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육아정보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Development of Integrated Infant Care Management App Prototype System in Mobile Environments (모바일 환경에서의 통합 육아정보관리 앱 프로토타입 시스템 구현)

  • Sok, Yun-Young;Kim, Seok-H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7 no.1
    • /
    • pp.31-36
    • /
    • 2016
  • Recently with the wide spread smart devices and the flexible forms of work such as working from home due to changes in work practices, people are getting various information easily. Many women with a baby get to be interested in foods, health, and growth of their baby and the new task of raising a baby comes with a new burden added to taking care of their family and can develop into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to be a great mother. So many mothers suffer from child-rearing stress. Also, as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in mobile environment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the need for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applications that give infant care assistance to new mothers was increased. This study analyzed preferences on infant care information apps and developed prototype apps for infant care information management that can provide integrated customized infant care information that is actually needed.

App. book for Information service of Infant care (육아 정보 제공을 위한 앱 북)

  • Ha, Yan;Seo, A Rum;Cha, Hyo Eun;Han, Da Hee;Lim, So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7-158
    • /
    • 2015
  • 본 논문은 사용자가 육아에 있어서 필요한 지식을 제공해주는 육아 정보 제공을 위한 전용 앱 북을 만들고자 한다. 앱 북은 개인의 공감, 신뢰를 실현하는 공간을 연결해주는 정보성을 제공하며, 편리함을 가지고 육아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좀 더 쉽게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앱북 시장과 앱북 사용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육아에 있어서 좀 더 신뢰 있는 정보제공을 통해 사람들이 올바른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애니메이션 UI 가 포함된 기술적인 요소를 적용한 앱북을 제작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Personalization Service App for Integrated Custom Childcare Coaching (통합적 맞춤 육아 코칭을 위한 개인화 서비스 앱 개발)

  • Kim, Seokhun;Sok, Yunyoung;Choi, Ju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01-203
    • /
    • 2016
  • 현재 스마트 기기가 상용화 된 우리 사회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 기기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육아에 대해 통합적 정보와 지식을 필요로 하는 초보 엄마들을 주 타겟층으로 정하고 분석하였으며 타겟층이 육아를 할 때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육아 정보들과 기능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적 맞춤 육아 코칭을 위한 개인화 서비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획, 설계, 디자인, 구현한 것에 대해 다루었다.

  • PDF

Proposal of Smart baby bed using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스마트 아기침대 시스템 제안)

  • Yoon, Seok-Jun;Koo, Dong-Ju;Kim, Min-Ji;Baek, Kyu-Yeol;Ahn, Kyo-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45-248
    • /
    • 2019
  • 2018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98명으로 OECD 회원국 중 출산율 1명이 되지 않는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경제적 문제,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한 육아스트레스를 들 수 있다. 때문에 육아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아이를 보다 편하게 보살필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접목된 육아용품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기존의 아기침대에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추가하고 각 센서 들의 정보를 수집해 아기의 수면패턴분석 및 수면유도, 시트 온도조절, 시트 등받이 조절, 침대 자동 스윙 및 스윙 세기 조절, 침대 높낮이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새로운 육아용품을 개발해서, 부모들의 효율적인 육아 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육아스트레스에 대한 부담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Design and Implement of an Integrated Parenting App for Working Parents (맞벌이 부부를 위한 종합 육아 앱 설계 및 구현)

  • Jiyeon Park;Kyoungju Lee;Euna Oh;Young Deok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6-31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일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종합육아 앱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개발된 앱은 육아분담 체크리스트, 알림장, 등하원 게시판 등을 통해 가정소통, 유치원소통, 동네소통 기능을 제공한다. 개발된 앱은 오픈소스로 공개되었다[1].

