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이온 분포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9초

PAC를 이용한 인제거 공정에서 음이온계 고분자 첨가가 입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ionic Polymer on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PAC Coagulation Process for Phosphorus Removal)

  • 김성홍;이동우;김동한;김두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0-175
    • /
    • 2013
  • Achieving very low phosphorus levels in treated wastewater will require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treatment. Phosphorus removal experiments by chemical coagulation were carried out for the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this study. TP (total phosphorus) or phosphate were highly related to the addition of PAC (poly aluminium chloride) which is one of the inorganic coagulants. But, organic polym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hosphorus removal efficiency. Polymer affected the flocculation of particle especially particle matter less than 10 micrometer so, the number of micro particles was decreased by polymer dose. Chlorination would not affect on chemical coagulation process and TP and turbidity could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co-addition of PAC and polymer.

도시대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중 음이온의 농도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Anion Concentration Distributions in Airbone Fine Particles in Urban Atmosphere)

  • 천만영;조기철;여현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
    • /
    • 1997
  • Anion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s of airborne fine particles less than 2 $\mu$m in urban atmosphere were determined from Feb. 5 to 16, 1996. The sampling was carried out using 8 stages Hering's low pressure impactor (LPI, aerodynamic cutoff diameters are 0.05, 0.075, 0.11, 0.26, 0.50, 1.0, 2.0, and 4.0$\mu$m) on the top of a five-story building located at Kon-Kuk university in Seoul. Average concentrations if C $l^{[-10]}$ , N $O_3$$^{[-10]}$ and S $O_4$$^{2-}$ were 9.4, 8.4, and 14.5 $\mu\textrm{g}$/㎥,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s of these anion concentrations were bimodal types which showed two peaks in the range of 0.075~0.12 ${\mu}{\textrm}{m}$ and 0.5~1 ${\mu}{\textrm}{m}$ in aerodynamic diameter. These results were 2.5~4.7 times higher than anion concentrations collected by Anderson low volume air sampler.

  • PDF

대기에어로졸중 음이온성분에 대한 입경분포의 변화특성 (Characterization of Size distribution of Anion Species in Atmospheric Aerosols)

  • 최금찬;박정호;임경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29
    • /
    • 1994
  • Aerosol size distribution was determined using Anderson sampler for the anions( sulfate nitrate and chloride ) and TSP. Ionic species concentration and size distribu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daytime and nightime individually. Size classified sample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analyzed for C $l^{[-10]}$ , N $O_3$$^{[-10]}$ and S $O_4$$^{2-}$, by ion chromatography. The size distribution of these ions and TSP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easonal and diurnal variation of concentrations as follows: (1)Size distribution of TSP showed bi- modal type in the daytime, but indicated tri-mode distribution in the nightime without any seasonal variation. (2)Sulfate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fine- mode both in the daytime and nightime but fraction of sulfate was higher in coarse-mode during the Yellow Sand Period. (3)Nitrate and Chloride ions are dominant in fine-mode in winter while dominant in coarse-mode in the summer.

  • PDF

음이온 중합법 기반 P3HT-b-P4VP 블록공중합체 정밀 합성 및 이의 용매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연구 (Synthesis of P3HT-b-P4VP via Anionic Polymerization and its Physical Properties in Various Solvents)

  • 황성연;박제영;오동엽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36-341
    • /
    • 2018
  • 기존의 문헌에서는 poly(3-hexylthiophene)(P3HT) 기반의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최소 4-5단계 이상의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했고, 일반적으로 분자량, 분자량 분포 및 블록의 비를 조절하기 위해서 단량체 전환율 및 반응 시간을 계속해서 모니터링 해야 한다. 또한, 여러 가지 이유에서 합성 스케일이 수 mg에서 수 g으로 제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중합법을 이용해서 P3HT-b-poly(4-vinylprydine) (P4VP)를 오직 2단계로 중합할 수 있었으며, 중합 스케일은 수십 g 정도가 가능하였다. 반응 도중 단량체 전환율 및 농도를 계속 모니터링 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초기 단량체 당량비만으로 블록 비율과 분자량 분포를 정밀 조절할 수 있었다. 만들어진 P3HT-b-P4VP를 친수성 및 소수성 용매에 녹여 분자 거동을 살펴보았다. 용액의 특성이 용액 속 미셸 구조와 필름 코팅 후 모포로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P3HT-b-P4VP의 물리적 특성은 적외선-자외선 분광분석법, 원자힘현미경 및 자외선 광전자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가수분해에 의한 AN-co-(MMA(IA) 다관능성 섬유이온교환체의 합성 및 미랑 전이금속 흡착특성 (Synthesis of Multifunctional AN-co-(MMA/IA) Fibrous ion-exchanger by Hydrolysis and Adsorption Properties for Trace Transition Elements)

