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운변동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난청아동의 대치 음운변동에 관한 종단적인 연구

  • 이은선;석동일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233-233
    • /
    • 2003
  • 본 연구는 난청아동의 음운변동이 다소 불규칙적인 패턴을 나타낸다는 기존의 연구(이은선, 2001)를 토대로, 2000년 12월에서 2002년 6월까지 6개월 단위로 총 4회에 걸쳐서 난청아동의 음운변동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청아동의 연령 증가에 따른 음운변동율의 차이는 어떠한가\ulcorner 둘째, 4, 5, 6세 난청아동의 각 집단 간의 음운변동을 차이는 어떠한가\ulcorner (중략)

  • PDF

경직형과 이완형 운동구어장애자의 음운변동 특성

  • 이옥분;박상희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234-235
    • /
    • 200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질적 조음장애 중 운동구어장애자의 유형에 따른 음운변동 패턴을 연구하여 각 집단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조음운동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운동구어장애자의 조음 오류에 대해서 SDO(substitution, distortion, omission) 분석적 접근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음운변동 분석을 함으로써 이들의 오류패턴의 유형을 찾고, 언어중재 시에 이들의 조음기관 관련 근운동의 훈련을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중략)

  • PDF

Implementation to phonological alteration module for a korean text-to-speech (한국어 Text-to-Speech 변환을 위한 음운 변동 시스템에 관한 연구)

  • Park, Su-Hyun;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35-38
    • /
    • 1995
  • Text-to-speech 시스템은 텍스트를 입력으로 받아 텍스트와 일치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시스템으로, 인간이 자신의 모국어로 텍스트를 읽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음성을 출력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각 단어들은 한 단어 내에 있는 형태소들 사이에 음운 변동 현상을 일으켜 쓰여진 형태와 다르게 발음된다. 그러므로 한국어 텍스트를 자연스럽게 발음하기 위해서는 음운 변동 현상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어에서 음운 변동을 일으키는 규칙은 여러 가지이고, 정확한 발음을 위해서는 이러한 규칙들이 차례대로 적용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어의 발음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two-level 모델에 기반한 음운 변동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Analysis of Predictors of Phonological Variation Realization (음운 변동 실현 오류의 예측 인자 분석)

  • An, Sung-m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98-50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음운 변동에서 나타나는 오류가 어떤 변수에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여 음운 변동 연구 및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다. 이를 위해 유음화 발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성별, 유음화의 방향, 품사, 단어의 빈도, 단어의 음절수와 유음화의 발음 적격 유무를 변수로 설정하였다. 유음화 적격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독립변수를 찾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공선성의 팽창계수를 먼저 확인하였다. 이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오즈비를 통해 유의한 예측인자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5개의 독립 변수 중 성별과 유음화의 방향, 품사가 결과를 오류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인자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cal Sound Variation Rules for Korean Language (한국어 음운 변동 처리 규칙의 설계 및 구현)

  • Lee, Gye-You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3
    • /
    • pp.851-861
    • /
    • 1998
  • Korean language is to be characterized by the rich vocal sound vari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vocal sound recognition and to provide a natural vocal sound synthesis, a systematic and thorough research in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including its vocal sound changing rules is required. This paper addresses an effective way of vocal sound recognition and synthesis by providing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vocal sound variation rule. The regulation we followed for the design of the vocal sound variation rule is the Phonetic Standard(Section 30. Chapter 7) of the Korean Orthographic Standards. We have first factor out rules for each regulations, then grouped them into 27 groups for eaeh final-consonant. The Phonological Change Processing System suggested in the paper provides a fast processing ability for vocal sound variation by a single application of the rule. The contents of the process for information augmented to words or the stem of innected words are included in the rules. We believe that the Phonological Change Processing System will facilitate the vocal sound recognition and synthesis by the sentence. Also, this system may be referred as an example for similar research areas.

