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융복합 기술

검색결과 2,405건 처리시간 0.027초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연구 동향 탐색 (An Exploratory Research Trends Analysis i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using Topic Modeling)

  • 석혜은;김수영;이연수;조현영;이수경;김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95-10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9,858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지난 20년간 연구동향을 탐색함으로써 콘텐츠 연구개발에서의 주요 토픽을 도출하고 학술적 발전방향을 제공하는데 있다. 추출된 토픽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양적 평가기법 뿐만 아니라 정성적 기법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연구자들이 합의한 수준의 말뭉치가 생성될 때까지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분석 절차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8개의 핵심 토픽이 추출되었다. 이는 한국콘텐츠학회가 특정 학문 분야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 연구 논문을 발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2012년 이전 상반기에는 공학기술 분야 토픽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2012년 이후 하반기에는 사회과학 분야 토픽 출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토픽은 상반기 대비 하반기에 약 4배수 증가세가 나타났다. 토픽별 추세분석을 통해 추세선의 변곡점이 나타난 특정 시점에 주목하여 해당 토픽의 연구동향에 영향을 미친 외적 변인을 탐색하였고 토픽과 외적 변인 간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국내 콘텐츠 관련 연구 개발 및 산업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어린이집 원장의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 및 자기효능감 (Educational Needs and Self-efficacy for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of Day Care Center Administrators)

  • 유선영;주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909-918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감염병 예방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는 G, J, S시 소재 어린이집 원장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는 손 씻기 방법 및 시기, 세척과 소독 방법이 높았고, 감염병 예방 자기효능감은 영유아 손 씻기 교육과 시기가 가장 높았다.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와 자기효능감(r=.528, p<.001)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병 예방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감염병 예방 교육요구도(β=.53, p<.001), 감염병 예방 교육의 경험(β=.25, p<.001)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에 대한 감염병 예방에 대한 교육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감염병 예방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다.

COVID-19시대에 건강한 여행을 위한 Digital Health Passport에 대한 접근법 (Approaches to Digital Health Passport for Healthy Travel in the the Era of COVID-19)

  • 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가 몰고 온 갑작스러운 환경변화 중 여행산업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될 디지털 건강/면역 여권(DHP, Digital Health Passport)에 대한 접근법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 DHP에 관한 다양한 실증적 문헌 고찰을 통해 DHP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본 프레임워크는 크게 여행 의도, 건강정보 제공 의도, 신기술 채택·수용 등으로 구성된다. 첫째, 여행 의도의 관점에서, DHP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여행자의 여행 의도를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 여행자로부터 받은 정보를 활용하여 여행자의 여행 즐거움을 배증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여행자에게 받은 데이터가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관리된다는 것을 확신시켜줄 필요가 있다. 둘째, 건강 관련 정보를 의무적 정보 제공의 관점에서만 보지 말고 여행자가 자신의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신기술의 관점에서 DHP에 대한 여행자들의 활용·수용 의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트래블 버블(Travel Bubble)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핵심기술인 DHP에 대한 여행자들의 반응을 예측하고 대응할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사례기반 건강사정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문제해결과정, 수업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se-Based Health Assessment Practical Education on Class Particip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 조영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99-509
    • /
    • 2022
  • 본 연구는 건강사정 교과목의 사례기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수업 참여도, 문제해결과정,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소재한 종합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69명이었으며, 연구설계는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2월에서 2021년 7월까지 프로그램 적용 전·후 2차례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χ2 test와 independen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례기반 실습교육 전·후 수업참여도(F=15.003,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F=13.288, p=.001), 학업성취도(F=19.755, p<.001)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문제해결과정의 의사결정(F=6.948, p=.010), 수행(F=6.232, p=.015), 평가 및 반영(F=5.364, p=.024)에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문제해결과정, 수업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교과목의 학습내용에 따라 사례기반학습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토픽모델링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스마트팜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the Smart Farm Field us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 오주연;이준명;홍의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03-2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픽모델링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의 스마트팜 분야 연구 동향과 지식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CI(Korea Citation Index)의 스마트팜 관련 국내 학술지 104편을 대상으로 핵심어와 핵심어들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고, LDA 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주제와 관련된 토픽들을 분석하였다. 언어네트워크분석 결과, 국내 스마트팜 관련 연구 분야의 주요핵심어는 '환경', '시스템', '사용', '기술', '재배' 등이 나타났으며,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세중심성 결과도 제시하였다. 토픽모델링분석결과, Topic 1은 '스마트팜 도입 분석', Topic 2는 '친환경 스마트팜과 스마트팜의 경제적 효율성', Topic 3은 '스마트팜 플랫폼 설계', Topic 4는 '스마트팜 생산 최적화', Topic 5는 '스마트팜 생태계', Topic 6은 '스마트팜 시스템 구현', Topic 7은 '스마트팜 관련 정부 정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스마트팜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국내의 스마트팜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정책개발과 연구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관련 지식 및 예방적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elated Knowledge & Preventive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5-76
    • /
    • 2022
  •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지식 및 예방적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울시 소재 일 간호대학 재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2022년 4월 15일부터 2022년 5월 10일까지 실시하였고, SPSS/WIN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예방적 건강행위는 코로나19 감염관리 교육의 필요성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불안정도는 학년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예방적 건강행위와 지식,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은 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불안은 지각된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대책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Dual-income Parents'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정기정;성미현;송지현;하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87-497
    • /
    • 2022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맞벌이 부모의 정서적 관리에 대한 실천적 지원 근거 마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이하의 자녀를 둔 20세 이상의 맞벌이 부모 214명이며, 2021년 4월에 온라인으로 수집된 자료를 SPSS/WIN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가정 갈등,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단계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1단계와 2단계에서 일-가정 갈등은 매개 변인인 사회적 지지(β=-.188, p<.01), 종속 변인인 우울(β=.539, p<.001)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는 일-가정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Sobel 검증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2.468, p=.013). 본 연구 결과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이와 관련된 우울에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맞벌이 부모의 정서적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 수립 및 사회적 지원 마련의 당위성을 제공한다.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활성탄소의 세슘 이온 흡착 (Cesium Ions Adsorption of Activated Carbon Treated by Oxygen Plasma)

