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성출력장치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초

후천적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A Smartphone Interface for Acquired Visually Impaired)

  • 조윤수;조상묵;박명훈;이태식;강경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29-23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시각을 잃기 전 정상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후천적 시각장애인들이 스마트폰의 일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과 컨트롤러로 구성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컨트롤러의 입력을 받아 전화, 문자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일련의 과정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컨트롤러는 저가의 소형 컴퓨팅 장치인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수백만원대의 기존 제품 대비 비용을 절감하고, 휴대성을 확보하였다.

  • PDF

스마트 디바이스의 세대별 사용자 경험 변화 연구 (How Does Smart Device User Experience Change by Generation)

  • 이현주;홍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52-260
    • /
    • 2019
  • 우리 생활 속 깊숙이 침투해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는 이용자의 편리함을 높여줄 뿐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 등 사회 전반의 생활양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대별 디바이스 구분과 기술을 통한 사용자 경험의 변화 과정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목적과 행태, 개인 전용도와 상호작용에 가장 중요한 디지털 컴포넌트인 입력과 출력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에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목적성이 뚜렷하고, 공동으로 사용하며 별도의 장치를 통한 입력, 출력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디바이스가 진화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목적성보다는 즐거움을 위한 유희적인 측면을 더 중요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개인 전용도가 높아졌으며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던 과거와는 달리 사용자 신체를 사용해 입력하는 터치스크린을 비롯해 음성, 행위(모션) 등을 통한 인간의 오감을 활용해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기술을 바탕으로 얻는 사용자들의 총체적 경험이 세대별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알아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차후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디바이스가 발전해 가야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도 출시된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나타나는 총제적인 경험에 관한 연구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새로운 도트형 프린트 워터마크 패턴의 생성 및 부호화 기법 (Technique for production and encoding of New dot-type Print Watermark Pattern)

  • 이부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979-98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차원 인쇄물의 고유정보 즉, 텍스트, 도형 및 기호 등에 대응하는 음성, 영상 및 기타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의 도트형 프린트 워터마크 생성 방법 및 부호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프린트 워터마크는 인쇄물의 고유정보에 대응하여 고유정보위에 다시 인쇄되는 특정마크로서 고유정보의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음성, 또는 영상정보와 연결시키는 중간 매개 역할을 한다. 제안한 도트형 프린트 워터마크 패턴은 $0.4mm^2$의 면적 내에 $16{\times}16$의 행렬구조를 가지며, 256개의 원소(element) 중 23개의 위치에 도트가 인쇄된다. 인쇄되는 도트의 크기는 0.02mm고 매우 작아 가시화되지 않는다. 23개의 위치는 2진수 비트 위치와 매핑 되어 800만개 정도의 인쇄물 고유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며, 도트가 인쇄되는 위치에 따라 쉽게 2진수로 부호화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프린트 워터마크 패턴이 자체 제작된 인식장치에 의해 쉽게 인식됨을 보였다.

중소형 선박용 항해기록장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DR System for Small and Medium-sized Power Boat)

  • 민병국;모창환;김철원;박종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41-34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중소형 선박에 적합한 저가의 VDR(Voyage Data Recorder)시스템을 설계하고, 해양 항법시스템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해양 항법시스템과 VDR이 시리얼 통신 혹은 이더넷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여 VDR에 연계된 항해통신 장비 및 센서 등의 데이터들을 항법시스템에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육상에서 VDR의 기능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차량용 블랙박스"(차량 위치, 영상, 음성저장)와 같이 VDR 고유 기능을 통한 정확한 해난 사고 원인 분석이 가능하게 중소형선박에도 확대 적용하고자 소형 경량화로 설계하고자 한다.

LabVIEW 기반의 MHA 명령방식 비행종단수신기 점검장비 구현 (Implementation of LabVIEW based Testbed for MHA FTSR)

  • 김명환;황수설;임유철;마근수
    • 항공우주기술
    • /
    • 제13권1호
    • /
    • pp.55-62
    • /
    • 2014
  • 비행종단수신기는 발사체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 상태에 대비하여 비행을 중단시키는 지상 명령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Secure 톤은 IRIG에서 규정한 7개의 음성 주파수 대역 톤 신호 중 2개의 톤을 조합하여 11개의 연속적인 부호로 명령 포맷을 구성한다. 한국형발사체 탑재를 고려해 개발 중인 비행종단수신기는 Secure 톤에 암호화 기능을 추가한 MHA 명령 방식을 적용하였다. 제작된 비행종단수신기의 성능 및 기능을 점검하기 위해선 동일한 규격의 RF 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수신기의 외부 출력 포트를 모니터링하고 RS-422 통신을 제어하며 시험 데이터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점검장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행종단수신기 인터페이스 및 적용된 명령 방식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함께 LabVIEW 기반으로 제작된 점검장비의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구현 및 기능 점검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CDMA 기지국에서 Pilot $E_c/I_o$ 보상기법을 이용한 수신감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eiver Sensitivity Measurement using Pilot $E_c/I_o$ Compensation Method at CDMA Communication Network)

  • 정기혁;나극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8호
    • /
    • pp.9-16
    • /
    • 2007
  • 운용중인 기지국에서 각종 RF 파라미터의 측정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수행되고 있는 측정에서 조차 비교적 측정이 용이한 순방향 항목에 집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에 설치된 순방향 모니터링 포트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역방향의 무선 품질을 측정이 기능한 측정장치를 설계하여 실제 운용 중인 기지국에서 검증시험을 실시함으로써 연구의 완성도 향상을 꾀하였다. 수신감도의 측정은 내장된 CDMA 모뎀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에 의한 모뎀의 출력을 감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정확한 계측을 위하여 모뎀의 TxAdj 파라미터와 함께 디텍터에 의한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정확한 수신감도의 측정을 위해서는 트래픽이 없는 상황에서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운용중인 시스템에서는 상황재현이 어려우므로 통화량 증가에 의한 수신감도의 열화정도를 보상함으로써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E_c/I_o$에 의한 보상기법을 적용하였다.

