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운추이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독어방언분류와 <고지독어 음운추이>의 발생시기 (Dialektengrenzen in Deutschland und das Alter der hochdeutschen Lautverschiebung)

  • 송완용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7집
    • /
    • pp.61-83
    • /
    • 2003
  • Die wichtigsten Theorien tiber das Alter der hochdeutschen Lautverschiebung (LV) sind die beiden folgenden: 1. ein sehr hohes Alter(wohl noch var Chr. abgeschlossen), 2. ein relativ junges Alter(im Allgemeinen das 6.-10. Jh. n. Chr.). Die beiden Datierungen weichen um uber ein halbes Jahrtausend voneinander ab. Diese Abweichungen gehen auf unterschiedliche Methoden der Altersbestimmung zuruck: entweder datiert man nur anhand schriftlichen Zeugnisse oder aufgrund von etwas spekulativ ethnologischen Erwagungen. Die letztere lasst zwar ein hohes Alter der LV zu, gibt aber es keine sicheren Belege dafur. Deshalb kann nur sprachliches Material eine sichere Basis fur die Datierung der LV sein. Das gilt immer noch, wenn auch die Schreibung i. d. R. Veranderungen in der gesprochenen Sprache nicht rechtzeitig widerspiegelt. Die altesten Belege fur die wichtigsten Dialekte sind die folgenden: Die alemannische Runeninschrift von Stetten (ca. 680, wahl der fruheste Beleg uberhaupt fur die hd. LV), Handschrift des langobardischen Edictus Rathari $({\cal}um 700)$, das bairische Salzburger Verbrtiderungsbuch(784), die mittelfrankischen Glossen des Echtemacher Evangeliars $({\cal}um 700)$.

  • PDF

<고지독어 음운추이>의 의의와 추이과정 (Zum Sinn und den internen Prozessen der hochdeutschen Lautverschiebung)

  • 송완용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3집
    • /
    • pp.121-150
    • /
    • 2001
  • Da die hd. LV in einem Kausalzusammenhang verlaufen sein musste, ist sie im weiteren Sinne zu verstehen. Das meint: Der Wandel P>d muss auch in diese Kategorie $geh\"{o}ren$. $F\"{u}r$ die sinnvolle Deutung des hd. LV $w\"{a}re$ sehr aufschlussreich, die Lautsysteme der beiden Sprachen miteinander zu kontrastieren: Voralt­hochdeutsch(mit LV) und $Voraltfr\"{a}nkisch(ohne\;LV)$. Dabei $k\"{o}nnten$ wir sehr gute $Gr\"{u}nde$ entdecken, wieso die beiden Sprachen auf denselben Reiz der hd. LV ganz unterschiedlich reagieren. Beim Lautwandel $ver\"{a}ndern$ sich in der Tat nicht einzelne Laute, sondern korrelierte Laute parallel. Nach der sog. Reihenschrittheorie $k\"{o}nnen$ wir theoretisch rekonstruieren, welche allophonische Zwischenstufen die hd. LV voraussetzte.

  • PDF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Games using an Educational Robot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Reading Interests)

  • 이하원;조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11-91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만 5세 유아들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음운인식 게임 16종을 설계한 후, 로봇이 참여하는 실험집단용 활동과 교사가 주도하는 비교집단용 활동으로 미세하게 조정하였다. 두 가지 활동은 각각 S시 소재 어린이집 2개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각 15명을 대상으로 6주간 1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활동 전후 각 그룹 유아들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흥미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음운인식 게임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읽기 능력 특히, 총점, 단어의미, 탈락, 대치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음운인식 게임 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읽기 흥미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유아의 문식성과 즐거움의 동기에 긍정적 역할을 하는지를 연령별 모형을 수립하고 검증하여 발달적 추이를 살펴볼 계획이다.

인터넷상에서의 언어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Language in Internet)

  • 조찬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77-196
    • /
    • 2001
  • 정보사회의 중심이 되는 정보네트워크로서 인터넷은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언어사용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상의 언어사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현재 나타나고 있는 인터넷상의 부적절한 언어사용 실태를 '음운ㆍ표기', '문법', '어휘ㆍ의미'로 나누어 조사$\cdot$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적 사고', '이용자 추이', '네티켓과 정보교육' 등이 토론되었다.

  • PDF

구어 말뭉치를 통한 한국어 용언활용에서의 모음조화 변이 및 변화 추이 연구 (Transition of vowel harmony in Korean verbal conjugation: Patterns of variation in a spoken corpus)

  • 강희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21-29
    • /
    • 2023
  • 이 논문은 현대 한국어 용언활용에서 모음조화 양상에서 보이는 변이(조화형과 비조화형의 공존)가 어떤 언어 내적/외적 변수들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그 변화의 발동과 전파 과정을 설명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 발행 일상 대화 음성 말뭉치를 활용하여 42개 어간의 조화형 및 비조화형을 검색한 후 음운/형태적 특성 및 사회언어학적 특성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비조화형의 비율이 1% 미만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은 /ㅏ/-모음 어간이 단모음 종결 어미와 결합한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기존 연구들에서 거의 보이지 않던 연결 어미나 선어말 어미의 경우에도 비조화형이 소수 나타났다. 말뭉치에서 발견된 /ㅗ/-모음 어간의 비조화형을 자료로 삼아 청취실험을 실시하여 비조화형의 발동이 음운 감쇄나 과소 실현에 의해 일어났을 가능성을 보였다. 다만 전파되는 과정에는 모음의 변별도나 형태적 분석과 같은 인지적 관점에서의 설명이 더 나음을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현대 한국어의 모음조화 변이 및 변화는는 조음적/인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