  • 하성민;곽철환;임채훈;김석진;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33권1호
    • /
    • pp.38-43
    • /
    • 2022
  •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활성탄소의 산소 관능기 도입이 세슘 이온 흡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산소 플라즈마 처리 시 주파수, 전력 및 산소 가스 유량은 각각 100 kHz, 80 W 및 60 sccm으로 고정하였으며, 반응시간을 변수로 수행하였다. 본 실험조건에서는 산소 가스와의 반응시간이 10분일 때 C-O-C 및 O=C-O 결합 내 산소 기능기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슘 이온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반응 시간이 15분일 때 산소 관능기 함량이 감소하게 되어 세슘 이온 흡착량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한편, 표면 처리된 활성탄소의 산소 함량과는 달리 그 비표면적 및 기공 특성은 산소 플라즈마 반응 시간에 따라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활성탄소는 미처리 활성탄소에 비하여 세슘 이온 제거율이 최대 97.3%까지 향상되었다. 이는 산소 플라즈마 처리로 활성탄소 표면에 도입된 C-O-C 및 O=C-O 결합 내 산소 기능기의 함량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중일 자유무역지대 설립의 경제적 영향과 통신 산업에 대한 영향 -GTAP 모형 분석을 바탕으로- (The Economic Impac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a-Japan-South Korea Free Trade Area and Impact on the Communication Industry -Base on GTAP Model Analysis-)

  • 장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5-92
    • /
    • 2022
  • 최근 몇 년간 미국의 일련의 보호무역주의 조치와 브렉시트(Brexit) 등 반세계화 행태로 세계의 자유무역체제가 큰 타격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세계 최대 무역 협정인 RCEP가 2021년 11월 15일에 공식 서명되었다. RCEP는 한중일 자유무역지대 구축을 위한 좋은 작업 기반을 제공했다. 첫째, 본고는 한중일 무역협력 현황과 3국 통신 산업의 현황을 기술한다. 둘째, 본 논문은 제8판 GTAP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유무역지역 설정 이후 관세가 각각 0%, 5%, 10%로 인하될 때 중국, 일본, 한국의 경제 전반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였다. 그런 다음 시뮬레이션된 데이터 변경 사항을 사용하고 2019년 데이터를 벤치마크로 사용하여 3개 세율에 따른 3개국 통신 산업의 RCA 지수의 변경 사항을 계산했다. 결국 한중일 자유무역지대가 수립되면 3국의 경제는 다방면에서 서로 다른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일본의 통신 산업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한국은 높은 세율로 크게 성장할 것이고 중국은 낮은 세율로 크게 성장할 것이다.

실규모 UASB반응조 내부 계층화된 혐기성 그래뉼의 물리화학적 & 생물학적 특성 조사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stratified anaerobic granules in a full-scale UASB reactor)

  • 조홍목;김민상;신승구;조시경
    • 유기물자원화
    • /
    • 제29권4호
    • /
    • pp.33-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 UASB 소화조에서 높이에 따른 그래뉼 슬러지의 물리화학·생물학적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혐기성 그래뉼은 UASB 반응조에서 지상으로부터 1 m 높이별(1 m, 2 m, 3 m)로 채취하였다. 형태학적 분석결과, 그래뉼의 크기는 소화조의 상단부로 갈수록 커졌고 원형율(roundness)은 하단부에서 더 둥근 형태를 나타내었다. ANOVA 검정 결과, 그래뉼의 평균 크기와 원형율은 95%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두 변수 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40, p<0.05).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틸산을 기질로 사용한 SMA test 결과에서는 2 m 높이에서 채취한 그래뉼의 비메탄활성도가 가장 높았다. EPS의 경우 높이에 따라 함량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2 m에서 가장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높이별 그래뉼 슬러지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화조의 유지관리 및 성능 개선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