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해인자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도서관 실내 공기질 측정 및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Air Quality in a University Library)

  • 이재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635-65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S대학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측정 유해인자를 ① 공기 중 유해물질 ② 생물학적 유해인자 ③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이산화질소 농도로 구분하여 관련 기준과 비교하여 측정·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공기 중 유해물질인 미세먼지, 석면,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모두 관련 기준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유해인자인 공기 중 곰팡이, 그람음성박테리아, 엔도톡신 등도 특별한 문제를 찾을 수 없었다. 공기 중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농도도 일반 대기 중의 농도 대비 특이한 점이 없이 유지되고 있었다. 다만, 도서관은 다중이용시설로 주기적인 청소와 환기를 통한 환경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과 건강-여성근로자의 건강(2)-일부 유해인자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남녀비교

  • 이원철;이강숙
    • 산업보건소식
    • /
    • 제43호
    • /
    • pp.24-27
    • /
    • 1987
  • 여성근로자들이 작업장에서 당면하게 되는 건강문제들은 주로 화학적환경, 물리적환경, 육체적인 근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 등으로 구분되어 다루어지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연(lead) 과 유기용제 그리고 고열등은 이들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감수성이 다르다는 일반적인 견해들로 인하여 대표적으로 다루어지는 작업장 유해인자 들이다. 동시에 해부학적인 체격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근력 및 심폐기능과 관련된 지수들의 차이 역시 특히 물건을 다루는 작업(manual ha­ndling job)들에서는 문제시될 수 있으며 월경 및 임신도 작업수행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리라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이들 요인들이 실제로 어느정도 남녀에 대하여 다른 영향을 즐길 수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 PDF

치과위생사의 근무기관 유형별 유해인자 노출과 물질안전보건자료 인식 연구 (Dental Hygienist's Harmful Factor Exposure and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of Workplace Type)

  • 김해경;김지영;오나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40-549
    • /
    • 2018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3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하여 근무유형별 치과재료에 대한 유해전달 실태를 파악하기위해 병원 유형별 유해인자 노출시간 및 근무환경특성 차이를 비교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인지정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병원 유형별 유해인자 노출시간을 비교한 결과 병원의 경우 화학물질에서 발생하는 분진유발에 노출되는 시간이 가장 길었고, 레진충전, 소독제 접촉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재료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항에 대하여 '인지한다'고 답한 대상자는 병원근로자는 37명(29.4%), 14명(12.5%)로 나타났으며(p<0.001), 치과재료를 사용하기 전 MSDS를 읽어본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병원근로자는 18명(14.3%), 의원근로자는 6명(5.4%)으로 조사되었다. 사용하는 치과재료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비치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병원근로자의 경우 의원근로자에 비해 2.39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비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병원 유형별 특성에 맞게 화학물질의 건강상의 유해성에 대해 인지하고 안전보건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MSDS 정보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으로 근무환경이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며, 치과재료의 제품에 사용설명서 및 MSDS 화학물질 정보제공 관리가 강화하여 전략적 접근 및 근로자의 알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의 필요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