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은하 환경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DSS 자료를 이용한 z<0.01 필드은하의 자외광 특성

  • Lee, Ung;Lee, Su-Chang;Kim, Seok;Lee, Yeong-Dae;Park, Min-A;Lee, Won-H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86.1-86.1
    • /
    • 2012
  •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 DR7 분광자료를 이용하여 z < 0.01에 존재하는 필드(field) 은하 505개를 선별하였다. SDSS의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필드은하들의 형태(morphology)를 타원은하/왜소타원은하, 렌즈은하/왜소렌즈은하, 나선은하, 그리고 불규칙은하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은하들에 대한 측광을 수행하였다. 한편, Galex Evolution Explorer (GALEX) 자외광 영상으로부터 선별된 은하들에 대한 자외광 측광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환경에 있는 은하들의 최근 별탄생 활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처녀자리은하단 (Virgo cluster)에 있는 은하들과 비교하여 필드은하들의 자외광-가시광 색-등급 분포를 조사하였다. 처녀자리은하단 은하들에 비하여 필드은하들은 작은 자외광-가시광색지수를 가지는 만기형 은하들의 비율이 높았다. 특히, 조기형 필드은하들의 색지수 값이 처녀자리은하단 조기형 은하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이 특징은 질량이 작은 왜소은하에서 더욱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환경적 효과를 거의 받지 않는 필드은하들은 환경적 효과가 큰 은하단 은하들의 진화 연구에서 환경적 효과의 크기 및 기작을 규명하는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토의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Outer-ring Galaxies within z<0.05 (적색편이 z<0.05의 외부고리 은하에 대한 연구)

  • Chang, Hunhwi;Sohn, Jungjoo;Ahn, Hongba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1 no.3
    • /
    • pp.211-221
    • /
    • 2020
  • This study classified outer-ring galaxies using 25,308 galaxies within z=0.05 from the SDSS DR7, which are larger than Rpet>6 arcsec and whose minor-to-major axis ratio (b/a)<0.6. We selected 531 galaxies that have ring-like structures by visual inspection of the color images of 25,308 galaxies; these galaxies with ring-like structures served as a primary sample from which we selected 90 outer-ring galaxies. The final sample of 69 outer-ring galaxies was selected by examining the photometric properties of the candidate galaxies. Their properties were determined by conducting surface photometry on their u, g, r, i, and z images. The frequency of the outer-ring galaxies was found to be 0.3% of the local galaxies. We examined the environment of the outer-ring galaxies using two measures of environment, namely, the projected distance to the nearest-neighbor galaxy and the local background density. We did not observe any notable difference between outer-ring and other galactic environments.

Outer ring galaxies within z<0.01

  • Jang, Hoonhwi;Sohn, Jungjoo;Ann, Hong Ba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8 no.2
    • /
    • pp.53.2-53.2
    • /
    • 2013
  • 외부 고리를 갖는 은하들(Outer ring galaxies)을 SDSS dr7 목록에서 분류하여, 이들이 갖는 특징과 링 구조(Ring structure)를 형성하는데 외부환경의 요인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했다. z<0.05, b/a>0.6, R>6"의 조건에서 25,308개의 은하들을 추출하였고, SDSS image tool을 이용하여 531개의 외부 고리 은하(Outer ring galaxies)또는 외부고리를 갖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은하(Ring-like galaxies)를 육안으로 분류하였다. 5개(u, g, r, i, z)의 필터로 관측되어진 CCD 이미지의 분석으로 최종적으로 69개의 외부고리 은하(Outer ring galaxies)를 선정하였다. 통계적으로 전체 은하에서 외부 고리 은하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0.2726%라는 결과를 얻게 되었고, 은하들의 주변의 환경을 조사한 결과 배경밀도와 비리얼 반경에 있어서 다른 형태의 고리를 갖고 있는 은하들과의 유의미한 특이점은 보이지 않았다.

  • PDF

우리 은하의 초기 Building Block으로부터 유입된 subdwarf B 항성의 개수 추정

  • Na, Jong-Sam;Lee, Jae-Hyeon;Son, Sang-Mo;Han, Sang-Il;Lee, Yeong-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46.1-146.1
    • /
    • 2011
  • 최근의 관측에 의하면 우리 은하의 헤일로내 field에 위치한 subdwarf B 항성이 헬륨이 증가된 구상성단의 푸른 수평계열성 ( Extreme Blue Horizontal Branch ) 과 동일한 기원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초기 우주 환경과 비슷한 헬륨 함량을 보이는 환경에서는 Building Block 내부 이외에는 헬륨이 충분히 증가된 가스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기원을 가지는 sdB 항성의 개수를 예측함으로써 우리 은하의 초기 Building Block으로 부터 얼마나 많은 수의 항성이 헤일로에 뿌려졌는지 예측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 은하내 나이가 많은 항성들로 이루어진 헤일로와 Bulge 내에 이러한 기원을 가지는 sdB 항성의 개수를 예측한 결과, 초기 Building Block으로 부터 유입된 sdB 항성이 최소 8만 여개 이상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개수는 우리 은하 구상 성단 중 은하 Building Block의 잔재로 생각되는 성단에 존재하는 헬륨이 증가된 수평계열성의 총 합의 10배 이상의 규모에 해당한다. 이는 이들 성단이 은하 생성 초기에는 현재의 질량 규모보다 최소 10배 이상 무거웠을 것이라는 가정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 PDF

