분리 이론인 위치이론 (place theory)을 기본으로 한 기존의 가상 피치 (virtual pitch) 분석 알고리즘을 소음에 적용하기 위해서 수정하고, 절러가지 소음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알고리즘은 소음의 주파수 특성에 의존한 방법이기 때문에, 토널 (tonal) 성분이 존재하는 소음의 적용에는 적합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그 이외의 소음에 대해서는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 (fundamental frequency)와 이와 관련된 고조파음(harmonics)이 음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소음의 음질 해석 린 음질 향상을 위해 본 연구의 알고리즘에 의한 피치 분석과 기존의 음질 인자를 적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소음의 예로는 엔진의 부밍 소음이나 기어 whine 소음 등이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binaural sound assessment system (바이노럴 음질 평가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임준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283-286
    • /
    • 1998
  • monaural 신호는 귀의 특성과 인간의 청취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귀 자체의 특성이 binaural인 것을 생각하면 monaural 신호를 이용한 방법은 정확한 결과가 나오기 어렵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monaural 신호를 이용한 음질 평가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 귀의 binaural 특성을 살린 binaural 음질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소리에 대한 심리음향학 인자로는 monaural 평가에서 사용했던 loudness, sharpness, roughness, fluctuation strength, annoyance, pleasantness를 binaural에 맞도록 수정하였으며, monaural 평가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던 tonality를 추가하여 pleasantness의 annoyance의 계산식을 수정하였다.

  • PDF

A method for Sound Quality Evaluation of Non-stationary Acoustic Signal (과도 음향 신호의 음질 평가 방법)

  • 신성환;이정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09-1012
    • /
    • 2004
  • Recently, the concern on sound qualify (SQ) is on the steep increase in the fields of vehicle and home appliance and over the fast few decades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Q evaluation. As a result, basic procedure for SQ evaluation has been already suggested. Although most interesting sounds have time-varying featur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ir SQ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a method for SQ evaluation of non-stationary sound. For this, various listening tests procedure for non-stationary sound is introduced and it is attempted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various SQ metrics and subjective data obtain from listening test. Booming of car interior noise in acceleration is used as an example and finally, representative value is obtained for the interesting sensation of non-stationary s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