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융해율

Search Result 28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Experimental Study on Close-Contact Melting in Horizontal Capsules with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s (원형 및 사각단면을 가지는 수평캡슐에서의 접촉용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im, Si-Pom;Lee, Chi-Woo
    • Solar Energy
    • /
    • v.13 no.1
    • /
    • pp.39-48
    • /
    • 1993
  • This empirical paper addresses the phenomena of the contact melting of PCM in horizontal capsules of circular and rectangular cross sections with various aspect ratio. The melting-rate tends to increase as the Stefan number increases. The case of rectangular tube displays larger melting-rate than that of circular tube, and the melting-rate increases as the aspect ratio decreasws for rectangular tubes. In case of circular tube, the effect of natural convection on the melting-rate is 6.1%, 8.6% and 11.2% according to Stefan number 0.0772, 0.1287 and 0.1802 respectively.

  • PDF

A Study on Freezing and Trawing Resistance of Concrete with the Ratio of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Replacement (고로슬로그 미분말의 치환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에 관한 연구)

  • 최세규;김생빈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5
    • /
    • pp.149-155
    • /
    • 1997
  •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ulcorner 수화속도가 느려 어린 재령시 동해의 영향을받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과 물-결합재비를 변화시켜 제조한 콘크리트에 대해 동결융해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일한 치환율, 물-결합재비의 콘크리트에 AE제를 첨가시켜 동결융해 저항성의 개선효과를 알아보았다. 시험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동결융해 저항성은 작게 나왔다. 또한 non-AE 콘크리트의 경우 물-결합재비가 51%, 45%일 때 내구성지수는 각각 2.4%, 40.0%이하로 매우 나쁘게 나타났으나, AE콘크리트의 경우 물 -결합재비가 45%와 51%인 콘크리트의 내구성지수는 각각 90.2% 80.9%이상으로 동결융해 저항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 미성숙 소 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김창근;류재원;이을순;홍종훈;정영채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8-78
    • /
    • 2001
  • 본 연구는 초자화동결법(vitrification)을 이용하여 미성숙 소 난포란의 동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하였으며 난포의 크기와 동결보호제의 농도 및 난황의 첨가가 동결-융해 후 미성숙 소 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성숙 난자는 3mm 미만과 3mm 이상으로 구분된 난포로부터 채란하였으며 동결처리 전 동결보호제로서 30%EG과 40%EG, 그리고 각각에 10%의 egg yolk을 첨가하여 동결-융해 후 미성숙 난자의 생존성과 체외성숙율 및 체외수정율을 비교하였다. 생존율과 성숙율에 있어서 3m 미만과 3mm 이상의 2 처리구 모두 40%EG에 10%의 egg yolk을 첨가할 경우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3mm이하에서는 EG수준과 egg yolk 첨가 유무간에 생존율과 성숙율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결-융해 후 체외수정율은 3mm 미만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mm이상의 경우에서는 40%EG에 10%의 egg yolk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난포의 크기에 따른 동결-융해 후 생존율은 3mm미만의 난포란이 3mm이상 보다 높았으나 성숙율과 수정율에 있어서는 3mm이상이 3mm미만의 난포란에서 보다 다소 높았다. 생존율, 성숙율 및 수정율 모두 난포크기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Pregnancies Following Transfer on Mouse Embryos Preserved by Ultrarapid Freezing (초급속동결보존에 의한 생쥐란의 이식에 따른 수태율)

  • 오석두;장규태;민관식;강대진;윤창현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16 no.3
    • /
    • pp.193-198
    • /
    • 1992
  • 본 실험은 ICR계통 생쥐의 8세포배 및 상실배를 Vitrification(VS3) 동결보존액을 이용하여 초급속동결-융해를 실시하여 배반포배까지의 체외발생한 배반포배를 이식하였을 때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8세포배의 평형시간(3분 및 6분)에 따른 초급속 동결-융해후 배반포배까지의 체외발생율은 57.6% 및 59.5%여TEk. 2. 상실배의 평형시간(3분 및 6분)에 따른 초급속 동결-융해후 배반포배까지의 체외발생율은 64.4% 및 68.2%였다. 3. 8세포배와 상실배를 초급속 동결-융해를 실시하여 배반포배까지 체외발생한 배를 위임신되어진 수란쥐에 19개 및 20개를 이식하여 7필(36.8%)과 10필(50.0%)의 산자를 얻었다.

