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양식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Genetic Variability Comparison of Wild Populations and Cultured Stocks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ased on Microsatellite DNA Marker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연 집단과 양식 집단의 유전학적 다양성 비교)

  • Jeong, Dal Sang;Noh, Jae Koo;Myeong, Jeong In;Lee, Jeong Ho;Kim, Hyun Choul;Park, Chul Ji;Min, Byung Hwa;Ha, Dong Soo;Jeon, Chang Young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1 no.4
    • /
    • pp.221-226
    • /
    • 2009
  • Six microsatellite DNA marker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variability between wild populations and cultured stock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he average of observed (Ho) and expected heterozygosity (He) ranged from 0.722 to 0.959, and from 0.735 to 0.937, respectively. There was no distinguishable difference between the wild populations and cultured stocks in terms of the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ies. However, number of alleles per locus differed markedly between the two fish groups: 19.7 to 21.8 for the wild populations and 12.0 to 14.7 for the cultured stocks. This result gives important information concerning the production of seedling for the improvement of genetic diversity in this species.

RAPD marker를 이용한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 분석

  • 장요순;노충환;홍경표;명정구;김종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4-34
    • /
    • 2003
  • 한국산 선발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과 이들 두 계통간 잡종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를 탐색하였다. 10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200개의 random primer 분석을 통하여 polymorphic pattern을 나타내는 23개의 random primer를 선발하였으며, 각 primer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OPA-11 primer는 크기가 각각 600 bp, 650 bp 및 750 bp 인 3개의 DNA 단편에 의하여 4개의 genotype을 나타냈으며, 각 genotype의 빈도는 집단간차이를 보였고, 한국산 선발계통 집단에서는 4개의 genotype이 모두 발견되는 반면, 일본산 양식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을 포함한 교배집단에서는 특정 genotype만 발견되었다. OPA-11 primer 유래의 polymorphic DNA 단편을 cloning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primer를 제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참돔집단의 유전적 특성 파악 및 집단 구별에 RAPD marker를 활용하였으며, 참돔 육종시 형질 및 기능관련 DNA marker 탐색에 적용하기 위하여, 이후의 연구에서는 SCAR과 RFLP 분석에 RAPD marker를 이용하여 100% 정확도를 갖는 RFLP maker를 찾고, MAS (Marker-Assisted Selection)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The Application of Genome Research to Development of Aquaculture (양식산업에 발전을 위한 유전체 분석 기술 적용)

  • Lee, Seung Jae;Kim, Jinmu;Choi, Eunkyung;Jo, Euna;Cho, Minjoo;Park, Hyun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6 no.2
    • /
    • pp.47-57
    • /
    • 2021
  • In the fishery industry, global aquaculture production has stagnated due to overfishing of aquatic products, restrictions between countries, and climate change. The aquacultur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blue revolution that can be expanded in a new way. The aquaculture industry now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fishery products from the sea as a raw material for seafood for human consumption. Various latest biological research methods are being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aquaculture industry. Genomics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recent years. Since the genome sequence of Atlantic cod was sequenced in 2011, the genomes of more species have been sequenced. The genome information is providing a more robust and productive knowledge base for the aquaculture industry, including breeding and breeding of superior traits, improving disease resistance quality, and optimizing aquaculture feed and feed methods. This review looked at the status of genome analysis technology and the current status of genome research of aquaculture species. The development of genome research technology and massive genomic information is important in solving the challenges of the aquaculture industry and will help sustainable fisheries and aquaculture.

성의 제어

  • 한국양식학회
    • Korean Aquaculture
    • /
    • v.14 no.1
    • /
    • pp.88-95
    • /
    • 2002
  • 많은 척추동물의 성비는 1:1이며 암수는 각 세대에 거의 같은 수가 태어난다. 생식 행동도, 암컷만이 집단을 형성하는 대형 포유류 등을 제외하면, 암수 1:1로부터 차세대가 재생산 된다. 야생 집단에서는 같은 수의 암수를 전제로 대부분의 생태가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되어 지기 때문에, 차세대의 유전적 영향도 암수에 의한 차는 일반적으로 없다. 그러나, 축산을 비롯한 산업 동물에서는 상품 가치, 생산 효율, 재생산 등에 암수의 성에 따른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암수 어느 한 쪽이 선택.사육되는 경우도 있다. 낙농의 암컷 소, 양계업의 암컷 병아리의 선택은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가축에서는 육종 목적으로 유전적으로 우량한 소수의 수컷으로 많은 암컷과 교배시키는 경우가 있고, 극단적으로 치우친 성비로 재생산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산업동물에서는 성 제어의 유용성이 예상되어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산업 생산의 대부분은 자연 번식 집단으로부터의 어획물로 되어 있어, 이것들의 성 제어가 곤란하며 무의미하다. 그러나, 양식 대상종 및 종묘 방류를 행하는 재배어업에서는 그 기술 도임에 의한 효과가 기대된다. 인위적 재생산 기술이 확립되어 있는 어종에서는 양식, 증식을 불문하고 기술 개발과 도입여부를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재생산 기술이 확립되어, 양식 및 인공 부화 방류가 활성화된 연어.송어과 어류의 성 제어 기술 개발 상황과 실용화의 현상을 논하겠다.

  • PDF

대하의 자연산과 인공종묘의 유전적 변이성 및 방류효과

  • 한현섭;장인권;임현정;박영제;김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5-186
    • /
    • 2003
  •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 는 주로 중국의 북부 및 발해와 우리나라의 남ㆍ서해에 서식하는 보리새우과의 고급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약 3,000톤 정도가 양식으로 생산되어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식지에서의 남획과 환경의 악화, 양식 새우에 대한 바이러스 질병 등으로 어획량 및 양식 생산량이 매년 감소되고 있어서, 이 종에 대한 효율적 관리와 자원 조성을 위한 생물학적 및 유전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