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성구간추출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xtraction of Unvoiced Consonant Regions from Fluent Korean Speech in Noisy Environments (잡음환경에서 우리말 연속음성의 무성자음 구간 추출 방법)

  • 박정임;하동경;신옥근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4
    • /
    • pp.286-292
    • /
    • 2003
  •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is a process that separates the noise region from silence or noise region of input speech signal. Since unvoiced consonant signals have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ose of noise signals, it may result in serious distortion of unvoiced consonants, or in erroneous noise estimation to can out VAD without paying special attention on unvoiced consona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xtract in an explicit way the boundaries between unvoiced consonant and noise in fluent speech so that more exact VAD could be performe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histogram in frequency domain which was successfully used by Hirsch for noise estimation, and a1so on similarity measure of frequency components between adjacent fram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s on unvoiced consonant boundary extraction was performed on seven kinds of noisy speech signals of 10 ㏈ and 15 ㏈ SNR respectively.

A Study on Speech Period and Pitch Detection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연속음성인식을 위한 음성구간과 피치검출에 관한 연구)

  • Kim Tai Suk;Chang jong chil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8 no.1
    • /
    • pp.56-61
    • /
    • 2005
  • In this thesis, propose speech period and pitch detection for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This mathod is distinguishes between vowel and consonant to frame unit in continuous speech, for distinguishable voice. Powerful extraction of speech period could threshold energy make use of input signal to real noise environment. Also algorithm of this method distinguish between vowel and consonant at the same time in voice make use of zero crossing rate and short time energy to extractible speech period.

  • PDF

The Modeling of Pause Duration For Text-To-Speech Synthesis System (TTS 시스템을 위한 휴지기간 모델링)

  • Chung Jihye;Lee Yanhee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83-8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비정형 단위를 사용한 음성 합성 시스템의 합성음에 대한 자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휴지 구간 추출 및 휴지 지속시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휴지 지속시간 예측 모델은 트리 기반 모델링 기법 중 하나인 CART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남성 단일 화자가 발성한 6,220개의 어절경계 포함하는 총 400문장의 문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V-fold Cross-Validation 방법에 의해 최적의 트리를 결정하였다. 이 모델을 평가한 결과, 휴지 구간 추출 정확율은 $81\%$로 휴지 구간 존재 추출 정확율은 $83\%, 휴지 구간 비존재 추출 정확율은 $80\%이었고, 실 휴지지속시간과 예측 휴지지속시간과의 다중상관 계수는 0.84로, 오차 범위 20ms 이내에서 의 정 확율은 $88\%$ 이었다. 또한, 휴지지속시간을 예측하여 적용한 합성음을 청취 실험한 결과 자연 음성과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On the speaker identification using the informations contained in the voiced intervals (유성음의 정보를 이용한 화자식별에 관한 연구)

  • Oh Chang-Hwan;Park Dae-Sung;Choi Hong-Su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75-178
    • /
    • 2000
  • GMM을 기반으로 하는 화자식별 시스템은 입력음성의 길이의 장단에 의해서 인식률에 차이가 생긴다. 이는 가우시안 모델의 파라미터를 추정할 때, 않은 데이터를 사용할수록 추정이 정확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자식별에 사용하는 입력데이터는 화자가 발성한 모든 음성신호에서 잡음구간만을 제거한 유,무성음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데이터의 양이 많아져서 실시간 처리에 어려움이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음성구간을 이용하는 대신 유성음 구간만을 추출하여 이 구간의 켑스트럼과 피치 값들을 특징파라미터로 이용하여 화자식별에 이용하였다. 특히 피치성분은 일반적으로 통신채널과 핸드셋의 영향에 상대적으로 강한 장점이 있다. 실험을 위하여 20대의 남성 및 여성화자 40명으로부터 얻은 음성데이터에서 유성음구간을 추출하여 GMM을 이용한 문장독립 화자식별 실험을 하였으며, 실험결과 스펙트럼정보와 함께 피치 정보가 화자식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Pattern Recognition by Section Detection Using Speech Word (음성 단어를 이용한 구간검출에 의한 패턴인식)

  • Choi,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681-68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화자 식별에서 음성신호의 애매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신경회로망의 오차역전파학습 알고리즘과 모음구간 검출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음성의 화자 패턴을 구분하는 일본어 단어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에서는 일본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단어를 사용하여 음성의 특징벡터를 추출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음성의 특징벡터의 차이를 이용하여 일본어 화자에 대한 패턴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Speech Recognition in Noisy Environments Using Modified Gain Function (변형된 이득함수를 이용한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인식)

