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정 지각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음악전문인과 비전문인에게서 나타나는 안정적 음정 (Perceptually stable musical interval observed in musically trained and untrained listeners)

  • 박유미
    • 인지과학
    • /
    • 제13권1호
    • /
    • pp.61-71
    • /
    • 2002
  • 음악에서의 최소단위인 음정을 지각하는데 있어 과연 우리나라 청자들의 정서를 반영하는 기제가 과연 존재하느냐 하는 점을 조사하기 위해 2가지 과제의 실험이 고안되었다. 서양 음악에서 강조되는 음정과 우리 나라 음악에서 강조되는 음정이 비교 분석되었다. 서양 음악 전문인과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들에 의해 수행된 본 실험에서 나타난 일관된 결과는 완전4도 음정의 안정성이다. 완전4도는 음향학적으로, 그리고 우리나라 음악에서 중요한 위상을 가지는 음정이다. 이러한 결과는 서양 조성 체계에 의한 중요 음정(완전5도, 장3도)에 대한 안정적 지각을 보고하는 서양의 기존 결과들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즉 환경 적으로는 서양 음악에 노출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청자들은 우리 음계상 중요 음정에서 강한 중력적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 고유의 음악적정서에 대한 진전된 논의가 가능하려면 서양의 기존 연구와는 독립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필요하다.

  • PDF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를 통한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정확도 향상 사례 (Interval-Based Sing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Pitch Production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 Case Study)

  • 김효진;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6
    • /
    • 2017
  • 본 연구는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정확도 및 음고 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행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 5세의 인공와우이식아동 3명을 대상으로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회기 당 35분, 주 2-3회씩 총 12회기의 개별 세션이 진행되었다.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동안 3도, 5도, 8도의 목표 음정을 중심으로 음고 변별 - 음고 모방 - 목표 음고를 포함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단계적으로 시행되었고, 프로그램 전후에는 음고 모방 및 노래 내 음고 산출의 정확도 변화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3명의 아동 모두 프로그램 참여 후 제시된 음고를 산출하는 정확도가 증가하고 노래부르기 시 산출된 음고가 기대 음고에 유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출 가능한 음고의 범위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정 지각 특성을 반영한 단계적 접근과 다감각적 환경에서의 체계적 음악 정보 처리가 학령 전기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음악 지각이나 인공와우이식성인 대상군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연구 영역을 확장시키고, 학령 전기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