  • 황택성;이선아;황계순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765-77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수중의 $Co^{2+}$, $Ni^{2+}$ , $Cr_2O_7\;^{2-}$등의 유해이온을 선택적으로 흡착 제거시키기 위하여 단량체의 몰비를 달리하여 AN-co-(MMA/IA)를 합성하고, 습식방사에 의해 제조한 PAN 섬유를 산가수분해하여 PAN계 다관능성 이온교환섬유를 합성하였다. 또한 합성한 이온교환섬유의 구조, 관능화도, 이온교환용량, 분포계수. 기계적 물성 등을 시험하였다. 이온교환체의 음이온교환 용량은 IA의 mol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4.5~4.2 meq/g으로 감소하고, 양이온교환용량은 1.8-2.2 meq/g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장감도는 공중합체 내에 IA의 함량이 0.008 mol%까지 증가하여 216 $kg/cm^2$로 최대값을 나타냈고, AN-co-(MMA/IA) 이온교환체의 분포계수 측정 결과 Co(II)와 Ni(II)는 pH 5-6영역에서 최대를 보였고, Cr(III)는 pH 3-4에서 최대값을 나타냈다. 또한 다성분 계상에서의 연속식 흡착 실험에서 Cr(III > Co(II) > Ni(II)의 순으로 선택능을 나타냈다.

  • PDF

납으로 오염된 철성분 함유토의 동전기 정화 특성에 세척제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ushing Solutions on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Ferrous Soil Contaminated by Lead)

  • 김수삼;김병일;한상재;김정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54-6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납으로 오염된 유기물과 철성분이 다량 함유된 철성분 함유토에 대한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세척제로 산, 킬레이트제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동전기 정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주입되는 세척제의 pH가 낮을수록 양극(兩極)저수조의 pH는 더 빠른 시간에 정상상태 값에 도달하였으며, 전압 분포의 경우 세척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주입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극으로부터 정규화된 거리인 0.9지점에서의 전압은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S가 가장 높은 잔류 납농도 분포를 보였다. 세척제 농도의 경우 1 mM의 Acetic acid에서 가장 양호한 정화효율을 보였지만, 아세트산의 농도 변화는 철성분 함유토(Ferrous soil)의 동전기 정화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평창지역의 산림내 강설 산성도와 화학적 조성 -대관령과 운교리를 중심으로 - (The Acidity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nowfall at Pinus koraiensis Stand in Pyungchang Region - A centering around the Daegwalyung and Woongyori -)

  • 김영채;정동준;김홍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43-149
    • /
    • 2001
  • 각 지역의 겨울철 강수인 눈의 산성도와 화학적 조성과 산림지역의 임내ㆍ외 강설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대관령 지역(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횡계리) 운교 지역(강원도 평창군 방림면 운교리)을 대상으로 강설을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지역의 강설을 채취하여 적설량과 pH의 관계를 보면, 두 지역 모두 적설량이 적을 때는 pH의 변화 분포가 크게 나타났으며, 적설량이 증가할수록 pH가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강우현상에 있어 국지적인 환경에 따른 대기중의 부유물질 중에서 산성물질의 흡착비율이 달라짐을 의미함과 동시에 광역적으로 분포하는 산성물질의 유입도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나춘기와 정재일, 1997)와 유사한 것으로 강설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2. 각 조사 지역의 강설 중 임외 강설과 임내 강설의 이온농도 변화는 전체적으로 임내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중에서 양이온의 경우는 $Ca^{2+}$, 음이온은 NO$_{3}$$^{-}$, SO$_{4}$$^{2-}$ , Cl$^{-}$ 모두가 증가의 양상을 보였다. 3.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각 이온농도간의 편차와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각 이온간의 상관성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는 것이 각 지역 강설의 화학적 특성을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ulfonated Polyetherimide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etherimide)