An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Online Childrearing Communi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의 지속적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자기감시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Lee, Sung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526-536
    • /
    • 2021
  • This study looked at what factors lead to continuous participatory intention of online childrearing community. Trust, reciprocity and perceived security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ty attributes and reputation motivation, information motivation, enjoyment motivation and self-monitoring from the users' perspectives were conceived as determinants that might have influences on continuous participatory intention of online childrearing community. It were also empirically tested whether they affect continuous participatory intention of online childrearing communit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was examined, too. In order to collect data,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women whose ages were 20-49 years old and joined online childrearing community.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a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trust, reciprocity and information motivation have influences on continuous participatory intention of online childrearing communit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between reciprocity and continuous participatory intention was also found.

EVALUATION OF ORAL HEALTH CARE INFORMATION IN THE KOREAN CHILDCARE BOOKS (육아서 내 구강건강관리 관련 내용의 평가)

  • Kim, Jee-Young;Lee, Kwang-Hee;Kim, Dae-Eup;Ra, Ji-Young;Lee, Dong-Jin;An, So-Yo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5 no.1
    • /
    • pp.127-135
    • /
    • 2008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and the accuracy of oral health care information in childcare books. Thirty five Korean childcare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wenty eight(80%) books contained information about oral health care and the average amount was 4.8 pages(1.2%). Among those books, the book that a dentist wrote the content and the book that was given advice from a dentist were one(3.6%) and one(3.6%), respectively. The eruption time and sequence of deciduous teeth and the toothbrushing method were described in 96.4% and 82.1% of those books. The books which contained the other oral health care contents were less than half. Three(10.7%) books contained inaccurate contents. Therefore, dentist should give oral health care information to parents more actively. And it seemed to be necessary to study other information sources like magazines, TV programs, internet resources, and education programs by health centers and department of obsterics.

  • PDF

Integrated Application for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Using Public Data and AI (공공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접목 시킨 임신, 출산, 육아 어플리케이션)

  • Kim, Seol-Ha;Lee, Je-Yoon;Lee, Ha-Yon;Park, Jo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016-1018
    • /
    • 2022
  • 우리나라의 생산 가능 인구는 올해를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앞으로 1,000 만 명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양육과 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단산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있는 임신, 육아, 출산에 대한 서비스는 매우 적은 편이며 기존에 존재하는 기술의 경우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서 소외되는 계층이 생겨나는 문제가 있다. 사람들이 경제적인 격차와 사각지대에 놓여 정보적 격차를 느끼는 만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복합적인 서비스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한 기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과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임신, 출산, 육아 통합 앱 개발을 통해 모든 사용자가 차별 없이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혜택을 받아 사회적인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안한다.

Design of Childca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 육아 관리 시스템 설계)

  • Park, Dong-Kyun;Hwang, Seong-Ill;Kim, Tae-Nyeong;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613-61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한 혼자 지내는 아이들과의 유대감 형성과 약속에 대한 중요성을 알려줄 수 있는 육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약속을 정하고 정해진 약속을 이행하면 퍼즐을 제공하는 퍼즐기능, 정해진 약속이행시간이 되면 약속시간을 알려주는 알람기능, 아이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아이등록기능, 환경설정 기능을 포함하는 육아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a community platform for mothers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Only Mom'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엄마들의 커뮤니티 플랫폼 '온리맘')

  • Ko, GwangHun;Kim, MinJi;Seo, JiYu;Yu, SeongJu;Cha, HyunSoo;Choi, JinSeong;Kim, ByungWan;Lee, Byo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41-642
    • /
    • 2021
  • PC와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급화 되면서 현대인들은 온라인 활동이 많아지고 있다. 온라인상의 커뮤니티는 '육아여성'들이 사회적 고립을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기회이다.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인터넷 속 카페로만 구성되어 있는 육아여성만의 공간을 앱 기반으로 확장시켜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소통과 가까운 주변 육아여성의 커뮤니티를 형성해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을 목표로 한다. 더하여 육아여성의 지역 경제 참여를 유도하여 소상공인에 도움을 주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