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영 지역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Optimal Position Selection of site for Microcell Mobile Communications (마이크로셀 이동통신 기지국의 최적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임금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227.2-231
    • /
    • 1998
  • 서비스 반경이 1[km]이내인 마이크로셀 방식은 실제 이동국이 70[%]이상 전파 음영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셀 반경내에 있는 지형과 구조물들에 의해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셀내 지형지물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전파경로를 추적하여 이동통신 전파환경을 분석함으로써 최적 기지국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동국이 가시거리 영역의 전파 음영지역 또는 가시거리 영역과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있는 비가시거리 영역에 위치한 경우로 구분하고, 삼각해석법에 의해 각 영역에서의 반사횟수의 전파 경로를 각각 연산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마이크로셀 PCS 이동통신 도심 전파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마이크로셀 이동통신 최적 기지국의 위치 선정 조건을 제시한다.

  • PDF

The Improvement of Antenna Isolation With 1900MHz Band Repeaters (1900MHz 대역 중계기 안테나의 격리도 개선)

  • Park Young-Ho;Shin Jae-Cheol;Cheon Chang-Yul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289-292
    • /
    • 2003
  • 최근 무선통신 분야의 급속한 성장은 양적인 성장에 이어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무선통신 환경에서는 전파강도의 부족으로 전파가 도달할 수 없는 음영지역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음영지역까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재증폭하는 중계기를 사용한다. 이때 중계기의 수신단과 송신단 간의 격리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발진이 일어나 서비스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계기에서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수신안테나와 송신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반사판의 사용과 홈(groove) 기법, 안테나의 편극을 이용하여 1900MHz PCS 대역에서 50dB 이상의 격리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Localization Improvement in GPS Interfering Spot Using Multiple Sensors of Smartphone (스마트폰의 다중 센서를 이용한 GPS 음영지역 위치추적 개선)

  • Kang, Seong-Jae;Kim, Min-Soo;Jeong, Yong-Ho;Hwang, So-Young;Yu, Do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121-123
    • /
    • 2011
  • The accuracy of GPS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GPS satellites and is declined in GPS interfering spot such as around forest or buildings. This paper proposes a localization improvement algorithm in GPS interfering spot by integrating information of multiple sensors in smartphone. The proposed algorithm is implemented in smartphone and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in campus area.

  • PDF

Home-eNB management and mobility control method based on LTE (LTE 기반내의 Home-eNB 관리 및 이동성 제어 방법)

  • Kim, Young-Jun;Kim, Sang-Ha;Lee, Jung-Ryu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8a
    • /
    • pp.229-232
    • /
    • 2008
  • 급격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음영지역 해소 및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해 댁내 기지국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진행 중이다. 댁내 기지국은 크게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Open 방식의 기지국과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해 특정 가입자만 사용할 수 있는 Close 방식이 있다. 상기 방식들은 망의 특성에 맞게 이를 제공하는 망 사업자에 의해 선택 된다. 댁내 기지국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자원이 소요되므로 자동으로 설정 및 최적화시키는 기능이 요구 시 되고 있으며, 이를 3GPP에서 SON (Self Organizing Optimizing Networks) 이라 일컫고 연구진행 중이다. 본 논문은 댁내 기지국 관리를 위해 셀의 기본 인자인 PCI(Physical Layer Identity) 할당 방안과 댁내 기지국간 간섭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Adaptive Coverage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계층적 셀 구성(Hierarchical Cell Structure)에 따른 이동성 제공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Base of Design of GF Network for Satellite DMB (위성 DMB GF Network의 설계 기초에 관한 연구)

  • Noh, Sun-K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1
    • /
    • pp.183-188
    • /
    • 2008
  • Satellite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ses the Cap Filler(GF) that provides a service to the wave shade area of the satellite signal that is a non-line of sight area. The GF is the repeater and the Satellite DMB Systems certainly must construct the GF Network toguarantee the movement reception of the terminal. As the coverage of the GF is formed the Cell or Sector, when the multiple GF is established to be contiguous, the problem of the interference will be able to occur. This paper describes the Satellite DMB system and the GF, and it investigate the design fundamentals plan of the GF Network that it will be able to reduce this problem. As a result, in case of the distance that GF and terminal unit is above 4.6Km, service is not provided because of quality degradation according to mutual interference.

Speed Estimation of Moving Object using GPS and Accelerometer (GPS와 가속도계를 이용한 이동 물체의 속도 추정)

  • Yeom, Jeong-Nam;Lee, Geum-Boon;Park, Jong-Min;Cho, Beom-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425-428
    • /
    • 2008
  •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racking speed on signal-shaded area and the discontinuity of GPS, we present a system which estimates the speed of moving object using GPS and accelerometer. This system is designed to correct accelerometer's noises which are caused by vibration and impact to the object and errors of itself, from the navigation information of GPS receiver and accelerometer which are installed to moving object. And using this information, it estimates the speed of moving object on GPS signal-shaded area to complement discontinuity of GPS navigation information. We designed Kalman Filter structure using GPS and accelerometer to apply this system, and verify that the system can estimate object's speed on GPS signal-shaded area. Finally, we present the possibilities applying to telematics systems like automatic navigation system.

