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악 세그먼트 분류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The Content-based Genre Classification using Representative Part of Music (음악의 대표구간을 이용한 내용기반 장르 판별에 관한 연구)

  • Lee, Jong-In;Kim, By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211-214
    • /
    • 2008
  • 일부 음악 장르분류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특징 추출을 위한 구간 선택 시 사람이 직접 음악의 주요 구간을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분류 성능이 좋은 반면 수작업으로 인한 부담으로 새롭게 등록되는 음악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음악 장르 분류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자동으로 추출구간을 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이 고정된 구간 (예, 30초 이후의 30초 구간)에서 특징을 추출하는 관계로 분류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악 전체 구간에 대하여 반복구간을 파악하고, 그 중 음악을 대표할 수 있는 단일 대표구간을 선정한 후, 대표구간으로 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장르 분류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고정구간을 사용한 방법에 비해 괄목할 만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Detection of Music Mood for Context-aware Music Recommendation (상황인지 음악추천을 위한 음악 분위기 검출)

  • Lee, Jong-In;Yeo, Dong-Gyu;Kim, Byeong-Ma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7B no.4
    • /
    • pp.263-274
    • /
    • 2010
  • To provide context-awar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first of all, we need to catch music mood that a user prefers depending on his situation or context. Among various music characteristics, music mood has a close relation with people‘s emotion. Based on this relationship, some researchers have studied on music mood detection, where they manually select a representative segment of music and classify its mood. Although such approaches show good performance on music mood classification, it's difficult to apply them to new music due to the manual intervention. Moreover, it is more difficult to detect music mood because the mood usually varies with time. To cope with these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method to classify the music mood. First, a whole music is segmented into several groups that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by structural information. Then, the mood of each segments is detected, where each individual's preference on mood is modelled by regression based on Thayer's two-dimensional mood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80% or higher accuracy.

Music Genre Classification based on Musical Features of Representative Segments (대표구간의 음악 특징에 기반한 음악 장르 분류)

  • Lee, Jong-In;Kim, Byeong-Ma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11
    • /
    • pp.692-700
    • /
    • 2008
  • In some previous works on musical genre classification, human experts specify segments of a song for extracting musical features. Although this approach might contribute to performance enhancement, it requires manual intervention and thus can not be easily applied to new incoming songs. To extract musical features without the manual intervention, most of recent researches on music genre classification extract features from a pre-determined part of a song (for example, 30 seconds after initial 30 seconds), which may cause loss of accuracy. In this paper, in order to alleviate the accuracy problem, we propose a new method, which extracts features from representative segments (or main theme part) identified by structure analysis of music piece. The proposed method detects segments with repeated melody in a song and selects representative ones among them by considering their positions and energi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significantly improve the accuracy compared to the approach using a pre-determined part.

A Music Retrieval Scheme based on Variation of Musical Mood (음악 무드의 변화 기반 유사 음악 검색 기법)

  • Sanghoon Jun;Byeong-jun Han;Eenjun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760-762
    • /
    • 2008
  • 음악에서는 다양한 감정의 표현을 시간에 따른 음악 무드의 전이로 표현한다. 본 연구에서는 Longest Common Subsequence (LCS) 알고리즘 및 k-Means 알고리즘에 기반한 유사 음악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음악 무드의 흐름을 무드 세그먼트 단위로 나누고, 이를 추출된 다양한 음악 특성을 k-Means 알고리즘으로 분류하여 무드 시퀀스로 변환한다. 또한, 유사한 무드의 흐름을 가지는 음악을 검색하기 위해 LCS 알고리즘에 기반한 무드 시퀀스의 유사도를 정의한다. 본 논문은 제안된 내용을 바탕으로 실험과 설문 조사를 통해, 기존의 전역적 특성 검색 방식보다 시퀀스를 이용한 검색방식이 좀 더 효율적임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