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육상 통발종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4 seconds

The Flora of Forest Wetland in the Chungcheongbuk-do (충청북도 일대 산림습원의 관속식물)

  • Shin, Jae-Kwon;Byun, Jun-Gi;Kim, Ju-Yeong;Choi, Seung-ho;Kim, Dong-Kap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48-48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습원의 식물종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일환으로 충북지역 산림습원 34개소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지조사는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동안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충북지역 산림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총 98과 312속 502종 5아종 71변종 587분류군으로 충북지역 전체 식물상 약 1,241분류군의(국립수목원 한국관속식물분포도, 2016) 47.3%로 나타났다. 습지에 출현하는 빈도에(수생태사업단 우리나라습지생태계 관속식물의 유형분류, 2012) 따라 구분한 결과 절대습지식물은 물꽈리아재비, 큰고양이수염, 통발, 벗풀, 올챙이고랭이, 택사 등 27분류군, 임의습지식물은 버드나무, 쉽싸리, 물억새, 이삭사초, 부처꽃, 비녀골풀, 솔발울고랭이, 양뿔사초, 진퍼리새 등 51분류군이다. 또한 습원과 육지에서 동시 출현하는 양생식물은 모시물통이, 왕미꾸리광이, 물양지꽃, 좀고추나물, 감자개발나물, 참삿갓사초 등 29분류군, 임의육상식물은 쇠뜨기, 고비, 고추나물, 방동사니, 강계큰물통이, 오리새, 처녀바디 등 25분류군, 절대육상식물은 애기탑꽃, 좀진고사리, 옥잠난초, 물들메나무, 뻐국나리, 진범, 범꼬리 등 8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절대습지식물 중 애기물꽈리아재비, 큰고양이수염, 개쉽싸리, 통발, 송이고랭이, 올방개아재비, 흰고양이수염 등 11분류군은 충북내에서 새롭게 분포가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양뿔사초(CR), 애기물꽈리아재비(VU), 통발(VU) 등 16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강계큰물통이, 물들메나무, 넓은잎각시붓꽃 등 19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통발 등 3분류군, IV등급 왜방풍 등 9분류군, III등급 음양고비 등 18분류군, II등급 12분류군, I등급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큰닭의덩굴, 미국자리공, 붉은서나물 등 2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 PDF

Lack of allozyme variation in the two carnivorous, terrestrial herbs Utricularia bifida and Utricularia caerulea (Lentibulariaceae) co-occurring on wetlands in South Korea: Inference of population history (한반도 남부 지방 습지에 같이 자생하는 식충 육상 초본 2종 땅귀개 및 이삭귀개 (통발과)의 알로자임 변이의 결여: 집단의 역사 추론)

  • Chung, Mi Yoon;Lopez-Pujol, Jordi;Chung, Myong G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4
    • /
    • pp.297-303
    • /
    • 2017
  • In central and southern Korea, the two small insectivorous, terrestrial herbs, Utricularia bifida and U. caerulea, often co-occur at wet locations (or in wetlands). The Korean Peninsula (with central China and northern Japan) constitutes the northern edge of their distribution, as their main range is subtropical and tropical Asia. The Korean populations of both species are very likely of post-glacial origin, given that warm-temperate vegetation was absent from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Two hypotheses of the post-glacial colonization of the peninsula can be formulated; first, if current populations were founded by propagules coming from a single ancestral population (i.e., a single refugium), we would expect low levels of genetic diversity. Alternatively, if contemporary Korean populations originated from multiple sources (multiple refugia), we would expect high levels of genetic variation. To test which is more likely, we surveyed the degree of allozyme variation at 20 loci in ten populations for each of the two species from southern Korea. We found no allozyme variation within each species. However, their aquatic congener U. australis exhibited allozyme polymorphism across Japan (four polymorphic loci at three enzyme systems). We suggest that southern Korean populations of Utricularia bifida and U. caerulea were established by a single introduction event from a genetically depauperate ancestral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