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치원 교육과정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6초

3, 4, 5세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생활영역별 발달경향 탐색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the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 최미숙
    • 아동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60
    • /
    • 2010
  •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and assess the development patterns of children, aged from 3 to 5, by means of a longitudinal approach. The children's developmental patter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five curriculum areas; physical health, social skills, expression, language, and exploration-. The developmental patterns are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period, children's ages, and their gend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8 children in A city. A research assistant was asked to observe and keep records of the children's behaviors at three distinct times -early, middle, and late in the school year. The 'observational scale for children'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The data which was thus collected was then subject to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ive curriculum areas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and observation period. That is, five-year-old children showed higher scores than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al development within five curriculum areas according to the children's gender and the observation period. That is, girls exhibited higher scores than boys.

사립유치원장의 교사 채용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eacher Recruitment Experience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

  • 변영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99-204
    • /
    • 2018
  •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 채용 시 고려하는 사항과 그 이유를 조사하여 대학(유아교육과)에게 성공적 취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원장 경력 10년 이상 사립유치원장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근거이론의 개방코딩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11개의 중심개념별 하위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4개요인(성격요인, 사회성요인, 인성요인, 전문성요인)으로 유목화 하였다. 연구 참여자 모두 성격요인에서는 성실성, 사회성요인에서는 대인관계안정성, 인성요인에서는 정직성, 전문성요인에서는 교육과정 수행 능력을 최우선 고려요인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좋은 인성을 지닌 교사가 성공적인 교사직무수행의 전건이라 지각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대학에서는 교과별 포트폴리오 제작 등을 통하여 재학 중 현장 밀착형 교육과 더불어 방학을 이용한 교육봉사활동 등의 제도화와 공동체 삶에 대한 역량개발을 위한 교양교과 개발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밖에도 전공역량 강화를 위한 현장중심형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재학 중 현장직무능력을 함양하도록 해야 함을 제기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유치원·초등학교정보교과내용 체계 제안 (A Proposal of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system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connection with the 2022revised curriculum)

  • 이영호;유인환;배영권;김우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91-505
    • /
    • 2022
  • 국내외적으로 정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정보 교육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교육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교육과에 재직하고 있는 교육대학교 및 사범대학교 교수와 교육과정 개발 경험이 있는 초등 및 중등 정보 교사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등 정보 교과와 연계성 및 위계성을 지닌 초등학교 정보 교육의영역,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 영역별 내용 요소 및 학년별 지도 내용에 대한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통해 초·중등학교의 정보 교육에서 연계성을 확보하였으며, 디지털 리터러시의 내용 요소를 각 내용 영역에 포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 내용 체계는 향후 초등학교의 인정교과서 개발 및 정보 교과 독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 가능성 (How to use Board Gam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 김태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47-15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중심, 놀이 중심 활동과 관련하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보드게임 활용의 적절성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고, 영역별 활동사례를 통해 유아용 보드게임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의 이론적 근거로서 첫째,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근거하여 구체물을 사용한 놀이활동으로써의 가치,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인 경쟁과 보상을 통한 유아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 셋째, 누리과정 전 영역에 걸친 통합적 경험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용 보드게임의 통합적 활동사례를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장단점과 유의점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놀이활동의 가능성과 시행 방향에 대해 논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동 구성 및 새로운 보드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Strengths-Based Happiness Promo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미진;김병만;황해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01-221
    • /
    • 2014
  • 본 연구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사로서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유치원교사 89명과 어린이집교사 95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강점과 행복에 대한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본 결과, 성격 강점에 대한 인식 정도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모두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에 비해 유치원교사가 행복 증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 목적, 운영자, 실시주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 유아교육기관, 교사 차원의 노력,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 프로그램 적용 시 필요한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에 기반한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중심으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 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 (The Curriculum Need for a Public Child-care Teacher)

  • 정다운;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47-168
    • /
    • 2012
  • 본 연구는 현장 중심의 어린이집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사, 원장, 보육관련학과 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직무요구조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는 빈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 ANOVA 검증 및 Sch$\acute{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공공형 어린이집에서는 전문대 출신 보육교사에 대하여 채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채용 시 성실성과 수업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 및 교사들은 보육교사 자격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데 비하여 재학생들은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과 각종 실기관련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차이를 보였다. 둘째, 원장과 재학생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아동보호 및 안전 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교사들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시설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보육현장중심의 교육과정개발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인식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조유진;배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06-813
    • /
    • 2021
  •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을 분석함으로써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지역의 공, 사립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원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과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평가방법, 평가결과활용, 평가목적 순으로 차이를 인식하였다. 인식에 관한 항목의 일부는 교사의 교육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들은 '자율성'을 유아평가의 중점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유아평가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평가를 위한 요구는 양방향적 동료 간 워크샵, 평가사례 공유, 연수 및 컨설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서 유아평가를 담당하는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유아 교사들의 창의성교육에 관한 개념을 인식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Perceiving Creativity Concept by Kindergarten Teachers)

  • 장인희;김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5-3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유아 교사들이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과정에 관하여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면접대상자는 서울 소재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교사 4명이며,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하여 면접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중 木下(기노시다)의 수정근거이론(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가 집단이라 할 수 있는 유아 교사들은 독특한 사고, 풍부한 표현력 등이 창의성교육의 핵심개념이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주로 아이들과의 직접적인 만남이 이루어지는 학습, 누리과정 교수 등을 통해서 창의성 개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보다 앞서 수행된 초 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성 개념을 탐색한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유아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관하여 상당히 일치된 핵심개념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분야에서는 비교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개념이 일관성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유아들에게 개념 및 교수방법 등이 양호하게 잘 전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원화된 유아교사(유치원.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교사효능감 및 일원화에 대한 인식 : 교사의 대학전공과 근무기관에 따른 비교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in the Current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 A Comparison Across Subjects by College Major Degree and Work Place)

  • 김선영;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5-2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terms of their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ose differences which were revealed were found between the subjects by their college major degree and place of employment. The 598 teachers who serv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and t-tes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ubgroups by college major degree in teaching efficacy and perceptions regarding the integration system. In addition, the subjects from child care centers had higher levels of teaching efficacy than their counterparts in other work environments, even though they had majored in the same subj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화재안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Preventing Fire Accident of Young Children)

  • 윤선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12-1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화재로 인한 피해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미국의 화재안전교육 프로그램과 우리나라의 화재안전교육의 법적 근거를 고찰하여 유아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화재안전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 첫째, 우리나라 아동의 화재 및 화상사고로 인한 사망률이 영국, 독일, 스웨덴에 비해 높았다. 둘째, 우리나라 유아화재안전교육은 아동복지법, 유치원교육과정, 표준보육과정에서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법으로 명시하고 있다. 셋째, 유아 화재 사고 예방을 위해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화재안전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다양한 시청각 매체와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체계적인 유아 화재안전교육을 위해 교사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는 화재안전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