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소 분할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segmentation of Korean word for the lip-synch application (Lip-synch application을 위한 한국어 단어의 음소분할)

  • 강용성;고한석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509-512
    • /
    • 2001
  • 본 논문은 한국어 음성에 대한 한국어 단어의 음소단위 분할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단어는 원광대학교 phonetic balanced 452단어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였고 분할 단위는 음성 전문가에 의해 구성된 44개의 음소셋을 사용하였다. 음소를 분할하기 위해 음성을 각각 프레임으로 나눈 후 각 프레임간의 스펙트럼 성분의 유사도를 측정한 후 측정한 유사도를 기준으로 음소의 분할점을 찾았다. 두 프레임 간의 유사도를 결정하기 위해 두 벡터 상호간의 유사성을 결정하는 방법중의 하나인 Lukasiewicz implication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기존의 프레임간 스펙트럼 성분의 유사도 측정을 이용한 하나의 어절의 유/무성음 분할 방법을 본 실험의 목적인 한국어 단어의 음소 분할 실험에 맞도록 수정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해 음성 전문가에 의해 손으로 분할된 데이터와 본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와의 비교를 하여 평가를 하였다. 실험결과 전문가가 직접 손으로 분할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32ms이내로 분할된 비율이 최고 84.76%를 나타내었다.

  • PDF

The Implementation of Automatic Segmentation and Labelling System Using Context-dependent Demi-phone (문맥종속 반음소단의 모델을 이용한 자동 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시스템의 구현)

  • 김태환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351.2-356
    • /
    • 1998
  • 음소 단위로 레이블링된 데이터베이스는 음성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동 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nophone과 triphone의 장점을 포함하는 문맥 종속 반음소 단위 모델을 이용한 자동 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레이블링 단위로는 68개의 유사음소와 묵음 등 총 69개로 정하였으며, 음소 모델링은 연속 HMM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subword 단위모델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문맥종속 반음소 모델을 이용한 자동 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시스템의 성능 비교 음소경계오차가 10ms 이내인 경우 각각 60.17%, 66.32%를 포함하여 6.15%의 향상을 보이고, 40ms 이내인 경우 90.36%, 94.27%를 포함하여 3.92%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Segmentation System of Korean Speech based on the Hidden Markov Model (HMM에 의한 한국어음성의 자동분할 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 김윤중;김미경;이인동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 /
    • v.1 no.3_4
    • /
    • pp.1-2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HMM(Hidden Markov Model) 및 Levelbuild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대상 음소열의 표본 집합(훈련패턴 집합)을 입력으로 하는 음성의 자동 분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자연스럽게 발음되어진 연결음 음성으로부터 표준 음소모델을 생성한다. 본 시스템의 구성은 초기화 과정, HMM학습과정 그리고 Levelbuilding을 이용한 분리 및 CLustering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기화 과정에서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훈련패턴 집합으로부터 초기 음소 집합 군을 생성한다. Levelbuilding을 이용한 분리 및 Clustering 단계에서는 음소 모델과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훈련패턴들을 음소 단위로 분리하고, 분리된 후보 음소들을 Clustering하여 음소집합 군을 생성한다. 음소모델의 구성에 변화가 없을 때까지 이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음소모델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3개 이하의 숫자단어로 구성된 연결되어 음성 패턴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연결단어에 대한 음소의 표준모델 생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처리인 훈련패턴의 자동분할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반복과정에서 분리된 정보를 그래프로 도시화하여 확인하였다.

