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해지수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4초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유해중금속 분석 및 위해도 평가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Medicines used for Food and Drug)

  • 조인순;김수진;박애숙;김진아;장정임;이성득;유인실;신용승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54-364
    • /
    • 2020
  • 서울약령시장과 서울경동시장 등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약공용 농·임산물 29품목 171건에 대하여 ICP-MS와 수은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을 분석하고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검출 범위는 각각 ND-4.719 mg/kg, ND-1.019 mg/kg, 0.002-8.696 mg/kg, ND-0.058 mg/kg로 나타났다. 171건의 검체 중 Artemisiae Capillaris Herba(인진호) 1건과 Actinidiae Ramulus et Fulium et Fructus Vermicultus(목천료) 1건에서 각각 카드뮴과 비소 항목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나머지는 모두 허용기준 이내였다. 위해도를 평가 했을 때 비발암위해도지수(HI)가 1을 초과한 품목은 없었고, 발암위해도가 납은 모든 품목에서 10-6 이하였으며 비소는 10-4-10-6 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PTWI는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모두 100이하로 나타났다. 유통중인 식약공용 농·임산물의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수은) 함량을 분석하고 비발암위해도지수(HI), 발암위해도, %PTWI를 평가한 결과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PSM 제출대상 독성물질의 규정량 합리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forming Threshold Quantities of Toxic Substances in Process Safety Management)

  • 이주엽;이근원;김태옥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15
    • /
    • 2017
  • 화학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한 공정안전관리(PSM) 제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1996년부터 시행되었다. 그러나 PSM 제출대상인 기존 21종 물질에 대한 규정량과 새로이 추가된 브롬화수소 등의 독성물질의 규정량에 대한 타당성 검토가 미흡하여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5종의 PSM 제출대상독성물질의 규정량을 국내 외 공정안전관리제도와 관련된 규정량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흡입독성, NFPA 지수 등으로 구성된 독성 유해 위험성 식을 제안하여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의 3등급으로 독성물질을 분류하고, 규정량의 조정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규정량 개선안은 유사 공정안전관리제도의 규정량 차이로 인한 사업장의 혼란과 부담 완화 및 합리적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CCD카메라를 이용한 생물감시장치의 독성자료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ing Reliability of Biomonitor by Using CCD Camera)

  • 김현창;김영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0호
    • /
    • pp.1351-1357
    • /
    • 2010
  • 우리나라 주요하천의 수질오염감시를 목적으로 물벼룩을 이용한 생물감시장치가 설치, 운용되고 있다. 기기 목적상 유해물질에 대해 신뢰성 있는 신속한 독성경보를 내릴 수 있어야 하고, 무인원격측정기기이므로 계절별, 연간 하천의 물리적인 변화에도 측정의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국내에 운영중인 장비는 물벼룩의 단위시간당 뛰는 횟수(Impulse)를 측정하는 방법과 유영형태를 분석하여 독성지수(Toxicity)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두 장비가 동일한 조건에서 운전되었음에도 가동률과 긴급점검횟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원인은 용기 내 기포발생과 압력차이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포와 미시적인 압력의 영향을 감소시켜 측정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이고, 나아가 생물감시장치가 어떤 환경에 설치되더라도 수질오염감시의 목적을 정상적으로 달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화쇄류 퇴적물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기초특성 평가 (Evaluation for Funda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mixed with Pyroclastic Flow Deposit)

  • 최형길;김규용;노구치 타카푸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49-57
    • /
    • 2016
  • 실내실험으로서 화쇄류 퇴적물의 기초물성을 평가하고, 화쇄류 퇴적물의 혼입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굳지않은 성상 및 강도특성을 평가했다. 그 후, 실기 플랜트 제조실험을 실시해 화쇄류 퇴적물 혼입 콘크리트의 굳지않은 성상, 강도특성, 수축 특성 및 내구특성에 대해 검토했다. 그 결과, 화쇄류 퇴적물의 혼입에 의한 유해한 알칼리 실리카 반응은 발생하지 않았다. 더불어, 화쇄류 퇴적물에 의해 장기재령에 있어서의 강도향상 등의 포졸란 반응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실기 플랜트 제조실험에 있어서도 화쇄류 퇴적물 혼입에 의한 공기량의 변화나 현저한 슬럼프 로스는 발생하지 않았고, 실기 플랜트로의 제조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고 판단된다. 한편, 화쇄류 퇴적물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수축특성 및 내구특성은 보통 콘크리트와 비교해서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며, 화쇄류 퇴적물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경우, 콘크리트의 적절한 온도관리나 적절한 양생방법을 강구하는 것으로 건설재료 분야에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성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한 LCA 연구 현황 (State-of-the-art of Life Cycle Assessment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Plant Biomass)

