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헬스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9초

RFID 기술을 이용한 u-헬스케어 서비스 인증 프로토콜 (u-Healthcare Service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RFID Technology)

  • 정윤수;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3-159
    • /
    • 2012
  • 최근 u-헬스케어는 웰빙 시대와 IT 대중화가 맞물려 RFID 기술을 의료 서비스에 접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각광을 받고 있다. u-헬스케어 서비스는 RFID 기술이 u-헬스케어에 접목되면서 의료 프로세스 상에 발생하는 수기입력, 중복 데이터 발생, 데이터 위 변조, 정보 버전 상이 등의 품질 저하 요인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u-헬스케어를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RFID 기반의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에서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데이터 위 변조 및 프라이버시와 u-헬스케어 보안시스템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 환자에 관한 비밀 정보는 병원에서 생성된 비밀키와 연접하여 DB 테이블 내의 해당 환자의 비밀키 필드에 저장한다. 또한, 불법적인 사용자의 접근이 있을 경우 인증 서버에게 통보하여 u-헬스케어의 불법 유 무 판별한 후 u-헬스케어 서비스 접근을 승인받도록 한다.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의 효과 (Effects of Mobile based-Healthcare Service using Human Coaching to the Self-care of Diabetes)

  • 이미준;강희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83-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이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당뇨병 진단을 받은 31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 활용도는 남녀의 차이가 있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chi}^2=6.059$, p= .048*)가 있었다. 둘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와 활동밴드 활용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660, p<.01). 셋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 활용률 추이를 확인한 결과 1주차부터 49주차까지 79%에서 41%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 서비스가 참여자들에게 자기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에 접근성이 쉽고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일부 확인되었다.

멀티센서 기반 수면장애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mprovement of Sleep Disorder Based on Multi-sensor)

  • 임성현;박석천;박장호;김응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43-245
    • /
    • 2012
  • 대표적인 수면장애로 수면 무호흡증과 코골이가 있는데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수면다원검사는 비용적, 공간적, 시간적 제약이 수반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려는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수면장애와 그 요인을 검출하기 위해 가속도센서, 소음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로 구성된 측정 장치에서 획득한 데이터와 건강, 운동, 생활습관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떤 요인에 의해 수면장애의 정도가 악화되고 개선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설계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와 뷰어 역할에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일반인이 보다 쉽게 측정하고 측정결과와 추론결과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보안성 품질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Methods of Security and Quality Evaluation of smart Healthcare System)

  • 양효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251-259
    • /
    • 2017
  • 최근 헬스케어 산업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기술과 결합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기기, 플랫폼 등 정보통신 기술은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를 말한다.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차세대 산업분야인 6T 중 가장 활발한 IT(Information Technology)와 BT(Bio Technology)간의 결합으로 차세대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들이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이 다른 유기적 연동 여부와 보안성 품질 여부가 중요한 평가요소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특성 및 서비스 유형을 조사하고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기술 및 산업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평가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보안성 평가방법과 품질평가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의 품질 향상 및 신뢰도 높은 제품 개발을 유도 할 수 있으며, 기술보호 장벽에 대처 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기대된다.

유헬스용 요분석기의 정색반응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rimary Color Reaction System of Urine Analyzer for U-health)

  • 이상식;박원엽;구지현;이충호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9-1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유헬스용 요분석기를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요분석 스트립의 색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정색반응 전자회로를 개발하였다. 정색반응 시스템은 컴퓨터, 정색반응 전자회로, 트레이장치, 센서조합체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하였다. 요분석 스트립의 색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칼라센서가 사용되기 때문에, 표준 색상지를 이용하여 칼라센서의 측정값과 RGB값 사이의 선형방정식을 수립하였다. 빨간색(R)의 회귀방정식은 $Red=0.2414{\times}x$(센서 값) - 3.0042($R^2=0.9801$)로 나타났고, 녹색(G)의 회귀방정식은 $Green=0.2857{\times}x$(센서 값) - 6.4251($R^2=0.9868$)로 나타났고, 파란색(B)의 회귀방정식은 $Blue=0.2114{\times}x$(센서 값) - 6.2743($R^2=0.9837$)으로 나타났으므로 표준색상지와 칼라센서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정색반응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 성분 중 적혈구,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케톤, 단백질의 5가지 성분에 대하여 각기 다른 농도로 표준시약을 제조하여 정색반응을 측정하였다. 각 시약의 농도에 따른 칼라센서의 정색반응 결과가 통계적으로 타당한 결과를 보였고 유헬스용 요분석기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재가노인 유헬스 생활지원기기의 실용화를 위한 여성노인의 선호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Old Women for the Higher Usability of u-Health Life Support Appliances)

  • 김선중;박경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01-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ference and the needs of old womens on the life support appliances i.e. medication dispenser, video phone, activity monitor and sleep monitor. The appliances may be improved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 preferred functions and designs. The respondents were 141 female seniors of 65 years and older, living in Ulsan city or Cheongju city, Korea. Following is the list of results. (1) The medication dispenser, responded as highly preferred, met some worries over the troubles by power stoppage especially while one is out, letting her forget the medication time. (2) The video phone was worried over the cases of hearing failure by small sound, and watching failure by weakening sight. (3) The activity monitor, like the medication dispenser, was worried about the troubles while one is out or out of the monitoring scope, its expense, and the privacy, (4) The sleep monitor met the worries over the inadequacy for the sleeping mat on the floor and the e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5) The preferred designs were (1) white or red standing medication dispenser, (2) wall-mounted video phone working by voice, (3) metal activity monitor sensor with white or yellow bracelet.