  • PDF

Studies on the Survival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sof Frozen-Thawed Bovine Immature Oocytes (소 동결 미성숙 난자의 생존율과 체외수정율에 관한 연구)

  • 김상근;유상식;김용섭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2 no.3
    • /
    • pp.207-211
    • /
    • 1998
  • 본 연구는 소 미성숙 난자의 동결에 있어서 미성숙 난자의 1, 2, 4, 8 시간 성숙배양한 다음 동결 융해 후 체외배양하였을 때 체외수정율과 생존율을 조사하고저 수행하였다. 미성숙 난자들 1∼8시간 성숙배양후 동결융해 및 체외수정시켰을 때 수정율은 12.8∼30.9%로서 단시간의 체외성숙 배양이 높게 나타났으며(23.8∼28.8%), 또한 체외배양시 생존율은 11.8∼29.9%를 나타냈다.

  • PDF

마우스 성숙난자의 유리화동결법에 따른 동결 융해후의 염색체와 방추사의 분석

  • 박성은;신태은;김승범;차수경;임정묵;정형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5-75
    • /
    • 2001
  • 유리화 동결법은 동결중 ice crystal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난자의 동결보존을 위한 유용한 동결방법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물과 인간 난자를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난자의 경우 동결 융해후 염색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소관인 방추사가 온도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염색체 이상성이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숙난자를 유리화동결법에 의해 동결 융해후 난자의 염색체와 방추사의 이상성이 증가되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fresh한 대조군과 동결음해 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 시킨후 5.5 M EG와 1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 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생존된 난자는 tubulin 항체를 이용한 immunostaining 방법으로 방추사의 이상성을 관찰하였고, 염색체는 난자를 고정 후 10% Giemza로 염색 후 염색체의 수적인 이상성을 관찰하였다. 염색체 분석결과 염색체 이상 빈도는 대조군의 경우 19.6%, 동결융해군은 32.8%로 관찰되었다. 또 방추사의 이상빈도는 대조군의 경우 20.2%, 동결 융해군은 32.3%로 관찰되어 동결 융해후의 난자에서 염색체와 방추사의 이상 빈도가 증가됨이 관찰되었다.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 PDF

Freezing-and-Thawing Resistance and Strain Characteristics of Recycled Concrete (재생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과 변형특성)

  • 김광우;이봉학;도영수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4 no.4
    • /
    • pp.115-122
    • /
    • 1992
  • 폐쇄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재생콘크리트의 강도특성을 천연골재를 사용한 일반콘크리트와 비교하였다. 동결융해 처리수의 압축강도와 3점휨 재하시험하의 변형율을 측정하였다. 재생콘크리트는 동결융해 처리 후 압축강도 보존율이 더 높았다. 재생콘크리트는 또한 높은 변형율과 처짐에 민감함을 보였으나 파괴와 관련된 다른 성질들은 일반콘크리트와 유사하거나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폐콘크리트를 구조용 콘크리트 제조에 재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실제 사용을 위하여는 콘크리트에 있어서 중요한 성질인 압축강도가 더 증진되어야 하며 최대 변형율도 보다 자세히 점검되어야 한다.

Studies on the Survival and In Vitro Fertilization Rates of Frozne-Thawed Porcine Embryos and Immature Oocytes (돼지 수정란 및 미성숙 난자의 동결융해 후의 생존율에 관한 연구)

  • 김상근;이명헌;남윤이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2 no.2
    • /
    • pp.187-194
    • /
    • 1998
  • In order to determine suitable conditions for rapid freezing of porcine embryos,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cryoprotectants, sucrose concentrations, equilibration time and thawing temperature in freezing medium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survival of frozen-thawed oocyte and embryo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suitable concentrations of cryoprotoctant in the freezing medium which consisted of TCM-199+20% FCS were 1.5M for glycerol, 2.0M for DMSO, 2.5M for ethylene glycol, and 2.0M for propanediol. The sucrose concentration of 0.25M in the medium was found to optimal because the survival rate was markedly higher at this concentration when compared to the others. The survival rate was relatively high when the frozen embryos were thawed at 30$^{\circ}C$ in the freezing medium containing 2.5M cryoprotectants. The equilibration periods of 2.0 and 5.0 minutes revealed the higher survival in the media containing 1.5 or 2.1M glycerol when compared to 10 and 15 minutes. 2. The fertilization rates of frozen-thawed follicular oocytes which matured in vitro for 1, 12, 24 and 48 hours were 6.7~26.7% depending on the maturation time, and the rates were relatively high for those matur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oocytes which matured in vitro for certain periods and fertilized were 10.0~30.0% depending on the maturation time.

