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육신불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Venerable Kim Ji-jang's Process of Becoming Ksitigarbha Bodhisattva (신라승 김지장(金地藏)의 지장보살화(地藏菩薩化) 과정)

  • An, Yang-gyu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8
    • /
    • pp.153-182
    • /
    • 2021
  • The Buddhist monk, Kim Ji-jang (金地藏), a native of Silla, is still rever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in China. In Chinese Buddhism, Kim Ji-jang's becoming Ksitigarbha Bodhisattva is unique in at least two ways. First, it is said that his becoming the bodhisattva originated not in Silla, but in China, a foreign country. Second, it is said that the historical person became regarded as a mythical being, Ksitigarbha Bodhisattva. The process of Kim Ji-jang's becoming Bodhisattva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the period of entering and practicing at Mount Jiuhua in China, and this also includes the period wherein he was first rever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The second period begins immediately after Kim Ji-jang's death and ends three years later. In this period he became regarded as Ksitigarbha Bodhisattva. The third period spans three years after his death to the present age. His status as Ksitigarbha Bodhisattva carries on at present. There are two main causes for Kim Ji-jang's transformation into the bodhisattva. The first is an internal bodhisattva process. According to Ksitigarbha Bodhisattva's main vow, Kim Ji-jang's practice and edification impressed the public. The second is an external bodhisattva process. The miracles that appeared at the time of his death or the manifestation of the incorruptible relics three years after his death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process of Kim Ji-jang becoming a bodhisattva. In line with the public's devotion, the Chinese imperial family repaired and supported the temple that enshrined the relics of Kim Ji-jang. Various factors could be analyzed in the process of Kim Ji-jang's becoming Ksitigarbha Bodhisattva, but more than anything else, it was Kim Ji-jang's severe ascetic practices and his virtuous edification of others.

대순진리회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도교 보화천존(普化天尊) 신앙 비교

  • 위꿔칭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57-195
    • /
    • 2013
  • 대순진리회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이하 '구천상제')'를 주신(主神)으로 신앙하는 종교단체이다. 그렇다면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와 중국 도교에서 모셔지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하 '보화천존')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인가? 이런 질문을 토대로 본 글에서는 이 신들의 기원과 칭호, 도세법문(度世法門 : 세상을 제도하고자 펼친 법도) 등의 관점에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하나씩 비교해 보았다. 먼저 기원이라는 측면에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을 비교해보면, '구천상제'는 천지인 삼계의 최고신으로서 강씨 가문을 선택하여 인간의 육신으로 태어났다. 강씨 성은 상고 신농씨에서 시작되었는데, 고대 문헌에 근거하면 신농씨는 태양신, 남쪽, 불(火) 등으로 상징화된다. 이런 상징들은 '구천상제'가 인간으로 태어날 때 나타난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다", "큰 불덩이가 몸을 덮치다", "천지가 밝아지는도다" 등의 현상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은 뇌신의 특징을 가지면서 일신(日神), 월신(月神)과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런 면들은 신농씨로부터 분석한 '구천상제'의 신적 기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교에서는 신농씨가 다스리던 세상을 중국 상고시대의 가장 이상적인 사회형태로 보고 있는데, 이것을 '구천상제'가 건설하려는 후천선경과 연관 지어 생각해보면 '구천상제'가 신농씨의 후손인 강씨 종가에서 태어난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고, 조화로운 인간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것은 대순진리회 '구천상제'가 행한 대순의 목적과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은 칭호에서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구천상제'에는 '보화천존'에 비해 '강성상제'라는 칭호가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교에서는 '보화천존'을 최고신으로 모시지 않으며, '구천상제' 신앙에서는 '보화천존' 신앙에서와 달리 뇌신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의 도세법문을 비교해보면 첫째, 구천상제는 세상이 혼란, 불공평, 죄악에 빠졌기에 육신으로 인간 세상에 강림한 후 대순진리를 선포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보화천존도 천하와 인간세상을 순시하여 죄악과 겁액을 없앤다는 '순시천하(巡視天下)' 사상이 있다. 물론 여기에는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보화천존'은 순시할 때 인간의 육신으로 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보화천존'이 인간 세상에 창교의 방법을 통하여 선경을 건설하고자 하는 목표를 전해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보화천존'은 교리를 가르치거나 신통을 발휘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구천상제'가 내린 가르침인 해원상생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수단과 과정이다. 도교의 '보화천존'도 인간이 지은 많은 죄악과 겁액은 세상 사람들이 맺은 원한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런 겁액과 죄를 해소하려면 해원부터 해야 한다는 것을 수차례에 걸쳐 언급하고 있다. 도교에서 말하는 '해원'의 구체적인 내용은 주로 인간의 시비, 질병, 겁액에 관한 것이며, 그 해결 방법으로는 주로 마음속으로 『옥추보경』을 읽는 것이다. 이를 '구천상제'의 '해원상생' 가르침과 비교하면 그 사상의 폭이나 깊이, 중요성, 이론적 측면 등에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서 체계적인 면모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셋째, '구천상제' 는 곤경에 처한 사람이 신명의 호칭을 부르면 그에 상응하는 신명이 달려와서 구원해준다는 '소리감응'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구천상제'는 과오를 범한 사람이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면, 그 다음에 상제의 용서를 받음으로써 그 원한이 풀리게 된다는 참법(懺法 : 懺悔法)을 세인(世人) 교화에 자주 사용하였다. 물론 이것은 해원상생의 구체적인 적용이라 할 수 있다. 기능면에서 보면 이 방법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옥추보참(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懺)』의 참의(懺儀)와 공통되는 점이 있다. 참의는 수도자 스스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수도에 정진하며,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 포덕에 힘쓰고, 악을 물리치고 선을 널리 펼친다는 것인데, 이런 의미에서 양자는 일치한다고 생각된다. 필자가 생각하건대,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와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사이에는 공통점이 아주 많지만 동시에 차이점 또한 적지 않다. 만약 더욱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더욱 깊고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국 대순진리회와 중국 도교, 특히 도교의 뇌법종파(雷法宗派)와의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Huirang Daesa Sculpture at Haeinsa Temple in Hapcheon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희랑대사상(希朗大師像)의 특징과 제작 의미)

