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육역화 방지 구조물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Numerical Study of Preventive Hydraulic Structure for Landforming (하도 육역화 방지를 위한 수공구조물에 대한 연구)

  • Yeo, Chang-Geon;Im, Jang-Hyuk;Lee, Seung-Oh;So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18-722
    • /
    • 2009
  • 하도 상황이 수역(水域)에서 식생역(植生域)으로 변화하여 최종적으로 육역화(陸域化)단계로의 천이가 진행되는 현상을 하도 육역화라고 한다. 하도 육역화는 하천의 생태환경적 측면에서 많은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으며, 단일 단면 하도의 복단면 고착화로 하천 통수 단면이 감소하여 하도의 홍수 관리 기능에 심각한 위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하도 육역화 방지를 위한 수공구조물로서 말뚝을 설치하고 그 효과를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수치 모의는 구조물 주변의 복잡한 흐름 모의를 위하여 복잡한 지형지물이 있는 경우에 많이 활용되는 LES(Large Eddy Simulation) 난류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세굴 및 퇴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사 세굴(Sediment Scour) 모델을 적용하였다. 하도 육역화 방지 수공구조물의 효과 검토를 위하여 모형 수로의 제방 근처에 말뚝을 설치하고 말뚝직경, 설치 간격 및 배열 등을 변화시켜 구조물 주변의 동수역학적 거동, 흐름분리 효과 및 세굴영향을 수치모의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말뚝에 의한 흐름 분리와 국부 세굴에 의하여 하상 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설치간격이 수변으로부터 말뚝 두께의 2배 그리고 흐름방향으로 말뚝 두께의 2배 이내의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다양한 수리모형 실험을 통한 검증과 다양한 조건에 대한 수치 모의를 통하여 하도 육역화 방지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sponse of Vegetation to Shoreline Alternation in a Large Reservoir (대형 저수지에서 호안 정비에 대한 식생의 반응)

  • Chu, Yun Soo;Cho, Hyunsuk;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2
    • /
    • pp.143-151
    • /
    • 2016
  • Shoreline armoring is a globally used engineering strategy to prevent shoreline erosion along stream, lake and reservoir coastlines. Armoring alters the land-water interface and has the potential to affect shoreline vegetation by changing nearshore geomorphology, hydrology, sediment composition and water quality. We quantified the effects of the artificial disturbances and alternation of the land-water interface o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shoreline vegetation in a large reservoir, Uiam Reservoir, Korea. More than 60% of shorelines were disturbed by armoring with retaining wall of concrete block, riprap and gabion in the Uiam Reservoir. The results of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vegetation structures of the shoreline modified by armoring changed from hydrophyte-dominated to hygrophyte-dominated ecosystems. The shoreline armoring caused the disruption of gradual continuity in the water-land interface and the biological invasion by alien plants. The changes in distribution area of shoreline vegetation showed that the area of hydrophytic vegetation decreased and that of hygrophytic vegetation increased from 2010 to 2013. In conclusion, the human disturbance such as armoring, road construction, recreation etc. could lead to terrestrialization, the loss of transverse continuity and biological invasion in the shoreline vegetation of the Reservoir Uiam. Our findings suggest that redesigning or removing shoreline armoring structures may benefit nearshore hydrophytic veget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novel shoreline eco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