헬스케어 환경을 위한 칼라 모델 기반의 사용자 인증 키 설립 기법 (User Authentication Key Establishment Scheme based on Color Model for Healthcare Environment)

  • 정윤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15-121
    • /
    • 2017
  • 병원의료 서비스는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융합하여 신속한 의료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의료서비스의 질 개선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유 무선을 통해 병원 서버에 전달하려고 할 때,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칼라 모델 기반의 사용자 인증 키 설립 프로토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칼라 모델에서 사용되는 칼라 정보를 랜덤하게 3개 추출하여 추출된 임의의 정보를 벡터화하여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키 정보를 직교 벡터의 합으로 구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안 기법은 추가적인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키 정보를 안전하게 생성할 수 있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 기법은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의 수가 증가할수록 생성된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의 시간이 기존 기법보다 평균 8.1% 낮게 나타났으며, 오버헤드는 기존 기법보다 7.7% 낮은 결과를 얻었다.

개인건강기록 기반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latform based on Personal Health Records)

  • 송제민;이용준;남광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62
    • /
    • 2012
  •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헬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서비스 콘텐츠 개발자, 서비스 제공자, 디바이스 공급자 등이 긴밀하게 협력하여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유헬스 플랫폼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개인건강기록 (PHR) 관리, 맞춤형 지능형 서비스 지원, N 스크린 서비스 지원 등의 부족으로 효과적인 생태계 구축이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헬스 플랫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만성질환 관리 플랫폼(CDMP: Chronic Disease Management Platform)'을 제안한다. CDMP는 만성질환 건강관리 증진 서비스를 개발 실행 공유하기 위한 공통 기능을 컴포넌트로 제공하고 다양한 서비스 및 시스템 간의 연결.통합을 위한 허브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CDMP는 SOA 기반으로 설계되어 높은 재사용성 확장성을 제공하며 정보 콘텐츠 서비스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Open API를 제공하는 개방형 플랫폼,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멀티플랫폼, SNS와의 연동을 통한 자가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이 논문에서는 CDMP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구조 설계, 설계 검증을 위한 프로토타입 구현을 수행하고, 특히 PHR 정보 관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데이터 모델'의 구현과 성능 평가를 통해 CDMP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IEEE 11073/HL7 기반의 개인 건강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Personal Healthcare System Based on IEEE 11073/HL7 Standards Using Smartphone)

  • 남재충;서원경;배재승;조유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B호
    • /
    • pp.1556-1564
    • /
    • 2011
  •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한 평균 수명의 연장은 인구 고령화, 의료비 증가, 전문 의료 인력 부족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야기 시켰다. 이에 따라 고도화 된 IT 기술을 의료 서비스 시장에 융합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헬스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이 의료 표준 기술을 지원하지 않아 기존 의료 기기 간 호환성 및 확장성이 없고, 의료 기관 마다 다른 메시지 포맷을 사용하여 상호운용성을 보장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상용화된 비표준 개인 건강 기기에 의료 기기간 표준 전송 기술인 IEEE 11073을 지원할 수 있는 확장 모듈을 개발하고 IEEE 11073을 이용하여 개인 건강 기기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전송받아 쉽고 간편하게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통합 매니저를 개발하였다. 또한 매니저에 저장된 정보를 표준 데이터 포맷인 HL7을 이용하여 의료 센터로 전송함으로써 표준 기술이 지원되는 모든 의료 기관으로부터 실시간 의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유헬스 시스템을 설계/구현하였다.

지능형 통증 간호중재 유헬스 시스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telligence Pain Nursing Intervention U-health System)

  • 정호일;류현;정경용;이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
    • /
    • 2013
  • 개인화 추천 시스템은 자동화된 정보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 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기술 중 협력적 필터링은 비슷한 패턴을 가진 형태들을 식별해 내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과거 유사한 형태를 가진 환자의 자료를 통하여 통증 강도를 유추 하거나 분류된 환자의 프로필의 유사도에 따라 관련 사정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사도 가중치 추출의 대표적인 방법인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데이터의 양에 따라 표본 데이터가 적은 경우 예측 값이 부정확해지고 양이 방대한 경우 계산량이 제곱으로 늘어 신속한 결과를 추출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E와 순위 스코어를 사용하여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표본 자료의 규모와 유사도 군집량을 비교하여 구현된 지능형 통증 간호중재 유헬스 시스템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통증환자의 고통호소를 간호사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환자의 안위 증진이 향상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