  • Jeong, Eunwoo
    • MISULJARYO -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 /
    • v.98
    • /
    • pp.54-77
    • /
    • 2020
  • Produced during the Goryeo period (718-1392), the statue of the monk Huirang Daesa at Haeinsa Temple in Hapcheon is almost life-size, with a height of 82.4 cm, a width of 66.6 cm at the knees, and a maximum width of 44 cm at the torso (front and back). Notably, it is the only known example of an East Asian Buddhist sculpture made from wood and dry lacquer that was formed by joining the front and back halves. However, a similar technique was used on a dry lacquer statue of the Medicine Buddha at Cheongnyangsa Temple in Bonghwa, which is estimated to date from the late Goryeo or early Joseon period. As such, this technique is thought to represent this particular time period. In an eighteenth-century travelogue about a trip to Mt. Gayasan, the author describes a sculpture that is believed to be the statue of Huirang Daesa at Haeinsa Temple, based on various unique features that closely correspond to the sculpture's current appearance. For example, the sculpture is said to have a hole in the chest and rough, knobby tendons and bones, two features that can still be seen today. Another sculpture of a Buddhist monk who was active in the western regions during the third and fourth century also has a hole in the chest, which is said to be a symbol of spiritual strength. The travelogue also states that the statue was lacquered black at the time, which means that it must have been painted with its present colors some time in the nineteenth century. Over time, the sculpture has been enshrined in various halls of Haeinsa Temple, including Haehaengdang, Jinsangjeon, and later Josajeon (Hall of the Patriarchs), and Bojangjeon. Records show that images of Buddhist monks, or "seungsang," were produced in Korea as early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18 BCE-660 CE), but few of these works have survived. At present, only four such sculptures are extant, including the images of Huirang Daesa from the Goryeo period, and those of Monk Naong and Uisang Daesa from the Joseon period. Of these, the sculpture of Huirang Daesa has special significance for its early production date (i.e., CE. tenth century), outstanding production techniques, and superb artistic quality, realistically capturing both the external appearance and internal character of the subject. The tradition of producing, sanctifying, and worshipping statues of monks was prevalent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Japan. However, each country developed its own preferred materials and techniques for producing these unique images. For example, while China has a large number of mummified Buddhist images (yuksinbul), Japan produced diverse images with various materials (e.g., dry lacquer, wood, clay) according to period. But despite the differences in materials and techniques, the three nations shared the same fundamental purpose of expressing and honoring the inherent spirituality of the mo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