  • PDF

Study on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Modeling in Tunnel (터널 환경에서의 전파전파 특성 모델링 연구)

  • Jeong, Won-Jeong;Kim, Tae-Hong;Han, Il-Tak;Choi, Moon-Young;Ryu, Joon-Gyu;Lee, Ho-Jin;Pack, Jeong-Ki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0 no.9
    • /
    • pp.1003-1013
    • /
    • 2009
  • In the domestic environments, there are many tunnels since most of terrains have mountains. To ensure the quality of wireless network service in NLOS environment like tunnels which differ from indoor or outdoor wireless channels, researches on wave-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such channel are necessary. Especially, in such environment the ground repeater called Gap-Fillers are usually used for satellite mobile services. To make sure that mobile service using satellites in tunnels is available, the research about Gap Filling method is essential. This research is focus on the characterising the wave-propagation through tunnels, to find the appropriate frequency, HPBW of the Gap-Filler antennas, the number of Gap-Fillers, etc.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effective Gap Filling method in tunnels for ISM band, based on analysis of ray tracing and measurement results.

Wireless LAN-based Vehicle Location Estimation in GPS Shading Environment (GPS 음영 환경에서 무선랜 기반 차량 위치 추정 연구)

  • Lee, Donghun;Min, Kyungin;Kim, Jungha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1
    • /
    • pp.94-106
    • /
    • 2020
  • Recently, the radio navigation method utilizing the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information is widely used as the method to measure the position of objects. As GPS applications become wider and fields based on various positioning information emerge, new methods for achieving higher accuracy are required. In the case of autonomous vehicles, the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using the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and the DR(Dead Reckoning) algorithm using the in-vehicle sensor, ar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egradation of accuracy of the GPS and to measure the position in the shadow area. However, these positioning methods have many elements of problems due not only to the existence of various shaded areas such as building areas that are continually enlarged, tunnels,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but also to the limitations of accumulation-based location estimation methods that increase in error over time. In this paper, an efficient positioning method in a large underground parking space using Fingerprint method is proposed by placing the AP(Access Points) and directional antennas in the form of four anchors using WLAN, a popular means of wireless communication, for positioning the vehicle in the GPS shadow area. The proposed method is proved to be able to produce unchanged positioning results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parked vehicles are moved as time passes.

Cel Shading for Apparent Shape (명확한 형태 표현을 위한 셀 쉐이딩)

  • Chung, Jae-Min;Seo, Sang-Hyun;Park, Young-Sup;Yoon, Ky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4 no.4
    • /
    • pp.19-25
    • /
    • 2008
  • In this paper, we present new cel shading technique using local light that increases local contrast for apparent shape depiction. To convey detail and overall shape, we employ virtual local light to represent cubic effect and local shape. Moreover, we control increase of local contrast using curvature as complexity and curvature as importance to adapt depicted local shape to feature of each area. Our technique depicts shape well wherever global light is.

  • PDF

A Study on Home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System using the ISM Band Frequency and T-DMB Broadcasting (T-DMB 방송 기반 ISM 밴드 주파수를 활용한 댁내 재난 방송시스템 연구)

  • Lee, Daegun;Lee, Yo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110-112
    • /
    • 2015
  •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T-DMB)을 이용하여 국지적인 재난경보 방송을 실시하고 있지만 산간오지 등과 같은 전파 음영 지역에는 시설 투자의 한계로 서비스가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은 ISM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마을 방송용으로 주파수를 제한하여 간섭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T-DMB 재난 방송을 기존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의 장점을 이용하여 산간오지의 댁내까지 방송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재난 발생시 T-DMB 특수 수신기의 재난 방송 출력 신호를 무선 마을 방송 송신기와 복수의 댁내 무선 수신기를 통하여 방송 가능한 구조이며 T-DMB 수신기와 무선 방송 송신기간에는 접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정확한 시퀀스 제어가 필요하다. 무선 마을 방송 시스템은 UHF 대역의 ISM 밴드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오지산간 지역의 부락에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다. 장애물로 인한 장거리 전송의 한계는 무선 중계기를 이용하여 커버리지를 확장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DMB 재난 방송을 재송신하는 수단으로 ISM 밴드와 연동할 경우 방송 음영지역 해소 및 재난 방송 수신율이 개선되어 국지적 재난에 대한 대국민 인명과 재산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