  • PDF

Automatic Segmentation Using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를 이용한 자동 음성 분할)

  • 김도한;이상운;이기정;홍재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795-798
    • /
    • 2000
  • 연속음 인식과 음성 합성을 위해서는 정밀한 음성학적 모델과 연속 음성에 적용 가능한 언어 모델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음성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인식 단위, 혹은 합성 단위의 분할이 필요한데, 수동음성 분할은 일관성의 유지가 어렵고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최근에는 자동 분할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자동 음성 분할 기법으로는 시간 영역이나 주파수 영역특징 벡터의 천이를 분석하는 방법과 특징 벡터간의 상관도를 구하여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LPC smoothed log amplitude spectra는 음성의 주파수 영역의 특징을 잘 나타내며, 동일 음소 내의 상관도가 서로 다른 음소의 상관도보다 더 크고, 음소의 경계구간에서 급격한 상관도의 변화를 보인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이웃 프레임에 대한 상관도의 방향성이 특정조건을 만족하는가를 검사하여 음소의 경계를 구하는 방법을 찾았다. 또한 LPC. 이득 인자만으로 묵음 구간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렇게 하면 묵음 구간검출과 음소 경계 검출의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수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안한 기법으로 허용 오차 20ms 이내에서 연속음성에 대한 음소 경계 검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작업으로 행한 경계 검출 지점의 약 88%를 정확히 검출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utomatic Phoneme Labelling System Using Context-dependent Demi-phone Unit and Performance Evaluation (문맥종속 반음소단위에 의한 자동 음운 레이블링 시스템의 구현 및 성능평가)

  • Park Soon-Cheol;Kim Tae-Hwan;Kim Bong-Wan;Lee Yong-J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65-70
    • /
    • 1999
  • 음소 단위로 레이블링된 데이터베이스는 음성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작업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동 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자동레이블링 시스템에서 레이블링 분할의 단위로monophone과 triphone의 장점을 포함하는 문맥 종속 반음소 단위 모델을 이용한 자동 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시스템을 제안한바 있다[1]. 본 논문에서는 문맥종속 반음소 단위 자동음소분할 및 레이블링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반음소의 단위를 개선하였다. 기존에 제안된 반음소 단위는 음소의 중점을 기준으로 left/right의 반음소 단위로 양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음소의 길이가 120ms 이상일 경우 음소의 천이구간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도록, 음소의 앞뒤구간 각각 60ms를 전반음소와 후반음소로 나누고, 나머지 안정구간을 별도의 모델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반음소 단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PBW 452단어를 발성한 남자 30명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레이블링 시스템을 훈련하고, 훈련에 사용하지 않은 남자 4명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스트 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반음소 단위에 비하여 10ms에서 $69.09\%$$1.65\%$, 20ms에서 $85.32\%$$1.02\%$의 성능향상을 가져왔다.

  • PDF

A Study of Phoneme Modeling for Improvement of Automatic Segmentation Performance (자동 음소 분할 성능 개선을 위한 음소 모델링에 관한 연구)

  • Park Hae Young;Kim Hyung S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75-17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Hidden Markov Model(HMM)을 이용하여 corpus 기반 TTS에 사용할 DB를 자동 음소 분할 해주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HMM을 이용해서 음소 분할 할 경우 HMM을 모델링 하는 방법에 따라 많은 성능의 차이가 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MM 모델링 방법에 따른 몇 가지 실험 및 성능 평가를 하였다. 실험 결과 음성 인식과는 달리 HMM모델링 시 triphone 모델보다 monophone 모델의 성능이 더 우수하였으며, 에너지 기반의 후처리를 통해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utomatic Phonetic Segmentation of Korean Speech Signal Using Phonetic-acoustic Transition Information (음소 음향학적 변화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음성신호의 자동 음소 분할)

  • 박창목;왕지남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8
    • /
    • pp.24-30
    • /
    • 2001
  •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automatic segmentation for Korean speech signals. All kinds of transition cases of phonetic units are classified into 3 types and different strategies for each type are applied. The type 1 is the discrimination of silence, voiced-speech and unvoiced-speech. The histogram analysis of each indicators which consists of wavelet coefficients and SVF (Spectral Variation Function) in wavelet coefficients are used for type 1 segmentation. The type 2 is the discrimination of adjacent vowels. The vowel transition cases can be characterized by spectrogram. Given phonetic transcription and transition pattern spectrogram, the speech signal, having consecutive vowels, are automatically segmented by the template matching. The type 3 is the discrimination of vowel and voiced-consonants. The smoothed short-time RMS energy of Wavelet low pass component and SVF in cepstral coefficients are adopted for type 3 segmentation. The experiment is performed for 342 words utterance set. The speech data are gathered from 6 speakers. The result shows the validity of the method.

