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치근 흡수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의도적으로 남겨진 유치근 파절편의 예후 (THE PROGNOSIS OF INTENTIONALLY RETAINED ROOT FRAGMENT OF PRIMARY TEETH)

  • 이숙희;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6-161
    • /
    • 2007
  • 소아치과 임상에서는 외상성 손상에 의하거나 발치 도중 우발적으로 유치의 치근이 파절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경우 임상의들은 치근 파절편을 발치할지, 남겨둘지에 대해 간혹 고민하게 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잔근이나 파절편의 발치 시도가 계승치 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치근 파절편을 남겨두는 것이 추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치 잔근이나 파절편을 술자 의도적으로 잔존시킨 경우, 계승치의 맹출경로에 장애를 가하지 않고 소멸될 것인지의 예후를 확인해 볼 목적으로 잔근이나 치근 파절편을 의도적으로 남긴 3세 8개월${\sim}6$세 1개월 어린이 6명을 대상으로 $7{\sim}37$개월 동안 $2{\sim}3$개월 주기의 내원을 통하여 임상검사와 방사선검사를 시행하고 예후를 장기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5 증례에서 치근측 파절편은 생리적인 흡수과정을 통하여 크기가 축소되거나 소멸되었고, 1 증례에서는 계승치와 함께 밀려 출은하였으며 계승치의 맹출을 현저하게 지장을 초래한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관찰을 통하여 치조골 내에 남은 유치근 파절편이 계승치배에 근접한 경우, 이를 무리하게 발치하려 시도하기보다는 치배의 손상 가능성을 고려하여 잔존시키고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흡수 여부를 판단하며 예후 관리를 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하악 제 2 유구치 근관 만곡의 방사선학적 계측 (THE RADIOGRAPHICAL MEASUREMENT OF ROOT CANAL CURVATURE OF MANDIBULAR PRIMARY 2ND MOLARS)

  • 김영종;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7-642
    • /
    • 2003
  • 유치근의 치근이개와 만곡에 관련된 형태학적 특성은 치열교환기의 치근 흡수 및 근단 병소의 양상을 결정지을 뿐 아니라, 성공적인 치수치료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하악 제 2유구치 근관 만곡의 각도, 반경 및 만곡 시작점을 측정해 봄으로써, 유치근과 근관의 해부학적 형태를 정밀 분석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재료로는 $3{\sim}6$세의 어린이의 제 2 유구치 구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 50매를 사용하였다. 근단공이 미완성이거나 흡수된 것을 제외하고, 방사선상의 왜곡이 적으며 근관 형태의 판독이 가능한 것을 선택하고, 자료를 digital image화하여 이미지 분석용 software Scion Image Beta 4.02 (Scion Co. USA)를 이용하여 만곡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Schneider법에 의해 만곡도를 측정하고, Schaefer 등의 방법에 의해 만곡반경을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만곡개시거리를 측정하고 근원심근 간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 2유구치의 만곡도는 근심근에서 $17.3^{\circ}{\pm}5.0$, 원심근에서 $27.9^{\circ}{\pm}6.0$로 원심근에서 크게 나타났다(p<0.05). 2. 만곡반경은 근심근에서 $8.7\;mm{\pm}2.5$, 원심근에서 $5.8\;mm{\pm}1.5$로 근심근에서 크게 나타났다(p<0.05). 3. 만곡개시거리는 근심근에서 $4.1\;mm{\pm}0.6$, 원심근에서 $4.2\;mm{\pm}0.6$로 양 근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유치 치주인대 신경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A DOG'S PRIMARY TEETH)

  • 이원재;구대학;배용철;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39-455
    • /
    • 1994
  • 생리적 치근 흡수가 뒤따르는 유치 치주인대의 신경분포 및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생후 1, 2. 3. 4. 5개월된 개의 유치 치주인대와 9개월된 영구치 치주인대를 대상으로 neurofilament protein(NFP) 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bullet}$ 유견 유치의 치주인대 신경분포는 치근단 1/3 부위에서 가장 밀집되어 있었으며 치근 중앙부로 향할수록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전체적으로 그 분포밀도 및 분지 정도는 영구치와 비교시 약한 양상을 나타냈다. ${\bullet}$ 구치부에 비해 전치부에서 신경분포가 보다 발달된 양상을 보였으며 구치 치근이개부 치주인대에서는 신경섬유가 관찰되지 않았다. ${\bullet}$ 유치근이 흡수됨에 따라 신경분포 정도도 감소되었으며 탈락시기의 치근 주위에서는 신경섬유를 관찰할 수 없었다. ${\bullet}$ 치은점막상피의 신경지배는 치아가 발육함에 따라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설측점막이 순측점막보다 더 발달된 신경분포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bullet}$ 유치 치주인대 신경말단 형태는 수지상의 신경말단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형적인 Ruffini 신경말단은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신경섬유의 분포는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더우기 유치의 생리적 치근흡수에 따른 치주인대에 신경섬유의 분포 및 변화는 유치의 성장발육에 따른 하나의 변화라고 생각된다.

  • PDF

교합 거상 금관이 어린이 교합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TE RAISING METAL SPLINT ON DEVELOPMENT OF CHILDREN'S OCCLUSION)

  • 신정근;김재곤;양연미;이선영;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1-108
    • /
    • 2005
  • 혼합 치열기에서 유치의 탈락 및 영구치의 맹출 과정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맹출 중인 치아는 인접치 유무, 유치의 흡수속도, 유치의 조기상실, 만기잔존, 국소병소나 입술, 혀, 저작근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 사이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인접치 간의 관계가 변하고 심각한 부정교합이 초래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유치열 및 혼합치열을 가진 어린이들에서 상하악 구치부 교합면에 접착된 교합 거상 금속 스플린트(bite raising metal splint)가 치열에 미친 영향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스플린트로 인한 유치의 만기잔존으로 영구치 맹출에 방해를 받거나, 전치부 개방교합, 제 1대구치의 저위 맹출 등 혼합 치열기 발달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치료로써 고속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스플린트를 제거하고 주기적 점검을 통해 교합변화 및 영구치 맹출 양상을 관찰하였다.

  • PDF

Ferric sulfate를 이용한 유치치수절단술의 3년 후 임상평가 (THREE-YEAR FOLLOW UP OF FERRIC SULFATE PULPOTOMY IN PRIMARY MOLARS)

  • 윤연희;장기택;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8-43
    • /
    • 2002
  • 15.5% ferric sulfate solution을 이용하여 유치치수절단술을 시행한 유구치의 상태를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평가를 하여 이를 20%로 희석한 formocresol로 치수절단술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서 치료를 받은 건강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ferric sulfate를 이용한 치수절단술을 치료받은 30개의 치아와 20%로 희석한 formocresol로 치수절단술치료한 23개의 치아, 총 53개의 치아를 평균 34개월 후 follow-up하여 그 임상적, 방사선학적 상태를 조사하였다. ferric sulfate군의 전체적인 성공률은 80.0%이었고, formocresol군의 성공률은 81.0%이었다. 두 군의 결과 차이를 카이제곱검정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ferric sulfate군의 4개와 formocresol군의 4개의 치아가 외흡수를 보였고 근단부 치조골파괴는 ferric sulfate군의 3개와 formocresol군의 2개에서 보였다. ferric sulfate군과 formocresol군 사이의 성공률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