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성사용자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of Specialized User Interface for Mobile Ubiquitous Devices Based on Using Patterns (사용자의 사용 방식에 근거한 이동형 유비쿼터스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설계)

  • Na, SangYeob;Yoo, HeeY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6
    • /
    • pp.79-87
    • /
    • 2006
  • An ubiquitous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allow users to use information more easily. These environments are based on advanced development of mobile ubiquitous hardwares. Currently, a various user interfaces are developed for mobile ubiquitous devices using the graphic or voice. In this paper, propose a specialized graphical user interface which is based on analysis of a user profile. This user interface can provides suitable interface for individual users using XML information on the small screen of mobile ubiquitous devices.

  • PDF

Design of dataglove based multimodal interface for 3D object manipulation in virtual environment (3 차원 오브젝트 직접조작을 위한 데이터 글러브 기반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설계)

  • Lim, Mi-Jung;Park, Peo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11-1018
    • /
    • 2006
  •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는 인간의 제스처, 시선, 손의 움직임, 행동의 패턴, 음성, 물리적인 위치 등 인간의 자연스러운 행동들에 대한 정보를 해석하고 부호화하는 인지기반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스처와 음성, 터치를 이용한 3D 오브젝트 기반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를 설계, 구현한다. 서비스 도메인은 스마트 홈이며 사용자는 3D 오브젝트 직접조작을 통해 원격으로 가정의 오브젝트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멀티모달 인터랙션 입출력 과정에서는 여러 개의 모달리티를 병렬적으로 인지하고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입출력 과정에서 각 모달리티의 조합과 부호화 방법, 입출력 형식 등이 문제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달리티들의 특징과 인간의 인지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제스처, 음성, 터치 모달리티 간의 입력조합방식을 제시하고 멀티모달을 이용한 효율적인 3D Object 인터랙션 프로토타입을 설계한다.

  • PDF

A Study on LMS Using Effective User Interface i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에서 효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LMS에 관한 연구)

  • Kim, Si-Jung;Cho, Do-Eu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6 no.1
    • /
    • pp.76-81
    • /
    • 2012
  • With the spread of the various mobile devices, the studies on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u-learning are actively proceeding. The u-learning-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is very convenient in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various access devices as well as the access time and place. However, the judgments on the authentication for the user and whether learning is focused on are difficult. In this paper, the voice and user face capture interface rather than the common user event oriented interface was appli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When a user is acces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er's registered password is input and login as voice, and the user's learning attitude is judged through the response utterance of simple words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through content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opo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e user's learning achievement and concentration were improved, thus enabling the manager to monitor the user's abnormal learning attitude.

A study on speech interface technology for DAB (DAB용 음성 인터페이스 기술연구)

  • 최정규;김규홍;김원철;한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1b
    • /
    • pp.193-19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수년 내에 실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필요한 음성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기본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연구의 시작 단계이므로 적용 분야는 고속도로 상에서의 교통정보 안내 시스템으로 제한하였다. 즉 목표시스템은 고속도로 상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고립단어로 입력하면 시스템이 이를 인식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교통 정보 안내 text중 해당 구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음성어로 사용자에게 들려 주는 것이다. 현재의 연구 결과는 상기 시스템 중 음성인식 기능은 구현이 완료되었으며 교통 정보 안내는 아직은 문장으로 보여주는 수준이다. 향후 이를 편집 합성기를 이용하여 음성어로 들려 주는 연구를 금년 말까지 개발하여 전체 시스템에 대한 초벌 구현을 완료할 예 정 이 다. 논문에서 소개될 내용은 전체 시스템 개념, 고립단어 인식 기술, 표본화 주파수 및 양자화 bit수에 따른 인식율 변화, 최종 시스템 구현을 위한 향후 계획 등이다.

  • PDF

Designing Voice Interface for The Disabled (장애인을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 설계)

  • Choi, Dong-Wook;Lee, Ji-Hoon;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697-699
    • /
    • 2019
  •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자기기의 이용량은 증가하였지만, 시각장애인들이나 지체 장애인들이 이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oogle Cloud API를 활용하여 음성으로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음성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Google Cloud에서 제공하는 STT(Speech To Text)와 TTS(Text To Speech)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면 텍스트로 변환된 음성이 시스템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 시스템은 장애인들이 전자기기를 사용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줄 것으로 예상하며 나아가 장애인들뿐 아니라 비장애인들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tore Locator Voice Recognition System Using VoiceXML (VoiceXML을 사용한 상가 검색 음성인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김우일;송성균;고경만;윤재석;김국보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138-143
    • /
    • 2002
  • 음성은 컴퓨터와 인간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지속적인 연구가 되어 왔다. VoiceXML로 구현된 음성 포털 서비스는 사용자의 음성 질의에 따라 정보를 검색하고 청취할 수 있는 기술로서 현재 다양한 컨텐츠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화나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으로 상가의 위치, 전화 번호, 상가 소개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VoiceXML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보았다. 웹과 연동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고 다양한 다이얼로그를 표현하기 위해 특히, JSP를 이용하고 각 로직을 자바빈즈 컴포넌트로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ISDN Standards (ISDN 기술기준에 관한 연구)

