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성사용자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음성정보기술 국제 표준화 동향

  • 홍기형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1 no.2
    • /
    • pp.33-41
    • /
    • 2004
  • 언제, 어디서, 어떤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정보의 검색이나 접근이 가능해지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가시화되고 있어, 음성을 사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음성인식, 합성, 화자인증 등 음성 등의 음성처리엔진의 기술 수준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이동 중과 같이 모니터 등 시각적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정보 접근기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음성은 정보시스템 의 중요한 인터페이스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음성정보기술은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수단인 음성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명령을 내리고, 시스템의 명령 수행 결과를 음성으로 전달하는 음성을 이용한 정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 한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음성정보시스템은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정보시스템을 뜻하며, (그림 1)과 같이 음성처리엔진, 사용자 접속망, 사용자 프로파일 및 음성응용시스템으로 구성된다.(중략)

  • PDF

A Method of Arrangement of Voice and Sound : For User Interface of Domestic Appliance (음성과 소리의 할당 방법 : 가전제품 UI 를 중심으로)

  • Hong, Ji-Young;Chae, Haeng-Suk;Lee, Seung-Yong;Park, Young-Hyun;Kim, Jun-Hee;Ryu, Hyung-Su;Kim, Jong-Wa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478-483
    • /
    • 2007
  • 본 연구는 가전제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음성 신호와 청각 신호의 최적 할당 방법을 기술하였다. 가정에서 수시로 접하는 가전제품에서 음성 유저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이하 VUI) 는 음성을 매개로 일어나는 인간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음성 유저 인터페이스의 단독적 적용보다는 소리 신호와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들의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F.G.I, 실험, Depth Interview 를 수행하여 가전제품의 음성 생성 및 표현 인터페이스에서 음성과 소리 신호의 배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 조사 및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최적의 할당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Zero UI Technology Trends (제로 UI 기술 동향)

  • Jeong, C.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37-44
    • /
    • 2017
  •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계와 인간 사이에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로써, 개인용 컴퓨터에서부터 애플의 멀티터치를 사용한 스마트폰까지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제로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의 생활 환경 안에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인지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소화하려는 기술이다. 제로 UI는 스마트한 기계들의 상황인지를 통한 판단, 사용자의 음성 인식,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제스쳐 인식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본고에서는 음성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와 친화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관점과 스마트 기기들이 상황인지를 통하여 자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인터랙션을 줄이는 측면에서의 제로 UI의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 PDF

Design of an Automatic Speech translation system on the Telephone Line (전화망을 통한 자동음성번역 서비스 시스템 설계)

  • Lee Sung-Joo;Lee Yunggik;Yang Jea-Wo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7-6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현재 ETRI에서 개발 중인 유/무선 전화망을 통한 다국어간 대화체 음성번역서비스 시스템에 대해서 소개한다. 전화망을 통한 자동음성번역서비스 시스템은 여행대화영역을 서비스 대상영역으로 하고 있고 자동음성번역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은 동일한 장소에서 대면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여기서 말하는 자동음성번역 시스템의 특징은 인간과 기계간의 인터페이스를 그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인간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정이다. 인간과 인간사이의 인터페이스 상황에서는 인간의 이해력이 시스템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여지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이 사용자의 말하는 의도 혹은 개념만 잘 전달할 수 있다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시스템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자동음성번역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음성인식모듈 문장해석 및 번역 모듈, 음성합성모듈, 시스템통합 모듈 그리고 전화망 인터페이스 모듈로 나뉜다. 여기서는 자동음성번역 서비스 시스템의 각 모듈들의 주요 특징과 상호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Voice User Interface for Domestic Appliance (가전제품의 음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적용에 대한 연구)

  • Hong, Ji-Young;Jeon, Myoung-Hoon;Han, Kwang-Hee;Chae, Haeng-Su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1
    • /
    • pp.55-68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a Voice User Interface(VUI) method and a design guideline tool which supports the studies for domestic appliance. This issue covers specification of user requirement and selection of appropriate VUI to represent speech generation. The criteria for paper is interaction design to enhance user engagement.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prototype of domestic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Gimchi refrigerator, an oven range, a dishwasher and an air conditioner. This paper is presented a study of user preferences and suitability. The results of these findings to voice interface design are discussed and it is suggested that VUI guideline and optimal prototyping can provide a useful application tools in the design process.

