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원서비스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유료화 기반 재도약 '스타트'ㆍㆍㆍ시장경쟁 '후끈'

  • Yang, Gi-Seok
    • Digital Contents
    • /
    • no.11 s.162
    • /
    • pp.40-43
    • /
    • 2006
  • 온라인음악 서비스 시장의 유료화가 자리 잡아가고 있다. 아지도 온라인음악 서비스 업체. 음원저작권자, 소비자 간 날 선 대립과 갈등이 지속되고 있지만 온라인음악시장이 전체 음악시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점에선 이견이 없는 듯하다. 이를 반영하듯 온라인음악업계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기반으로 유료화라는 새롭게 변화된 환경에 점차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the platform independent music streaming web services based HTML5 (플렛폼 독립적인 HTML5 기반의 음원 스트리밍 웹서비스 개발)

  • Choi, Jae-Sung;Kwon, Hang-Geul;Park, Si-Hong;Baek, Tae-S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955-957
    • /
    • 2014
  • HTML5에 들어서면서 웹서비스 구현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신기술들이 속속들이 나오고 있다. 브라우저 자체적인 그래픽 구현을 위한 Canvas/SVG,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audio, video, webaudio API 등이 추가되었고, 이로 인해 HTML5는 웹 환경에 더 빠르고 정교하며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었다. 이 중 아직도 표준화가 진행 중이거나 많은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아 섣불리 사용 할 수 없는 기술들 또한 상당 수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 HTML5기술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공통적으로 동작되는 플랫폼 독립적인 음원 스트리밍 웹서비스를 개발한다.

Android rhythm game Rhythm-it! (안드로이드 리듬 게임 Rhythm-it!)

  • Lee, Chang-Hyun;Lee, Se-Hoon;Koh, He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413-41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이미 상용화 되어 있는 안드로이드 리듬게임과는 차별화 된 형식의 게임을 제안한다. 이것은 기존의 리듬게임들이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제한된 컨텐츠만 이용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BMS라는 음원 컨텐츠를 이용한 음원 패키지가 있다. 이것은 10여년전 부터 PC용 리듬게임에 이용되어 오던 컨텐츠인데 이것을 안드로이드 폰의 이동식 저장소에 저장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페이스북에 자신의 성과를 개제하여 이로인한 지인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할 수 있다.

  • PDF

Music Source and Signature Storage Method using Blockchain and Distributed Storage System (블록체인 및 분산저장시스템을 활용한 음원 및 시그니쳐 저장 방법)

  • Lee, Kyoung-Sik;Kim, Sang-Ky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4 no.6
    • /
    • pp.956-964
    • /
    • 2019
  • In the age of personal media such as YouTube and Twitch, individual media content creation and consumption have become simpler. A huge amount of media content is created and consumed through platform services. In this regard, interest in copyright of media content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sound source i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almost all media contents produ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store the sound source and its signature using blockchain and distributed storage system to verify the copyright of music contents. We Identify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the audio signature extraction result of the sound source as blockchain transaction data. Through experiments, we compare the input and output speed when the sound source and its signature are stored in the distributed storage system.

Same music file recognition method by using similarity measurement among music feature data (음악 특징점간의 유사도 측정을 이용한 동일음원 인식 방법)

  • Sung, Bo-Kyung;Chung, Myoung-Beom;Ko, Il-Ju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3
    • /
    • pp.99-106
    • /
    • 2008
  • Recently, digital music retrieval is using in many fields (Web portal. audio service site etc). In existing fields, Meta data of music are used for digital music retrieval. If Meta data are not right or do not exist, it is hard to get high accurate retrieval result. Contents based information retrieval that use music itself are researched for solving upper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Same music recognition method using similarity measurement. Feature data of digital music are extracted from waveform of music using Simplified MFCC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Similarity between digital music files are measured using DTW (Dynamic time Warping) that are used in Vision and Speech recognition fields. We success all of 500 times experiment in randomly collected 1000 songs from same genre for preying of proposed same music recognition method. 500 digital music were made by mixing different compressing codec and bit-rate from 60 digital audios. We ploved that similarity measurement using DTW can recognize same music.

