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질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유질문제 목장에 대한 해결방안(II)

  • Mun, Jin-San
    • 월간낙농육우
    • /
    • v.26 no.2 s.286
    • /
    • pp.102-113
    • /
    • 2006
  • 원유의 가격은 생산된 양과 질적인 수준에 의해서 결정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잔류물질검사 등에 의한 불합격 원유를 포함하여, 유지율, 세균수, 체세포수에 따라서 유대가 차등 지급되고 있다. 따라서 낙농가들의 가장 큰 관심 사항은 유대 수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동안 국내 낙농가들의 부단한 노력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많은 농가가 세균수 1A, 체세포수 1등급, 유지방 4.3%로서 최고의 유대수입을 받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농장에서는 유질저하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받고 있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그 동안 오랫동안 유질 관련 업무를 수행하면서 낙농가로 하여금 가장 많이 질문 받았던 내용들 중에서 유질향상과 관련되는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내용들을 문답식으로 재정리해 보았다. 지난 호에 이어 다루고 있는 본 원고가 귀하의 목장 유질관리에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하절기 유질저하 예방 및 착유기 관리

  • Mun, Jin-San
    • 월간낙농육우
    • /
    • v.26 no.7 s.291
    • /
    • pp.152-157
    • /
    • 2006
  • 하절기에는 이등유에 의한 납유정지. 서균수 및 체세포수의 증가에 따른 위생등급 하락. 0.2% 정도의 유지율 저하 및 10% 이상의 산유랑 감소에 의하여 일년 중 유대 수입이 가장 적은 계절이다. 이러한 유질저하 및 산유량 감소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목장 규모 및 사양관리수준에 의해서 수십만원에서부터 수백만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낙농가에 있어서는 가장 힘든 계절이다.

  • PDF

유방건강자료 운영의 원칙과 방법

  • 손봉환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5 no.1
    • /
    • pp.36-42
    • /
    • 1999
  • 감시는 유방건강자료의 알맞은 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판단이다. 감시는 꼭 필요한 노력과 근원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똑같이 엄청난(확실한) 문제점 지역에서 할 수 있다. 감시는 농장에서 장기간 유방건강관리가 필요 하다는 것에 긴장을 가져야 한다. 다른 곳으로 주의가 갈 수 있다는 것에서 많은 영향이 있을 수 있다. 감시는 정확한 행동동기가 있어야 한다. 감시는 유방염관리 권장이 적용되는 것과 같이 유질에서 향상의 직접적이고 시간 코스가 문서로 외기 위한 돌봄이 있어야 한다. 유방건강자료의 알맞은 관리 없이는 유방건강과 유질에 대한 지속적인 최고의 기록은 성취되기 힘들다.

  • PDF

친환경농업 - 목단피 추출물을 이용한 어미돼지 유질개선

  • Kim, Yeong-Hwa
    • 농업기술회보
    • /
    • v.50 no.2
    • /
    • pp.26-27
    • /
    • 2013
  • 우리나라의 2010년 연간 모돈 당 비육돈 출하두수는 16.5두로 양돈 선진국인 네덜란드 24.7두의 67% 수준으로 매우 낮다. 이는 산자수가 낮고 이유 후 폐사율이 높기 때문이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항생제 사용도 2011년 7월부터 전면 금지되었기에 농촌진흥청에서는 이유 후 새끼돼지의 폐사율을 줄일 수 있도록 어미돼지의 유질을 개선할 수 있는 항생제 대체물질 목단피 추출물 사료첨가제를 개발하였다.

  • PDF

캐나다 유질, 유방염에 대한 반성과 개선

  • 손봉환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6 no.1
    • /
    • pp.47-55
    • /
    • 2000
  • 캐나다 낙농산업은 전체적으로 원유가 농장에서 떠나기 전에 향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유질에 영향을 주고 있는 유방염과 같은 질병에 대한 지식, 치료결정의 개선을 위한 축산 약품의 안전사용, 정확함 그리고 협정된 기술은 그들의 현 실행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생산자에게 허용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그들은 새로운 문제점과 어떤 상태가 증가되는 때에 적응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타리오 주에서는 몇 가지 특수교육계획을 만들어 발전시키고 또한 그 목표가 달성되었다. 생산자들은 그들 자신의 기업에 대한 더 많은 지식을 갖을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영향을 주고 그들 산업의 장래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소비자들과 세계무역의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가져야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