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윤활 특성

Search Result 80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II. 線接觸 摩擦機構를 이용한 윤활특성에 관한 연구(1)

  • 池昌憲;李種純;李奉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6.06a
    • /
    • pp.21-25
    • /
    • 1986
  • 두 物體의 接蝕部에 있어서 윤활상의 向題는 아직 原因을 糾明하지 못한 것이 많다. 특히 선접식 마찰기구. 즉 壓延潤滑 등에서는 안정된 유막형성이 製品의 품질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또한 모든 마찰기구에서도 유막형성 향제는 윤활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관한 연구로서 CHENG 등은 윤활막의 連續的인 존재를 가정한 解析을 하였고, KIMURA 등은 압연윤활에서의 윤활막의 파단은 강판과 Roller의 heat streak의 원인이 된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Journal Bearing의 혼합윤활특성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압연윤활을 Model 화한 Roller Disk형 시험기를 제작하여 가중과 r.p.m 변화에 따른 마찰력과 온도변화와 그에 따른 유막의 상태에 의한 윤활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고체윤활용 $MoS$_{2}$ Bonded Film의 마찰마모 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 공호성;윤의성;한홍구;권오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06b
    • /
    • pp.38-46
    • /
    • 1995
  • Bonded film을 형성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고체윤활제들로는 이황화-몰리브데늄, 이황화-텅스텐(WS$_{2}$), 보론-나이트라이드(BN), 흑연(Graphit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고체윤활제를 표면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지류는 페놀 및 에폭시계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아. Bonded film의 마찰마모특성은 이와 간이 피막 내에 첨가된 고체윤활제 및 수지의 종류, 고체윤활 입자들의 크기 및 순도,그리고 이들 상호간의 배합비율 등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며, 아울러 피막 내에 소량으로 첨가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보조첨가제들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체윤활제 성분들의 조성과 더불어, 재료표면의 물리화학적인 전처리 조건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윤활피막내 고체윤활제들의 배합, 고체윤활피막의 표면전처리 방법들을 변화하고 이들에 따른 상기 고체윤활피막들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 PDF

Study on Fuel Lubrication Performance of a High Speed Rolling Element Bearing (소형 고속 구름베어링의 연료윤활 특성 연구)

  • Kim, Ki-Tae;Kim, Su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424-426
    • /
    • 2008
  • A parametric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fuel lubrication performance of high speed small rolling element bearings. Both MIL-PRF-7808 turbine oil and JP-8 aircraft fuel were used as the lubricant to compare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17 mm inner diameter deep groove ball bearing and 20 mm cylindrical roller bearing were used. A high speed bearing test rig was developed and the testing was done with varying applied load, cooling air temperature, lubricant flow rate, and speed. Fuel caused more cage wear than oil for ball bearing with increasing axial load and rotational speed. The bearing temperature using fuel was lower than that using oil, and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high cooling capacity of fuel. According to various tests, the fuel lubrication is applicable for the lubrication on the main shaft bearings of expendable small gas turbines.

  • PDF

Study on Ti-Cu-N thin film for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n by copper doping (TiN 기지위에 Cu doping에 의한 Ti-Cu-N 박막의 기계적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이혁민;김상식;박헌규;이호영;한전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6a
    • /
    • pp.13-13
    • /
    • 2001
  • 현재 초고속 가공 공구의 국내 시장은 150억원이며 향후 3년 내에 1500억원으로 급성 장활 전망이다. 무윤활 초고속 가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윤활특성이 우수한 초고경도 코팅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기계설비의 수명향상과 폐유문제 해결을 기대할 수 있다. 기존의 고체윤활 코팅은 초고경도 코팅의 상부에 $MoS_2$, Graphite 등 윤활성 박막을 합성하였으나, 이들은 Hexagonal 구조의 연질 박막이며 수분이 존재하는 대기중에서는 윤활 및 내마모 특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환경친화 대체소재 개발의 일원으로 TiN, ZrN 박막 등이 이미 개발되었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널리 응용되고 있으나 아직 경도(약 20GPa 내외) 및 윤활성의 한계 (마찰계수 $\mu=O.6$)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TiN박막 위의 Cu의 첨가는 TiN의 구조와 성질을 크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iN 기지 위에 Cu를 도핑함으로써 경도의 상승을 통환 내구력의 향상과 마찰계수의 감소를 통한 윤활성의 향상을 보고자하였다. TiN합성의 안정화를 위하여 magnetron sputtering과 arc ion pIatingd을 병용한 hybrid 공정을 이용하였다. Cu첨가에 따른 결정 성장 거동의 변화를 보기 위해 XRD 분석을 실행하였고, EDS 분석을 통해 Cu target 전류밀도에 의한 기지내의 Cu의 함량변화를 고찰하였으며, 경도 및 윤활특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경도 시험과 마모 시험(ball-on disc type test)를 하였다.

  • PDF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soft magnetic composite by improving compaction condition (분말압분 조건 개선에 따른 모터 코어용 연자성체의 특성 향상)

  • Cha, Hyun-Rok;Lee, Kyu-Seok;Yun, Cheol-Ho;Jung, Ta-Euk;Kim, Hyung-Mo;Kim, J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d
    • /
    • pp.40-42
    • /
    • 2006
  • 연자성 복합재료는 기존의 철판 대비 기계적, 자기적 특성 떨어지는 것이 사실 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서 저점도 윤활제 적용을 통한 빼기 압력 저감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자성체의 고강도화, 우수한 자기적 특성을 얻기 위해서 높은 압력의 성형이 필수적인데 높은 압력으로 성형시 빼기 압력이 높아져서 금형이 파손되는 등 문제점으로 인해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저 점도액체 윤활제, 고점도 액체 윤활제, 고체 윤활제 3가지의 윤활제 특성을 검토 하였다. 또한 저점도 액체 윤활제 적용을 통해서 기존 대비 강도 10%, 철손 10%, 빼기 압력 30%를 저감 하였다.

  • PDF

엔진 오일의 공기 혼입과 윤활 특성

  • 최재권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1 no.4
    • /
    • pp.1-12
    • /
    • 1995
  • 여러 가지 필수적인 윤활유 성상과 함께 요즘 개발된 엔진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가 윤활유 내의 공기 혼입(aeration) 문제이다. 만일 윤활유 내에 공기가 일정 한도 이상 혼입되면 윤활유가 수행하는 일반 기능 중 하중을 분산시키는 압력 분산 작용과 윤활 작용 및 마찰열을 식혀 주는 냉각 작용이 제대로 되지 않아 엔진 수명과 내구성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 특히 현재 밸브 소음 저감 및 정비성 향상을 위해 대부분의 엔진에서 채용하고 있는 hydraulic valve lash adjuster(HLA)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심각하다. HLA는 그 작동 특성이 엔진 오일의 비 압축성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HLA 내부의 고압실에 공기가 오일에 섞여 들어간다변 밸브 시스템 강성이 떨어지게 되어 오히려 HLA 사용 목적에 반해 밸크 이상 거동에 의한 소음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심하면 밸브가 파단되는 심각한 현상이 초래되기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aeration 현상은 경우에 따라 매우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기도 하며 엔진이 고속 고출력화 하면서 그 특성은 더욱 관심사가 되어 왔다. 따라서 엔진 각 부분의 올바른 기능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aeration의 특징 발생 원인 및 대책을 살펴보고 특히 oil aeration이 HLA와 엔진 베어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고찰해 봄으로써 그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