  • PDF

A study on innovation resistance of voice user interface - With emphasis on mobil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ce service -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혁신저항 요인 연구 -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 중심으로 -)

  • He, jie;Zhao, zi-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7-4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VUI) 사용에 있어서 혁신저항요인을 연구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Voice Interface for HomeAutomation (홈오토메이션에서 음성인터페이스의 구현)

  • 박정남;이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300-303
    • /
    • 2003
  • 정보 통신의 발전으로 교육, 문화, 의료, 경제 등 사회 시스템과 가정이 결합하여 주택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 따라서 생활의 편의를 위한 가정 내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의 원격 제어 욕구가 증가하여 주택시설의 첨단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복잡하고 많은 기기를 쉽고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음성 명령어를 편집할 수 있는 음성인터 페이스를 제안하고 이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적용하여 더 높은 사용자편리성을 제공하였다.

  • PDF

A Study on Voice User Interface for Domestic Appliance (가전제품의 VUI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 Chae, Haeng-Suk;Hong, Ji-Young;Lee, Ju-Hwan;Jeon, Myoung-Hoon;Kim, Min-Sun;Heo, U-Beom;Ahn, Jeong-Hee;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85-192
    • /
    • 2007
  •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이하 VUI) 는 음성을 매개로 일어나는 인간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음성 인식율의 향상과 음성 재생 장치의 발달에 힘입어 최근 들어 휴대폰과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경향은 A/V 시스템 등 가전제품(Domestic Appliance) 에도 확대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와 필수적이고 빈번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백색 가전을 대상으로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음성 인터페이스의 주요 속성 중 음성 생성(Speech Generation)과 관련된 음성 표현을 중점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주부들이 느끼는 가전에서의 문제점과 VUI 로서 해결가능성에 대하여 F.G.I. 를 통하여 조사하여 주요 이슈를 도출하고, 대표적 백색 가전인 에어컨, 세탁기, 김치냉장고, 냉장고, 식기세척기, 오븐레인지 등 6개 제품에 대하여 음성의 물리적 특성, 내용적 특성, 기능에 따른 배치에 대하여 조건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후 실제 환경과 유사한 실험실 상황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적합도 및 수행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각 이슈에 따라 가전제품에 적합한 VUI 가이드라인 특성을 찾아내었다.

  • PDF

Design of Multimodal User Interface using Speech and Gesture Recognition for Wearable Watch Platform (착용형 단말에서의 음성 인식과 제스처 인식을 융합한 멀티 모달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 Seong, Ki Eun;Park, Yu Jin;Kang, Soon Ju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6
    • /
    • pp.418-423
    • /
    • 2015
  • A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dvances at exceptional speed, the functions of wearable devices become more diverse and complicated, and many users find some of the functions difficult to use. In this paper, the main aim is to provide the user with an interface that is more friendly and easier to use. The speech recognition is easy to use and also easy to insert an input order. However, speech recognition is problematic when using on a wearable device that has limited computing power and battery. The wearable device cannot predict when the user will give an order through speech recognition. This means that while speech recognition must always be activated, because of the battery issue, the time taken waiting for the user to give an order is impractica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use gesture recognition. This paper describes how to use both speech and gesture recognition as a multimodal interface to increase the user's comfor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oice Browser and VXML editor (VXML 편집기와 음성 브라우저의 설계 및 구현)

  • 김경란;홍기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414-416
    • /
    • 2000
  • VXML은 VoiceXML 포럼에서 제안한 대화형 음성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음성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성을 통해 인터넷의 다양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급속히 성장하고 있고 웹의 사용과 편리한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VXML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편집기와 VXML 문서를 처리하여 사용자와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대화형 음성 브라우저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