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은퇴 준비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18초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목회자의 은퇴준비 행동분석 (Retirement Preparing Behavior Analysis of Pastors with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영춘;김진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01-210
    • /
    • 2013
  • 본 연구는 목회자를 대상으로 은퇴준비 행동과 관련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계획된 행동이론에 기초한 은퇴준비 태도요인, 은퇴준비 주관적 규범요인, 은퇴준비 지각된 행동통제요인, 은퇴준비 의도요인, 은퇴준비 행동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목회자 214명이었고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은퇴준비 주관적 규범과 은퇴준비 지각된 행동통제는 은퇴준비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은퇴준비 지각된 행동통제와 은퇴준비 의도는 은퇴준비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은퇴준비 의도는 은퇴준비 지각된 행동통제와 은퇴준비 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목회자들의 은퇴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의 조절효과 (Control Effect of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on Retirement and Senior Life Perception,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

  • 김남원;장선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22-531
    • /
    • 2016
  • 평균수명 연장과 2010년부터 베이비부머들이 은퇴하고 노인인구로 편입되면서 은퇴 후 삶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불안감을 제거하기 위한 선행연구들은 은퇴인식과 경제적 은퇴준비가 은퇴 후 삶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에 따라 은퇴준비 관련 변인들이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이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전국 만 20세부터 69세 이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과 절차를 안내하는 서한과 함께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거하거나 연구자가 직접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83건을 제외한 설문지 1,41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은퇴준비를 잘할수록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이 긍정적이고, 은퇴준비 행동도 적극적으로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은퇴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보편적이고 실제적인 은퇴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행동 및 은퇴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the Perception of Retirement and Senior Life,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

  • 김남원;장선철;임은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6-77
    • /
    • 2016
  •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은퇴관련 변인의 차이와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 행동에 따라 은퇴 이후 삶을 어떻게 예측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 행동 및 은퇴만족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전국 만 20세부터 69세 이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과 절차를 안내하는 서한과 함께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거하거나 연구자가 직접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83건을 제외한 설문지 1,41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월 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자가에 거주할수록,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이 긍정적이거나, 은퇴준비 행동이 적극적이었으며, 경제적 은퇴준비 수준이 높고, 은퇴 이후 삶이 만족스러울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자녀수가 적을수록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만족도가 긍정적이었고, 자녀수가 많을수록 은퇴준비 행동이 적극적이며, 경제적 은퇴준비 수준이 높았다. 또한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은퇴준비 행동이 적극적이었고, 은퇴 이후 삶이 만족스러울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은퇴관련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고,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과 은퇴준비 행동 및 은퇴만족도의 인과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은퇴준비필요도와 은퇴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은퇴교육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Degree of Requirement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n Quality of Lif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Retirement Education)

  • 박해리;민현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4호
    • /
    • pp.647-655
    • /
    • 2017
  • 본 연구는 은퇴교육필요도와 은퇴교육준비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은퇴준비의 매개효과와 조절변수인 은퇴교육참여도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조사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유의표집하였으며,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충청남도 9시 군 21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남자 58.5% 여자가 41.5%로 남자가 많았으며, 거주지역은 시지역이 76.9%, 군지역이 23.1%로 시 거주자가 많았다 세부연구문제는 첫째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삶의 질의 차이, 둘째로 은퇴준비필요도, 은퇴준비, 은퇴교육, 삶의 질의 상관관계, 셋째로 은퇴교육은 은퇴준비와 삶의 질 간의 간접효과를 조절을 보았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검증결과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시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 군 지역에 사는 사람보다, 대학원 졸업이상이 대학이하 집단보다 높았다. 직업에 따라서는 공무원, 회사원이 자영업보다 높았으며, 경제수준과 건강수준에 만족하는 집단이 삶의 질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결과 은퇴준비와 삶의 질, 은퇴준비 필요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과 은퇴교육, 은퇴교육 필요도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은퇴교육과 은퇴준비필요도에 따라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은퇴교육참여는 은퇴교육 필요도, 은퇴준비도를 거쳐서 삶의 질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하였다. 즉, 은퇴교육 필요도는 은퇴준비에 영향을 주고 은퇴교육 간접효과에 의해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은퇴준비에 은퇴교육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은퇴교육의 필요성에도 삶의 질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의 은퇴준비,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retirees and prospective retir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Relationship to successful aging)