  • 서봉국;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10
  •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수송연료로서 바이오 디젤은 유해물질 배출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 에너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바이오디젤 관련 기술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제도적 지원을 위해서는 바이오 디젤의 친환경 특성 및 경제성 등에 대한 보다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평가가 필요하며, 바이오디젤 생산과정에서 지구 온난화 지수, 에너지소비, 생산비용, 생산기술 및 feedstock에 대한 LCA 분석 연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인 환경 및 경제성 평가가 가능하였다. Feedstock에서부터 연료사용에 이르기까지의 바이오 디젤 LCA 평가와 관련한 많은 연구에서 feedstock 생산과정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가 전체 환경 및 경제성 평가 수치의 50-80% 범위를 차지하여, 가장 큰 주요 기여 인자가 되었다. 경제성 측면에서는 초임계 메탄올 공정을 이용하여 폐식용유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과정이 현실적으로, 기술적으로 가장 유리하였다. 향후, 바이오 연료 시장을 보다 확장하고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디젤의 물성개선을 비롯하여 원료에 대한 식량과의 논쟁을 피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원료확보 관련 연구도 수행되어야만 할 것이다.

폴리카르복시산과 Vitamin C를 이용한 면섬유의 자외선 차단 가공 (UV-cut Finish of Cotton Using Polycarboxylic acid and Vitamin C)

  • 이상욱;최민영;유미듬;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5차 학술발표회
    • /
    • pp.30-30
    • /
    • 2011
  • 산업화 과정에 방출된 할로겐 화합물 및 프레온 가스가 오존층을 파괴하면서 많은 양의 자외선이 지표에 도달하여 생태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자외선은 살균, 소독작용 및 Vitamin D 합성을 위해 생명체에 필수적이지만 과다할 경우 색소침착, 피부노화, 피부암 발생, 백내장의 증가, 면역기능저하 등의 피해를 준다. 자외선은 파장 영역에 따라 UV-A(장파장 자외선), UV-B(중파장 자외선)및 UV-C(단파장 자외선)으로 나뉜다. 이 중 인체에 가장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단파장의 UV-C는 파장이 짧아 침투력이 미약해 오존층과 성층권에서 대부분 흡수되므로 생물학적으로 큰 의미는 없다. 그러나 자외선 중 UV-B와 UV-A 영역의 자외선은 인체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므로 이들 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Vitamin C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이라고도 불리며 미백효과, 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항산화 작용을 하지만 섬유가공 시 Vitamin C는 쉽게 산화되며 세탁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교제를 필요로 한다. Vitamin C를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성 섬유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포름알데히드를 유리하지 않는 폴리카르복시산 가교제 중 하나인 Citric Acid(CA)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면직물에 처리했을 때 에스테르 형 가교를 형성하여 내세탁성을 가질 수 있었다. 자외선 차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KS K 0850 섬유제품의 자외선 차단율 및 차단지수 시험방법으로 평가하였다.

  • PDF

TTT 타점법을 이용한 웹서버 파일 분포의 후미성 분석 (A Analysis of Heavy Tailed Distribution for Files in Web Servers Using TTT Plot Technique)

  • 정성무;이상용;장중순;송재신;유해영;최경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3호
    • /
    • pp.189-19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TTT 타점법을 이용하여 웹 서버가 서비스하는 파일의 크기에 대한 통계적 분포는 꼬리부분이 두꺼운 분포라는 것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TTT 타점법은 신뢰성 공학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TTT 통계량 타점결과의 직선성으로 지수분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모의실험과 실제 운영중인 웹서버의 자료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인 Hill 추정법과 LLCD 타점법에 비하여 후미성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있으며, 판단의 효율성 면에서도 그들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방법이 웹서버의 파일 분포판정이나 통계학에서의 파레토 분포 판정시 나타날 수 있는 판정의 오류 가능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실시간 생태독성 평가를 위한 물벼룩 감시장치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of Daphnia magna Monitoring System for Real-time Ecotoxicity Assessment)