  • PDF

A study on effective diction training in choral communication (합창 커뮤니케이션에서 효과적인 딕션 훈련을 위한 연구)

  • Kim, Hyung-i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3
    • /
    • pp.237-245
    • /
    • 2021
  • The puro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diction training techniqe that conductors can use in choral communication. In chorus, the phonology of the language used in the lyrics influences the diction. Therefore, Korean lyrics must be pronounced according to Korean phonology. In verbal language, accuracy of pronunciation is important, but when expressing lyrics in a song, both vocalization and diction are important. In particular, chorus is sung by many people, so if the diction is not accurate, the lyrics will not be delivered properly. In this study, the dictions of lyrics frequently used in actual Korean choral song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Korean phonological ru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in factor that makes choral diction difficult is the phenomenon of phonological fluctuations in Korean. In particular, phonological fluctuations often occurred when pronouncing the final sound and when consonants and consonants were combined. A follow-up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oral communication by presenting a systematic choral diction based on Korean phonology.

Statistical Analysis of Korean Phonological Variations Using a Grapheme-to-phoneme System (발음열 자동 생성기를 이용한 한국어 음운 변화 현상의 통계적 분석)

  • 이경님;정민화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7
    • /
    • pp.656-664
    • /
    • 2002
  • We present a statistical analysis of Korean phonological variations using a Grapheme-to-Phoneme (GPT) system. The GTP system used for experiments generates pronunciation variants by applying rules modeling obligatory and optional phonemic changes and allophonic changes. These rules are derived form morphophonological analysis and government standard pronunciation rules. The GTP system is optimized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by generating phonetic transcriptions for training and constructing a pronunciation dictionary for recogni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 Korean phonological variations by analyzing the statistics of phonemic change rule applications for the 60,000 sentences in the Samsung PBS Speech DB. Our results show that the most frequently happening obligatory phonemic variations are in the order of liaison, tensification, aspirationalization, and nasalization of obstruent, and that the most frequently happening optional phonemic variations are in the order of initial consonant h-deletion, insertion of final consonant with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as the next consonants, and deletion of final consonant with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as the next consonant's, These statistics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Declaritive Morphological Analysis of Spoken Korean Recognition Results (한국어 음성인식 결과의 선언적 형태소 분석)

  • Lee, Won-Il;Lee, Geun-Bae;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322-325
    • /
    • 1994
  • 한국어 음성인식 결과의 형태소 분석은 한국어 문서의 분석보다 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음성 인식의 낮은 인식률, 여러 개의 후보를 제시하는 경우의 지수적 가능성, 말하는 단위와 띄어쓰기 단위의 불일치, 형태소 안에서 그리고 형태소와 형태소 사이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등이 음성 인식 결과를 분석할 때 추가되는 문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 음소에 대해 여러 개의 후보를 제시하는 음성 인식 결과에 대하여, TRIE 인덱싱, 어절 간의 접속을 위한 확장된 접속 검사, 음운 변동을 고려한 사전구성, 음운 접속 정보를 사용하는 형태소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utomatic Generatio of Korean Pronunciation Variants (TTS 시스템을 위한 한국어 발음열 자동 생성)

  • 차선화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413-418
    • /
    • 1998
  • 음성 합성 시스템의 한 모듈로서 한국어 문자열을 음소열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문자열을 음소열로 변환할 때에는 한국어 음운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과정이 필요하다. 한국어의 음운 변화 현상은 단일 형태소 내부와 여러 형태소가 결합하여 한 어절을 이루는 경우 그 형태소 경계, 그리고 어절 경계에서 서로 다른 음운규칙이 적용된다. 따라서 언절이나 문장 등의 입력을 음소열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형태소 분석, 태깅작업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올바른 발음열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한국어의 형태음운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형태소 분석을 선행한 후, 한국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음운 변화 현상의 분석을 통해 정의된 음소 변동 규칙과 변이음 규칙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형태소, 어절, 언절 또는 문장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입력에 대해 발음열을 생성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분리되어 있던 형태소 태거와 변환시스템을 통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으며 텍스트 기반의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형이 복원되는 형태소들에 대한 처리 루틴을 두어 오류를 감소 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