  • 이상주;김정훈;제갈선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67-274
    • /
    • 2020
  • 본 연구는 은퇴자와 예비은퇴자를 대상으로 은퇴준비, 긍정심리자본 및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은퇴자와 예비은퇴자 예비은퇴자들의 성공적 노화를 증진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증가시켜 바람직한 노후시간을 가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조적 관계분석으로 전국에서 은퇴를 준비하거나 은퇴한 은퇴자와 예비은퇴자 5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0.0과 AMOS 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관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의 은퇴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부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은퇴준비도는 긍정심리자본의 탄력성, 자기효능감은 매개로 성공적 노화의 자아수용, 자율적 삶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의 긍정적인 심리요인은 은퇴준비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퇴자와 예비은퇴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은퇴준비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긍정심리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etirement Attitudes of Journalists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Retirement Preparation -Focused on Gwangju, Jeonnam Area-)

  • 이계상;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24-734
    • /
    • 2016
  • 본 연구는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언론인의 은퇴 태도를 강화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언론인 복지 정책과 실천의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언론사에 근무하는 언론인으로 총 23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언론인의 은퇴 태도와 노후준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객관적 은퇴자금준비도와 주관적 은퇴자금준비도 비교 (Comparing Objective and Subjective Retirement Wealth Adequacies)

  • 정지영;양세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1호
    • /
    • pp.113-127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imate objective retirement wealth adequacy and subjective retirement wealth, and to compare two of them. Also the factors relating to those wealth readiness were investigated. The data used was 422 pre-retiree who were married and under 65 years old and SPSS 20 was used for the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objective reirement wealth readiness was 37.6% and subjective retirement wealth adequacy was 40.9%. Almost half of the sample (44.8%) were indicated to have no objective retirement wealth, but only 5.9% was answered to have no retirement wealth.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retirement wealth adequacies tended to increase with older age, higher income and lower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retirement wealth adequacies was smaller with getting older. According to multi-variable analyses, two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on both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retirement wealth adequacies, which were income and retirement asset.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not able to estimate their own retirement wealth adequacy obj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retirement wealth adequacies was 0.344. Among the respondents, 74.4% answered bigger number on subjective retirement wealth than their objective retirement wealth.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죽음준비 인식의 연구 (Using Photovoic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eath Readiness in Babyboomer Retirees)

  • 정주영;이미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71-177
    • /
    • 2022
  • 한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는 대량의 인구가 중년층에서 벗어나 노년층으로 들어서게 되면서 고령화 사회의 주요인이 되었다. 또한 30년 이상 구조화된 직장에서 바쁘게 일을 하다 은퇴 후 비구조화 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우울감을 가지며 자살의 위험 등 사회적 문제로까지 이어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해결 및 예방적 차원의 정책적 검토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준비된 삶을 살고자 하는 은퇴자들의 죽음준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심층 탐구하였고, 은퇴자들의 노년기 죽음준비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는 베이비부머 은퇴자 7명이며, 자료는 2개월 동안 수집하였고, 직접 촬영한 사진과 설명과 심층면담 내용을 주제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도출된 인식은 순리로 받아들이는 죽음을 맞이하며 준비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었다. 본 연구의 논의에서 베이비부머 은퇴자들을 도울 수 있는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며, 프로그램을 담당할 지역 기관의 협력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죽음준비의 인식을 통한 은퇴 이후 노년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적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사회.심리적 패러다임에 의한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mong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Based on Socio-Psycho Paradigm)

  • 최혜지;이영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415-435
    • /
    • 2005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계층적 성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65세 이상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을 결정하는 개념적 구조를 고찰하였다. '충주지역 고령인구의 보건 복지실태'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25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은퇴준비를 위한 재정적 지식'과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 사이의 인과관계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된 구조방정식모형의 모형합치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격의 표면적 특성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계층적 성격이론과 지식은 행동의도가 실질적 행동으로 표면화되는데 결정적 변인이라는 계획된 행동이론의 논지를 실증하였다. 끝으로,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를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 본 연구가 제안하는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