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혈(兪穴)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9초

"난경(難經)"난자탐원(難字探原) -이(以)'육십팔난(六十八難)'위예(爲例) -"난경(難經)"의 어려운 글자의 근원에 대한 연구 -'육십팔난(六十八難)'을 예로 들어-

  • 왕지령;임소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7-241
    • /
    • 2008
  • "난경(難經)"의 오유혈(五兪穴) 이론(理論)이 가장 많이 제기되는 문제는 '육십팔난(六十八難)'의 오유혈(五兪穴)의 주치작용(主治作用)이다. "영추 본수편(靈樞 本輸篇)"에서는 다만 오유혈(五兪穴)의 명칭과 위치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지, 계통적인 주치에 대한 설명이 없고, '육십팔난(六十八難)'에서 명확히 5가지 종류의 질병에 대해서 귀납(歸納)하고 오유혈(五兪穴)이 주관하는 병증(病證)을 분별하여 후세의 모범이 되고 있다. 그러나 "난경(難經)"에서 오유혈(五兪穴)에 대해서 물이 흐르는 형상을 비유하여 사지(四肢)에서 체간(體幹)으로 향하는 노선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내경(內經)"의 십이경맥(十二經脈)이 여환무단(如環無端)하는 체계와 전혀 부합하지 않아서 학문과 임상에 있어서 지금까지도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그동안 "갑골문자(甲骨文字)"를 해독하기 위한 심도 있고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 결과 고문자(古文字)의 해독(解讀)잘못된 계산식을 위한 공구서(工具書)들이 많이 개발되었는데, 본 논문은 그러한 고문자(古文字) 해독(解讀)의 연구방법(硏究方法)을 통해 "난경(難經)"의 오유혈(五兪穴) 이론(理論)의 난제(難題)를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정형수경합(井滎輸經合)에 대해서 "난경(難經)"의 '육십팔난(六十八難)'에서 "소출위정(所出爲井), 소류위형(所流爲滎), 소주위유(所注爲兪), 소행위경(所行爲經), 소입위합(所入位合)"이라고 설명한 그 것 중에서 출(出), 류(流), 주(注), 행(行), 입(入)과 정(井), 형(滎), 유(兪), 경(經), 합(合)의 글자를 고문자(古文字) 해독(解讀)의 측면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이를 의학적(醫學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그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 PDF

"난경회주전정(難經滙注箋正)"중(中) 유혈(兪穴)에 대한 연구(硏究)

  • 최진혁;윤창열
    • 혜화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5-103
    • /
    • 2006
  • 通過對"難經滙注箋正"中兪穴的硏究, 得結論如下: 張山雷主張在十二原穴中陰經的原穴是兪穴, 在六腑中另有原穴, 而原穴是主治五臟六腑之疾患的. 因此, 認爲三焦是指人體上中下三部, 而不是指手少陽三焦經. 其主張五輸穴的運行似水之流動, 故與五行配屬是不對的. 尤其是認爲六陰經的井穴配屬於木及六陽經的井穴配屬於金是不對的, 但是張山雷自身對其道理亦難道明. 對"本輸"中出現的十二原穴與"難經”的相差處進行了說明, 在"甲乙經”指出了手少陰心經的五輸穴, 所以推測皇甫謐的參考文獻資料更爲確切. 綜上所述, 筆者對張山雷的主張旣有認同, 又有反對意見, 亦有無法判斷之處. 認爲張山雷對古人的未得到實證的理論試圖進行論證的實事求是的精神, 是値得我們學習的榜樣.

  • PDF

한국산 대륙유혈목이 Hebius vibakari의 집단 번식 사례 보고 (Report on the group mating of Asian keelback snake Hebius vibakari Boie 1826(Squamata; Colubridae) in South Korea)

  • 구교성;장민호;송재영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88-9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대륙유혈목이 Hebius vibakari의 집단 번식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009년 5월 20일 전라남도 진도군 맹골도리에 위치한 맹골도에서 대륙유혈목이의 집단 번식이 관찰되었다. 맹골도 섬 능선 위에 형성된 바위지대(고도 107 m)에서 번식이 관찰되었다. 대륙유혈목이 암컷 6개체와 수컷 5개체는 번식 행동 중 하나인 교미공(mating ball)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 중 2 쌍은 뱀류에서 관찰되는 짝짓기 행동인 "꼬리 뒤엉킴(tail wrestling)" 중이었다. 집단 번식이 관찰된 당시의 기온과 습도는 각각 $25.7^{\circ}C$와 59%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희귀 파충류인 대륙유혈목이의 집단 번식을 국내 최초로 보고한 사례이다.