  • PDF

A system for recommending audio devices based on frequency band analysis of vocal component in sound source (음원 내 보컬 주파수 대역 분석에 기반한 음향기기 추천시스템)

  • Jeong-Hyun, Kim;Cheol-Min, Seok;Min-Ju, Kim;Su-Yeon, Ki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6
    • /
    • pp.1-12
    • /
    • 2022
  • As the music streaming service and the Hi-Fi market grow, various audio devices are being released. As a result, consumers have a wider range of product choices, but it has become more difficult to find products that match their musical tast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system that extracts the vocal component from the user's preferred sound source and recommends the most suitable audio device to the user based on this information. To achieve this, first, the original sound source was separated using Python's Spleeter Library, the vocal sound source was extracted, and the result of collecting frequency band data of manufacturers' audio devices was shown in a grid graph. The Matching Gap Index (MGI) was proposed as an indicator for compar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extracted vocal sound source and the measurement data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audio devices. Based on the calculated MGI value, the audio device with the highest similarity with the user's preference is recommended. The recommendation results were verified using equalizer data for each genre provided by sound professional companies.

Music Recommendation Technique Using Metadata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음악 추천 기법)

  • Lee, Hye-in;Youn, Su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75-78
    • /
    • 2018
  • Recently, the amount of music that can be heard is increasing exponentially due to the growth of the digital music market. Because of this, online music service users have had difficulty choosing their favorite music and have wasted a lot of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commendation technique to minimize the difficulty of selection and to reduce wasted time. The proposed technique uses an item - 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that can recommend items without using personal information. For more accurate recommendation, the user's preference is predicted by using the metadata of the music source and the top-N music with high preference is finally recommend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better than it does when the metadata is not used.

  • PDF

Music Recommendation Using Data Mining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음악 추천)

  • Lee, Hye-In;Yun, So-Young;Youn, Su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372-375
    • /
    • 2018
  • 본 논문은 온라인 음원 서비스 이용자들이 겪는 선택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낭비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음악 추천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개인정보의 이용 없이 아이템을 추천할 수 있는 아이템 기반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더 정확한 추천을 위해 음원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지 않을 때보다 추천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컨텐츠 연재 / 휴대폰과 모바일 콘텐츠의 '궁합 맞추기'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4 s.119
    • /
    • pp.112-117
    • /
    • 2003
  • 소비자의 욕구인 '개성' 및 '차별성'에 맞추어 보면, 일방적으로 CP에 의해서 제공되는 보편적인 이미지보다는 본인이 직접 만들고, 본인 취향에 맞춘 모바일 콘텐츠를 추구하는 게 당연한 현실이다. 사용자가 만든 음원을 자신의 폰에서 사용하는 기능도 서비스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간단한 이미지 편집을 통해 바탕화면이나 메시지 발송 용도로 사용할 이미지 혹은 영상을 만드는 서비스도 조만간 열릴 예정이다.

  • PDF

온라인 음악 유료화 1년- 온라인 음악 유통 확대 · 유료화 ‘거스를 수 없는 진통’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no.9 s.136
    • /
    • pp.21-25
    • /
    • 2004
  • 온라인 음악서비스가 유료화를 단행한 지 1년이 지났다. 지난해 7월 8개 온라인 음악사이트가 유료화를 단행한데 이어 지난 7월에는 국내 최대 온라인 음악사이트‘벅스뮤직’까지 유료화를 선언, 온라인 음악서비스의 유료화는 급물살을 타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음원제작자협회와 벅스뮤직간의 힘겨루기가 일단락되면서 온라인 음악유통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조성됐다. 국내외 온라인 음악 시장의 현황을 살펴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