중증언어장애자 의사소통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Aid System for the Person of a Serious Speech Impaired)

  • 박정화;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5-52
    • /
    • 2010
  • 언어 및 신체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의사소통을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컴퓨터를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시스템은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중요한 도구이다. 그러나 신체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원활하게 사용하지 못하므로 단순한 입력만으로 시스템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입력만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의사소통지원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장애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빈출문장들을 수집하여 9개 생활언어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시하므로, 몇 번의 선택 동작만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문장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원하는 문장이 없는 경우에는 천지인 자판을 제공하므로 문장을 만들 수 있고, 만들어진 문장을 빈출문장 그룹에 포함시켜서 다음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그룹에 속한 문장들은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라 순위를 바꾸어 줌으로써 가능한 입력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모바일 이미지 기반의 문자인식 시스템 (The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of Mobile Camera Based Image)

  • 박영현;이형진;백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677-1684
    • /
    • 2010
  • 최근 모마일 폰의 발달과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인해서 많은 콘텐츠들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휴대장치에 소형 카메라가 탑재되면서부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어지는 영상 기반 콘텐츠 개발은 사람들의 흥미뿐만 아니라 활용 면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 문자인식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 보행 보조 시스템, 로봇 자동 주행 시스템, 비디오 자동 검색 및 색인 시스템, 텍스트 자동 번역 시스템 등과 같은 활용영역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 카메라로 입력되는 자연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추출 및 인식하고 음성으로 출력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추출된 개별 텍스트 후보영역의 문자 인식에는 오류 역전파 신경망을 이용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하이-테크놀로지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실험 연구 동향 분석 (A Research Review of High-technology AAC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송재옥;전병운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203-22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국내외 하이-테크놀로지 기반 보완 대체의사소통 중재 실험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여 하이-테크놀로지 기반 보완 대체의사소통체계를 활용한 중재와 연구 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기준에 따라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9년부터 2016년 6월까지의 문헌을 검색하여 총 46편(국내 연구 23편, 국외 연구 23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문헌을 (1) 중재 대상 (2) 연구 설계 (3) 중재 환경 (4) 독립변인 (5) 종속변인 (6) 사용된 의사소통 기술 (7) 중재에 사용된 하이-테크 AAC 기기의 유형 (8) 사용된 소프트웨어의 종류 등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중재 대상은 총 126명이었으며, 연령별로는 6-11세가 가장 많았고, 장애 영역별로는 자폐성 장애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연구 설계는 국내 연구의 경우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가 많았고, 국외 연구에서는 중재 교대 설계가 가장 많았다. 중재 환경은 특수학교나 특수학급과 같이 분리된 학교 상황의 교실 등에서 실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의 분석 결과, 국내 연구에서는 하이-테크 AAC 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중재 프로그램(전략)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고, 국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AAC 도구를 활용한 중재 비교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종속변인으로는 의사소통 기능 향상이 국내외 모두 가장 많았다. 중재에 사용된 하이-테크 AAC 도구는 태블릿 PC의 사용 비율이 가장 높았고, 소프트웨어는 국내에서는 '마이토키', 국외에서는 'Proloquo2Go'의 사용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대상 하이-테크놀로지 AAC 도구와 관련한 중재 연구, 현장 적용, 기기 개발 등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진단 엑스선 영상에서 환자 위치잡이의 자동화 (Auto-Positioning of Patient in X-ray Diagnostic Imaging)

  • 양원석;손정민;천권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793-799
    • /
    • 2018
  •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의료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인공지능이 연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엑스선 촬영, 컴퓨터단층촬영(Computer Tomography),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의 의료영상장치에 인공지능이 접목되고 있으며 향후 방사선사 없이 환자의 방사선 영상을 획득 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의료기기가 발명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엑스선 촬영에 있어서 환자 위치잡이에 대한 자동화에 대해서 초기 연구를 했다. 위치잡이에 대한 평가를 위해 엑스선 장비와 인체 팬텀을 사용했다. 프로그램은 Visual Studio 2010 MFC로 구현했으며 영상은 $1,450{\times}1,814$ 크기로 했다. 픽셀 값을 눈으로 식별 가능한 0 ~ 255 값을 갖는 명암으로 변환하여 모니터에 출력했다. 출력한 영상에 세 픽셀 좌표 값을 통해 각도를 예측하고 각도에 따른 음성안내에 따라 환자가 바른 위치잡이를 하도록 유도하는 절차 알고리즘 프로그램을 개발 했다. 다음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좌표의 기준을 인공지능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닌 인공지능 스스로 구조물을 파악하여 각도를 계산하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향후 위치잡이의 자동화를 통해 촬영부터 위치잡이까지 인공지능이 실시하도록 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