  • 이장훈;고태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1-1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물벼룩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생태독성 기준 1 TU(Toxic Unit)에 해당하는 물벼룩 감시장치의 TI(Toxic Index)값을 설정하고 NOEC와 $EC_{50}$에서 물벼룩 감시장치를 운영하였을 때 적절히 경보가 발령되어 실시간 생태독성 평가가 가능한 지 타진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국 내외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선행연구를 하였고 인공 하천수를 대상으로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에서 권고하는 59개 유해물질 중 6개(As, Hg, Cr, Diazinon, Dioxane, Phenol) 물질을 채택하여 지수식과 유수식 그리고 정도관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NOEC 유수식 시험에서 Diazinon을 제외한 다른 물질들은 TI가 양호단계로 나타났고 $EC_{50}$ Spiking test에서 1 TU 이상과 1 TU 이하를 구분하여 TI는 TU에 상응하게 경보를 발령했다. 본 연구결과는 생태독성관리제도의 보완점을 생각하고 효율적인 관리체계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하나의 메시지가 된다.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자료를 이용한 유해기반 지수의 시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a Hazard-based Index using the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Data)

  • 김시진;임유라;배현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4-154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hazard contribution by region, media, and chemical by calculating a hazard-based index using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PRTR) data. Methods: PRTR data for the period 2011 to 2016 was analyzed to examine the regional trends in toxic releases in terms of quantity and to create a corresponding hazard-based index. For the hazard-based index, the Risk-Screening Environmental Indicators (RSEI) Model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trend analysis show that total releases decreased slightly, but health hazard levels increased consistently. According to the outcome of regional contribution analysis of the hazard-based index, Chungcheongnam-do, Jeollabuk-do and Gyeonggi-do Provinces showed a high ratio in the index for air and water release pollutants, while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showed a high ratio in the index of soil release and waste transfer pollutants. Als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op ranked substances in the hazard-based index, it was found that chromium, cobalt and its compounds, and ethylene oxide contributed greatly to air release substances, while chromium, benzene, and lead and its compounds contributed greatly to water release substance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considerable disparities between total release and health hazard levels, especially in the analysis of contribution by regions and by chemical substance. Therefore, the hazard-based index should be used both to support a more comprehensive and robust approach to screening of chemicals for environmental health policy and for management.

화학물질배출이동량 자료를 활용한 화학물질배출량 및 유해기반지수 정량화와 시공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hemical Discharges and Quantified Hazard-Based Result Scores Using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Data)

  • 임유라;간순영;배현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272-281
    • /
    • 2022
  • Background: The constant consumption of chemical products owing to expanding industrialization has led to an increase in public interest in chemical substances. As the production and disposal processes for these chemical products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regional information on the hazard level of chemical substances is required considering their effects on humans and in order to ensure environmental safety.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azard contribution an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by region and chemical by calculating a hazard-based result score using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PRTR) data. Methods: This study calculated the chemical discharge and hazard-based result score from the Risk-Screening Environmental Indicators (RSEI) model, analyzed their spatiotemporal patterns, and identified hotspot areas where chemical discharges and high hazard-based scores were concentrated. The amount of chemical discharge and hazard-based risk scores for 250 cities and counties across South Korea were calculated using PRTR data from 2011 to 2018. Results: The chemical discharge (high densities in Incheon, Daegu, and Busan) and hazard-based result scores (high densities in Incheon, Chungcheongnam-do, and some area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showed varying spatial patterns. The chemical discharge (A, B) and hazard-based result score (C, D) hotspots were identified. Additionally, identification of the hazard-based result score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type of chemicals contributing to the discharge. Ethylbenzene accounted for ≥80% of the discharged chemicals in the discharge hotspots, while chromium accounted for >90% of the discharged chemicals in the hazard-based result score hotspots. Conclusions: The RSEI hazard-based result score is a quantitative indicator that considers the degree of impact on human health as a toxicity-weighted value. It can be used for the management of industries discharging chemical substances as well as local environmental health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