심유혈(心兪穴) 자침이 HRV(Heart Rate Variability)로 측정한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lectro-acupuncture on Simsu($BL_{15}$) with the Heart Rate Variability as the Means of Measurement for Autonomic Nerve System)

  • 이현진;이동건;황지혜;조현석;김경호;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5호
    • /
    • pp.1-12
    • /
    • 2007
  • 목적 : 양심안영(養心安營), 청신녕지(淸神寧志), 조리기혈(調理氣血)의 효능을 가진 심유혈(心兪穴)($BL_{15}$)이 자율신경의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하여 객관적으로 자율신경의 활성과 심장의 많은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진 HRV(Heart Rate Variability)를 이용하였다. 방법 : 안정을 취한 후 29명의 남자 대상자를 HRV가 먼저 측정하였다. HRV 측정 후 대상자의 량측(兩側) 심유혈(心兪穴)에 자침하고 전침으로 지속적인 자극을 주었으며, 15분간 이 상태로 류침(留鍼)하였다. 발침(拔鍼) 후 다시 HRV를 측정하여 이를 측정 전과 비교하였다. 측정 결과의 비교 항목은 MHRT, SDNN, RMSSD, TP, VLF, LF, HF, Norm LF, Norm HF, LF/HF ratio로 하였다. 결과 : MHRT는 유의성이 있었다. SDNN은 유의성이 없었다. RMSSD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TP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VLF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LF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HF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Norm LF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Norm HF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LF/HF ratio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심유혈(心兪穴) 자침 결과는 교감 신경의 흥분을 가라앉히고 부교감 신경의 안정성을 증대하여, 심장의 안정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본 연구의 대상 집단이 소규모이며 스트레스가 아주 심하지 않은 집단이라는 점에서 유의성이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못했다. 향후 비교할 만한 대조군을 설정하여 더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큰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유혈목이 (Rhabodophis Tigrina) 2 아종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Two Subspecies of European Grass Snake (Rhabdophis tigrina) in Korea)

  • 백남극;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권1호
    • /
    • pp.79-92
    • /
    • 1986
  • 한국산 유혈목이(Rhabdophis tigrina)의 유전 및 형태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 각 집단간의 유전적 근연치는 S=O.970$\pm$0.009로서 야생물군의 동종내 집단간 근연치와 동일하였으며 Rhabdophis tigrina lateralis 와 Rhabdophis tigrina tigrina 두 아종의 형태변이에 관해서는 미하판수, 복판수와 미하판수의 총수가 대륙산과 일본산 공히 북부지방에서 남부지방으로 내려올 수록 그 수가 증가하는 구배현상을 나타태고 었어 별아종으로 분류할 수 없으며 6개 형태 형질에 대한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결과 한국산 유혈목이는 동일종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Rhabdophis trgrina lateralis (Berthold, 1859)은 Rhabdophis trgrina tigrina (Boie, 1826)의 동종이명으로 분류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각급 척추동물의 담낭 상피세포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Epithelial Cells in the Gall Blader of Vertebrates)