  • Jin, Ho-Sung;Lee, Sang-Ho;Hong, Jae-Ke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9-12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단계 잡음제거 방법의 이득함수를 이용한 고조파 복원 잡음제거 방법의 이득함수를 조정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음성개선을 향상시켰고, 제안한 방법으로 개선된 음성을 음성인식 기술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법으로 음성개선 결과 묵음구간에서 음성구간으로 변화는 구간에서 이전 프레임의 추정된 음성신호로 스펙트럼의 이득함수가 구해져서 음성이 발생하는 구간에서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2단계 잡음제거 방법의 이득함수를 추정된 a priori SNR과 비교하여 이득함수를 조정하고, 2단계 잡음제거 방법의 이득함수를 고조파 복원 방법의 이득함수와 비교하여 이득함수를 조정하여 음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음성인식을 위한 특징벡터 추출을 위해 제안한 방법으로 개선된 음성의 대수 에너지를 정규화 하는 대수 에너지 정규화 방법(Log Energy Normalization)을 음성인식 방법에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Gabor Filter Bank-based Feature Extraction Algorithm for Analysis of Acoustic data of Emergency Rescue (응급구조 음향데이터 분석을 위한 Gabor 필터뱅크 기반의 특징추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 Hwang, Inyoung;Chang, Joon-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345-134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이 신고되는 상황에서 수보자에게 전달되는 신고자의 주변음향신호로부터 신고자의 주변상황을 추정하기 위하여 음향의 주파수적 특성 및 변화특성의 모델링 성능이 뛰어난 Gabor 필터뱅크 기반의 특징벡터 추출 기술 및 분류 성능이 뛰어난 심화신경망을 도입한다. 제안하는 Gabor 필터뱅크 기반의 특징벡터 추출 기법은 비음성 구간 검출기를 통하여 음성/비음성을 구분한 후에 비음성 구간에서 23차의 Mel-filter bank 계수를 추출한 후에 이로부터 Gabor 필터를 이용하여 주변상황 추정을 위한 특징벡터를 추출하고, 이로부터 학습된 심화신경망을 통하여 신고자의 장소적 정보를 추정한다. 제안된 기법은 여러 가지 시나리오 환경에서 평가되었으며, 우수한 분류성능을 보였다.

Voice Activity Detection using Motion and Variation of Intensity in The Mouth Region (입술 영역의 움직임과 밝기 변화를 이용한 음성구간 검출 알고리즘 개발)

  • Kim, Gi-Bak;Ryu, Je-Woong;Cho, Nam-Ik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7 no.3
    • /
    • pp.519-528
    • /
    • 2012
  • Voice activity detection (VAD) is generally conducted by extracting features from the acoustic signal and a decision rule. The performance of such VAD algorithms driven by the input acoustic signal highly depends on the acoustic noise. When video signals are available as well, the performance of VAD can be enhanced by using the visual information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acoustic noise. Previous visual VAD algorithms usually use single visual feature to detect the lip activity, such as active appearance models, optical flow or intensity vari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eakness of each feature, we propose to combine intensity change measure and the optical flow in the mouth region, which can compensate for each other's weakness. In order to minimiz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we develop simple measures that avoid statistical estimation or modeling. Specifically, the optical flow is the averaged motion vector of some grid regions and the intensity variation is detected by simple thresholding. To extract the mouth region, we propose a simple algorithm which first detects two eyes and uses the profile of intensity to detect the center of mouth.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combination of two simple measures show higher detection rates for the given false positive rate than the methods that use a single feature.

A study on pitch detection for RUI emotion classification based on voice (RUI용 음성신호기반의 감정분류를 위한 피치검출기에 관한 연구)

  • Byun, Sung-Woo;Lee, Seo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21-424
    • /
    • 2015
  • 컴퓨터 기술이 발전하고 컴퓨터 사용이 일반화 되면서 휴먼 인터페이스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휴먼 인터페이스에서 감정을 인식하는 기술은 컴퓨터와 사람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중요한 기술이다. 감정을 인식하는 기술에서 분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특징벡터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피치검출을 위하여 음성신호에서 음성 구간과 비 음성구간을 추출하였으며, Speech Processing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 처리 기법인 저역 필터와 유성음 추출 기법, 후처리 기법인 Smoothing 기법을 사용하여 피치 검출을 수행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 처리 기법인 유성음 추출 기법과 후처리 기법인 Smoothing 기법은 피치 검출의 정확도를 높였고, 저역 필터를 사용한 경우는 피치 검출의 정확도가 떨어트렸다.

  • PDF

A Study on the Epoch Extraction of Voicd Speech (유성음 구간에서의 Epoch 추출에 관한 연구)

  • 강동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216-220
    • /
    • 1995
  • 음성 신호처리분야의 기반을 이루고 잇는 선형예측기법으로 성대폐쇄구간 분석이 가능해질 경우 특히 음성합성가 부호화 시스템의 상당한 성능개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관련 분야에서 높은 신뢰도를 갖는 GCI 검출 알고리즘 개발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성대폐쇄구간 검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성대폐쇄시점에 관한 정보이며,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응될 수 있는 정보인 epoch를 음성신호에서 직접 추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프레임 단위별 평균 피치를 참조하여 저역통과된 유성음 신호에서 3구간 영교차점별 평균진폭 변동율에 의해 pseudo-epoch를 검출한다. 대역 통과된 유성음 신호를 이용하여 pseudo-epoch 부근에 존재하는 보다 정밀한 실제 epoch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단계적으로 epoch가 존재할 수 있는 연역을 좁혀 나아가면서 처리하므로 검출오차를 줄일 수 있었고, 시간영역에서 처리되어 계산량이 적으므로 고속 처리가 가능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해 처리결과를 EGG 신호와 비교한 결과 약 2샘플 정도의 오차만을 갖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