  • 김완주;최남석;최중구;김인철;김종호;탁태문
    • 멤브레인
    • /
    • 제9권1호
    • /
    • pp.10-1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pellet 상태의 polyetherimide (PEI)를 carbon tetrachloride(CCl4)와 1 ,2-dichloro-ethane (DCE) 의 부피비 5:1 하에서 PEI를 불균일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chlorosulfonic acid (CSA)를 이용하여 PEI의 표면을 sulfonation 시킴으로써 , 음이온성을 띠며 친수성이 향상된 sulfonated polyetherimide (SPEI)를 제조하였다. 불균일한 상태가 유지되면서 가장 적합한 sulfonation 반응조건은 PEI: CSA 의 1 : 1 mole ratio, 온도 $10^{\circ}$, 3 시간이었다. 이온교환용량이 0.2~1.2meq/g을 갖는 SPEI를 합성할 수 있었고, FT-IR 측정을 통하여 sulfonic acid peak가 1020$cm^{-1}$ 와 1170$cm^{-1}$부근에서 관찰되었다. 분자량 분포는 sulfonation을 시킴으로써 좀 더 넓게 나타났고,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친수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깊이별 용적밀도가 다른 시설재배지 토양의 염류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Bulk Density and Salts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 김필주;이도경;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6-233
    • /
    • 1997
  • 시설재배지내 염류집적의 원인중 토양의 물리적 구조변화가 염류집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10년이상 비닐하우스 농사를 실시해온 충남 예산군 오가면의 시설재배지 토양의 깊이 변화(0~60cm)에 따른 토양 용적밀도 변화와 염류집적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용적밀도 분포특성은 경운층 이상에서는 용적밀도 약 $1.2Mg/m^3$, 경운층 이하(20cm)에서는 농기계의 반복사용에 의한 다져짐(Compaction) 발생으로 높은 용적밀도(약 $1.5Mg/m^3$)의 경반층(硬盤層)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로 인한 토양수의 수직이동의 지연과 표층토내 염류집적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층토 10cm 이내의 전기전도도(EC)는 5.08 dS/m, pH 6.7, ESP 6.4로 US Salinity laboratory 분류에 의해 염류 집적지(Saline soil)로 분류되었다. 경반층(硬盤層)의 영향에 의해 EC값은 20cm 이후부터 크게 감소하여, 30cm 이후에서는 약 0.7 dS/m의 낮은 EC값을 보였다. 치환성 양이온과 수용성 음이온의 대부분은 표층토 20cm이내에 집적되었으며, 경반층(硬盤層) 층 이하에서는 미미한 농도의 이온만이 검출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내 EC 및 이온분포가 경운층 전후 사이에 큰차이를 보이게 하는 여러 요인들중 경반층(硬盤層) 형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관여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 PDF

역마이셀에 의한 TiO(OH)$_2$ 미세분말 제조 (Formation of TiO(OH)$_2$ Ultrafine Particles by Reverse Micelle)

  • 장화익;강석원;이광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94-602
    • /
    • 1998
  • 유기용메인 이소옥탄(isooctane)에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물을 역마이셀 형태로 생성시킨 후,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e alcohol)에 묽힌 티타늄알코옥사이드(tetraisopropyl orthotitanate)를 가하여 가수분해 반응를 거쳐 TiO(OH)2 분말을 제조하였다. 역마이셀에 의한 TiO(OH)2 분말 제조에 미치는 공정변수들인 계면활성제의 종류, 농도, 보조계면활성제, 가수분해 반응온도, pH등이 생성된 입자의 크기, 모양, 입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비이온계활성제인 Span 80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Span 80의 농도변화, 가수분해 반응온도 변화, pH변화에 무관하게 입도분포가 uninodal형태였으나, 음이온계면활성제인 Aerosol-OT(AOT)를 사용하였을 경우, binodal형태를 나타내었다. 에타올(ethanol)을 cosurfactant로 첨가한 계(AOT, 1.0CMC, isooctane+ethanol, pH2.5, 30$^{\circ}C$)로 부터 생성된 입자는 평균입경이 0.12${\mu}{\textrm}{m}$ 으로서 미세할 뿐아니라 입도분포도 매우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osurfactant의 유무가 생성 입자의 입도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FT-IR 분석으로 T1-O 결합과 Ti-OH 결합에 의한 흡수피크를 확인하였고, TGA-DTA 분석결과에 의하면 41$0^{\circ}C$ 부근의 발열피크로 부터 비정질 구조에서 anatase 구조로 결정화가 시작됨을 알 수 있었으며, 온도 상승과 더불어 결정이 성장하여 약 45$0^{\circ}C$ 정도에서 비정질상이 anatase상의 결정구조로 완전히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