  • PDF

In Vitro/In Vivo Development after Thawing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by Culture Condition and Embryo Transfer Method (초자화 동결된 생쥐 배반포기배의 융해 후 배양조건과 수정란 이식방법에 따른 체외/체내발달)

  • Kim, M.K.;Kim, E.Y.;Yi, B.K.;Yoon, S.H.;Park, S.P.;Chung, K.S.;Lim, J.H.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24 no.3
    • /
    • pp.347-353
    • /
    • 1997
  •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in vitro/in vivo survival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was influenced by culture conditions and ET method. Mouse blastocysts were obtain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and cultured for 4 days in M16 medium, and they were vitrified in EFS40 which contained 40% ethlyene glycol, 18% Ficoll and 0.5 mol sucrose in PBS. In experiment I, in vitro and in vivo survival rate of these embryos were evaluated in different culture condition after thawing. When thawed embryos were cultured in M16 medium as a control, m-CR1 medium contained 20 amino acids (2% BME amino acis and 1% MEM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and 4 mg/ml BSA and cumulus monolayer cell co-cultured condition in mCR1 medium (10% FBS), their in vitro survival at 24 hr after thawing was not affected by culture condition (75.6, 83.1, 82.4%). However, in vivo survival rates of implantation in m-CR1 medium (80.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16 medium (51.2%), co-culture (57.1%) condition,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live fetuses rates on day 15 gestation (39.0, 49.0, 38.1%). In experiment II, the in vivo development potential of embryos by ET methods was examined. When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the day 2, 3 pseudopregnant recipient without culture soon after thawing, no pregnant recipient was obtained on the day 2 pseudopregnancy, and 50% of pregnancy rates and 15.4% of live fetus rates were obtained on the day 3 pseudopregnant recipients.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ransferred group (day 3 pseudopregnant recipients) after culture for 16 hr post thawing (73.5, 57.1%) (p<0.05). In experiment III, to elevate usability of delayed embryos in vitro/in vivo survival of vitrified embryos (day 4 early, day 5 early and expanding blastocyst) were examined. in vivo survival rates (live fetus, total implantation) were higher in day 4 early blastocysts (33.3, 66.7%) than in day 5 expanding blastocysts (29.0, 38.7%), although the highest in vitro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in the day 5 expanding brastocysts (78.3%).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 vitro/in vivo survival rates of vitrified embryos could be improve by the culture condition and ET method and that the in vivo development rates of delayed embryos were decreased with longer culture duration in vitro. It means that more effective cryopreservation was obtained in day 4 early blastocysts than in day 5 expanding blastocysts.

  • PDF

Studies on In Vitro Developmental Rate of Activated Bovine Oocytes by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with Frozen-Thawed Epididymal Spermatozoa (정자미세주입술에 의하여 동결 융해 부고환 정자와 수정시킨 활성화처리 난자의 체외발생율에 관한 연구)

  • 김상근;이동수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7 no.1
    • /
    • pp.55-59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in vitro matured bovine oocytes after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ICSI) with frozen-thawed epididymal spermatozoa. The ovaries were obtained from slaughtered Korean native cows. Oocytes matured in vitro for 24 hrs were fertilized by ICSI with frozen-thawed epididymal spermatozoa. After ICSI, a group of oocytes was activated with 7% ethanol fur 5 min, and the other group was not activated. The oocytes were cultured in TCM-199 medium containing hormones and 10% FCS for 24~30 hrs in a incubator with 5% $CO_2$ in air at 38.5$^{\circ}C$. The percentage of oocytes reaching M II after 24 hrs and 30 hrs of incub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after culture with TCM-199 media(80.0% and 88.3%) than M I(8.3% and 6.7%). The rate of cleavaged embryos to blastocyst obtained by ICSI treated activation oocytes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at of nonactivation oocytes(22/46, 47.8% vs 10/39, 25.6%). The rates of embryos development to blastocyst obtained by ICSI treated sperm of flesh, epididymal and frozen-thawed epididymal were 24/45(53.3%), 15/40(37.5%), 11/43(25.6%), respectively and these values of fresh sperm injection were higher than frozen-thawed epididymal sperm. We also concluded that embryos can be produced with ICSI of in vitro matured oocytes by ICSI using frozen-thawed epididymal se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