대.소 마젤란은하의 측광탐사관측

  • Seong, Hwan-Gyeo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19.2-119.2
    • /
    • 2011
  • 대 소 마젤란은하는 항성진화 및 은하진화를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실험실이다. 두 은하는 우리은하에 매우 가깝고, 각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들 두 은하에 대한 측광학적 연구는 매우 지엽적이고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다. 시상이 매우 좋은 KMTNet의 1호기 (칠레)를 사용하여 대마젤란은하 ($10^{\circ}{\times}10^{\circ}$)와 소마젤란은하 ($5^{\circ}{\times}5^{\circ}$) 영역에 대한 UBVI 및 협대역 $H{\alpha}$, [OIII] $5007{\AA}$ 측광 탐사관측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제안한다. 1. $V{\approx}23$ 등급까지 대 소 마젤란은하 천체들의 측광 자료의 제공 2. 거리를 지시할 수 있는 천체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해 3차원 구조 연구 3. 협대역 $H{\alpha}$ 측광을 통해 Herbig Ae/Be 천체들의 분포와 별 탄생 연구 4. 협대역 $H{\alpha}$ 및 O[III] 측광을 통해 행성상성운의 분포와 광도함수 연구 5. 색-등급도 연구를 통해 위치에 따른 별 탄생의 역사 연구 6. 어두운 별들의 공간적 분포를 통해 LMC-SMC, LMC-MWG, SMC-MWG의 상호작용 연구.

  • PDF

Sloan Digital Sky Survey: Environmental Effect on Galaxies

  • Choi, Yun-Young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1
    • /
    • pp.35.1-35.1
    • /
    • 2014
  •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는 2000년 관측자료를 수집한 이후로 현재까지 하늘의 35%에 포함된 9억개 가량의 천체들의 측광관측과 그 중 240만여개의 분광관측을 수행 하였다. 이로서 우리로부터 수백 Mpc이나 떨어진 은하들의 분포까지도 정확히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고 180만여개에 이르는 은하들의 다양한 물리량들과 거리에 관한 막대한 정보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 은하들의 성질들과 주변 환경간의 다양한 관계를 매우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되었고 이 노력을 통하여 은하의 형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큰 진보와 발전을 가져왔다. 본 강연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본연구자가 연구한 그간의 결과들을 소개하고자한다.

  • PDF

The 1st Extragalactic Workshop for Korean Young Astronomers "We Love Galaxies"

  • Lee, Gwang-Ho;Kim, Suk;Bae, Hyun-Jin;Kang, Yijung;Kim, Minjin;Kim, Eunbin;Lee, Youngdae;Lee, Yunhee;Chung, Chul;Kim, Minbae;Bang, Taeyang;Sohn, Jubee;Lee, Jaeh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2
    • /
    • pp.121.1-121.1
    • /
    • 2014
  • 2014년 7월 23일부터 25일까지 전라북도 무주에서 제 1회 대학원생 외부은하 워크샵 "We Love Galaxies"를 개최하였습니다. 초청연사 박사 연구원 2명을 포함, 8개 대학 및 기관에서 총 27명이 참석한 이번 워크샵은 외부은하를 연구하는 대학원생들이 서로의 연구를 이해하고, 현대 외부은하 천문학의 문제들을 공유하며, 자유로운 토의를 통해 더 큰 우주를 그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총 9개의 세션 27개의 구두발표를 통해 은하의 다파장 특성, 형태 분류 및 내부 구조, 주변 환경과 은하 특성과의 관계, 은하 병합 및 진화, 활동성 은하핵 등의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었습니다. 본 포스터를 통해 "We Love Galaxies"의 결과 및 성과, 이후 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 PDF

Star Formation Rate and AGN in Barred Galaxies (막대은하의 별탄생율과 활동성 은하핵)

  • Bang, Jun;Ann, Hong-Ba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1
    • /
    • pp.69-80
    • /
    • 2009
  • We investigate the dependence of star formation rate and Active Galaxy Nuclei (AGN) frequency on the bar properties, especially the bar strength, using SDSS DR6. To better represent the bar strength, we divided the bars into 6 classes according to their length and axial ratios. There seems to be a fairly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star formation rate derived from $H{\alpha}$ emission lines and the bar strength, whereas there is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the AGN activity and the bar strength. We interpret that the former correlation is due to the dependence of bar-driven gas inflow on the strength of bar. The lack of correlation between AGN and bar properties suggests that the accretion of gas onto a supermassive black hole (SMBH) is regulated by the interplay between the bar and SMBH. The frequency of AGN seems to be dependent on the background density but the star formation rate does not. It suggests that star formation is a localized phenomenon that is mostly determined by the gas density in a galaxy, while AGN activity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host property such as mass and luminosity that are thought to be dependent on the environment through the density-luminosity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