  • Kwon,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9 no.1
    • /
    • pp.87-96
    • /
    • 1994
  • 경제성과 효율성을 지닌 종합정보 통신망인 ISDN은 음성 또는 비음성의 정보를 모두 디지털 형식으로 통일시켜 각종 서비스가 하나의 회선과 이용자 번호로 제공되는 디지털 전송. 교환방식의 네트워크로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1월 서비스가 상용화 되었다. 전기통신의 국제 표준화 작업은 ITU 회원국의 주관청과 표준화 업무에 희망을 피력하고 회원국의 승인을 받은 공인된 민간 운영회사 및 과학 산업기구의 연구원으로 구성된 ITU-TS에 의해 주관된다. ITU-TS는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본 네트워크 및 단말기와 사용자 측의 필요 조건을 정리하여 1984년과 1988년에 I시리즈 권고를 통해 ISDN의 개관과 서비스, 망 구성 및 운용,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망간의 인터페이스 등 ISDN에 관한 개념이나 원칙을 국제 표준으로 발표하였다. ITU-TS의 ISDN 일반 원칙에 따르면 네트워크 자체는 각국의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 선진국인 미국의 표준화 과정을 조사.연구함으로써 국내 통신망의 보호와 국내 실정에 맞는 통신망 구축을 위해 보다 나은 ISDN 기술 기준의 제정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기술기준에 대한 연구 시기를 앞당기고 현장 시험에서 얻어지는 자료나 연구결과의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며, 상용화 후에도 예측못했던 문제점 및 사후 관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야 겠다. 그리고 기술기준을 제정하는 위원회에는 통신 사업자는 물론 정부 및 이용자까지도 함께 참여하여 모든 사람의 이익을 고려한 기준이 제정될 수 있어야겠다.

Cooking with a smart speaker: User experience of cooking with a voice-only recipe service (스마트 스피커와 요리하기: 음성기반 레시피 제공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 Jung, Gumin;Jeong, Heisaw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7 no.5
    • /
    • pp.13-23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how users use smart speakers in cooking situations. Skilled and unskilled participants cooked a new recipe while following voice instructions delivered by a smart speaker. The results from video recordings of their cooking, think-aloud protocols, and interviews showed that the smart speakers freed users' hands, allowing them to cook while checking recipes. The lack of visual information did not pose a serious challenge to the cooking task, but impacted cooking quality. The implications for VUI-based recipe service designs are discussed.

An Implementation of Cellular Phone - Automobile Interface System (휴대폰 - 자동차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현)

  • Kim, Dong-Gyu;Yang, Jung-Su;Kim, Jung-Hyun;Roh, Yong-Wan;Chung, Kwang-Woo;Hong,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5.11a
    • /
    • pp.268-273
    • /
    • 2005
  • 기존의 텔레메틱스 서비스는 교통정보안내 및 생활정보 등의 차량 내에서의 서비스 위주로 제공한다. 그러나 차량 밖에 사용자가 있을 때 사용자가 차량의 상태 및 기타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 하는 서비스의 초기단계로 전화연결 서비스(원격진단, 원격 문열림, 도난차량 추적, 내차위치확인)가 있다. 이 서비스는 중앙센터의 안내원 연결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차량의 상태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안내원 연결을 통하지 않고 VXML을 이용하여 인간과 자동차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VXML기술은 전화 사용자의 필요한 정보의 요구를 음성인식하며 차량으로부터의 정보는 음성합성에 의해 말로써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구현된 기술은 주차한 차량의 상태를 사용자가 궁금할 때 언제나 직접 가보지 않고 전화로 확인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간적 손실을 줄인다. 또한, 주차한 차량의 훼손이나 침입 여부를 즉시 SMS로 사용자에게 알려 대처 하도록 하였다. 10인의 피실험자가 각각 10번씩 모두 100번을 실험한 결과 응답시간이 3초 이내로 나타났고 100%의 동작 성공률을 보였다. 자동차 이용자의 차량 정보 및 서비스 이용에 편리성을 제공하고, 정보 단말기와 전화 사용자 간에 VXML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기술 확보 및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지능형 자동차의 시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The Effect of Barge-in Function of In-Vehicle Voice Conversational Interface on Driving Experience - Focus on Car Navigation and Music Services - (차량용 음성대화 인터페이스의 Barge-in 기능이 주행 경험에 미치는 효과 연구 - 내비게이션 및 음악서비스 중심으로 -)

  • Kim, Taek Soo;Kim, Ji Hyun;Choi, Jun Ho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7 no.1
    • /
    • pp.17-28
    • /
    • 2018
  • The manipulation of the device by hand while driving is a major factor to increase the risk of accidents, and the design of in-vehicle voice conversational interface that can compensate for this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barge-in function of in-vehicle voice interface on user experienc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arry out two tasks, one for navigation and one for music play. We conducted a survey to measure the functional user 's experience after each participant' s tasks, and measured usefulness, usability, satisfaction, and emotion as user experience factors. As a result, Barge-in has been rated as the better choice for most experience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usability dimension in navigation task and significant effects on usability dimension and emotional dimension in music play task. So it was found that barge-in fun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tual user's usability and emotional dim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