  • 노용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7-68
    • /
    • 1974
  • 저자는 붕어, 두꺼비, 유혈목이, 십자매, 소를 재료로 담낭 상피세포의 조직학적인 관찰과 조직화학적인 성상의 관찰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피세포의 형태는 동물마다 차이를 가지며, 일부의 동물에서 보고된 이른바 통상세포와 간상세포의 2종의 세포를 조직화학적 면에서는 뒷받침 할 수 없었다. 2. 붕어는 단층 원주세포, 두꺼비는 점막주름 상부는 원추형, 주름 측면부는 원주형, 주름 기부는 사다리꼴 세포, 유혈목이는 단층 원주상피로서 높이가 얕은 원주형 내지 입방형 세포 그리고 소는 단층 원주상피로서 원주형이 되었다. 3. 세포질의 eosinophility는 붕어에서는 모든 상피세포의 핵상단부 세포질에서 강하고 균일하였고, 두꺼비에서는 세포질 전체가 약한 세포가 다수 출현하였고, 유혈목이는 핵상부 세포질이 균일하게 강하였으며, 십자매에서는 전 세포질이 균일하였고, 소에서는 세포질 전체가 비교적 균일하였으며 핵 주위 세포질이 환상으로 약하였다. 4. PAS 반응에서 동물에 따른 강약의 차이를 보였고, 세포질이 밝게 보이는 명세포와 어둡게 보이는 암세포로 나눌 수 있었으며, 명세포의 출현은 붕어에서 6.4%, 두꺼비에서 4.3%, 그리고 십자매에서 3.7%였으며 유혈목이와 소에서는 명세포가 출현하지 않았다. 5. Ninhydrin-Schiff에 양성인 단백질 함량은 소, 붕어, 십자매, 두꺼비, 유혈목이의 순이었는데 붕어, 유혈목이, 십자매에서는 점막주름 상부세포들이 풍부하였고, 두꺼비에서는 부위 별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세포질에 균일하게 함유하였다. 6. 중성 지방은 붕어, 유혈목이, 십자매, 소에서는 세포의 형태에 관계없이 염색성을 보이지 않거나 약한 세포가 출현하였고, 두꺼비에서는 세포 부위의 차이는 있으나 전세포에서 염색성을 나타내었다. 7. RNA 와 DNA는 모든 동물에서 세포의 형태에 관계없이 점막주름 상부세포가 강하고 점막주름 기부 및 측면부의 세포에서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 PDF

팔회혈(八會穴)에 대(對)한 고찰(考察)

  • 김진호;임이빈;방정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0호
    • /
    • pp.36-54
    • /
    • 2005
  • 소통과팔회혈적고찰(素通過八會穴的考察), 득도료여하적결론(得到了如下的結論). 기일시(其一是), ${\lceil}$령추(靈樞) 사해(四海)${\rfloor}$ 편적사해(篇的四海), 유관여(有關與) ${\lceil}$난경(難經)${\rfloor}$적팔회(的八會), 사해가분위팔회(四海可分爲八會), 양자적관계가이인위여하(兩者的關係可以認爲如下). 수곡지해부회(水穀之海府會) 장회(藏會), 혈해(血海)-혈회(血會) 맥회(脈會), 수해(髓海)-수회(髓會) 골회(骨會) 근회(筋會), 기해(氣海)-기회(氣會). 기이시(其二是), 기해여기회(氣海與氣會), 내경여난경동작단중, 이차기병증역유공통점(而且其病症亦有共通點). 기삼시(其三是), 혈회여맥회시혈해분출적(血會與脈會是血海分出的). 격유혈취시혈회, 기혈속우배유혈(其穴屬于背兪穴), 여심간비폐유관(與心肝脾肺有關). 태연혈취시맥회(太淵穴就是脈會), 기부위시촌구맥(其部位是寸口脈), 소이유관여혈(所以有關與血), 기사시(其四是), 부회중완혈시위적모혈(府會中脘穴是胃的募穴), 장회장문혈시비적모혈(藏會章門穴是脾的募穴), 소이근수곡지해적위유관. 기오시(其五是), 관찰수해적병증(觀察髓海的病症), 가이추론수해분수회골회근회(可以推論髓海分髓會骨會筋會). 관어수회적혈(關於髓會的穴), 의서불일치(醫書不一致), 단옥침혈시여뇌부위상근(但玉枕穴是與腦部位相近), 기주치증야유사(其主治證也有似), 소이이옥침혈인위수회(所以以玉枕穴認爲髓會). 관어골회혈역유양개주장(關於骨會穴亦有兩個主張), 수요갱다적연구(需要更多的硏究).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