  • PDF

Context-adaptive Phoneme Segmentation for a TTS Database (문자-음성 합성기의 데이터 베이스를 위한 문맥 적응 음소 분할)

  • 이기승;김정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
    • /
    • pp.135-144
    • /
    • 2003
  • A method for the automatic segmentation of speech signals is described. The method is dedic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large database for a Text-To-Speech (TTS) synthesis system. The main issue of the work involves the refinement of an initial estimation of phone boundaries which are provided by an alignment, based on a Hidden Market Model(HMM). Multi-layer perceptron (MLP) was used as a phone boundary detecto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segmentation, a technique which individually trains an MLP according to phonetic transition is proposed. The optimum partitioning of the entire phonetic transition space is constructed from the standpoint of minimizing the overall deviation from hand labelling positions. With single speaker stimuli,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95% of all phone boundaries have a boundary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maller than 20 ms, and the refinement of the boundaries reduces the root mean square error by about 25%.

The Error Pattern Analysis of the HMM-Based Automatic Phoneme Segmentation (HMM기반 자동음소분할기의 음소분할 오류 유형 분석)

  • Kim Min-Je;Lee Jung-Chul;Kim Jong-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5
    • /
    • pp.213-221
    • /
    • 2006
  • Phone segmentation of speech waveform is especially important for concatenative text to speech synthesis which uses segmented corpora for the construction of synthetic units. because the quality of synthesized speech depends critically on the accuracy of the segmentation. In the beginning. the phone segmentation was manually performed. but it brings the huge effort and the large time delay. HMM-based approaches adopted from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re most widely used for automatic segmentation in speech synthesis, providing a consistent and accurate phone labeling scheme. Even the HMM-based approach has been successful, it may locate a phone boundary at a different position than expected. In this paper. we categorized adjacent phoneme pairs and analyzed the mismatches between hand-labeled transcriptions and HMM-based labels. Then we described the dominant error patterns that must be improved for the speech synthesis. For the experiment. hand labeled standard Korean speech DB from ETRI was used as a reference DB. Time difference larger than 20ms between hand-labeled phoneme boundary and auto-aligned boundary is treated as an automatic segmentation error. Our experimental results from female speaker revealed that plosive-vowel, affricate-vowel and vowel-liquid pairs showed high accuracies, 99%, 99.5% and 99% respectively. But stop-nasal, stop-liquid and nasal-liquid pairs showed very low accuracies, 45%, 50% and 55%. And these from male speaker revealed similar tendency.

The phoneme segmentatioi with MLP-based postprocessor on speech synthesis corpora (합성용 운율 DB 구축에서의 MLP 기반 후처리가 포함된 음소분할)

  • 박은영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344-349
    • /
    • 1998
  • 음성/언어학적 및 음성의 과학적 연구를 위해서는 대량의 음소 단위 분절 레이블링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음성 합성용 DB 의 구축 및 합성 단위 자동 생성 연구의 일환으로 자동 음소 분할기의 경계오류를 보상할 목적으로 MLP 기반 호처리기가 포함된 음소 분할 방식을 제안한다. 최근 자동 음소 분할기의 성능 향상으로 자동 분절 결과를 이용하여 음성 합성용 운율 DB를 작성하고 있으나, 여전히 경계오류를 수정하지 않고서는 합성 단위로 직접 사용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보다 개선된 자동 분절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성에 내제된 음향적 특징을 다층 신경회로망으로 학습하고, 자동 분절기 오류의 통계 특성을 이용하여 자동 분절 경계 수정에 용이한 방식을 제안한다. 고립단어로 발성된 합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제안된 후처리기를 도입 후, 기존 자동 분절 시스템이 분할율에 비해 약 25% 의 향상된 성능을 보였으며, 절대 오류는 약 39%가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