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저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GUI Testing Method base on Scenario for Mobile Application Software (시나리오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GUI 테스트 방법)

  • Hwang, Sun-Myung;Kim, Jung-J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3
    • /
    • pp.681-689
    • /
    • 2008
  • Graphic User Interface(GUI) of mobile application is the working environment exchanging informations and almost functions on mobile are operated by it.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to develop reliable mobile software, GUI test is absolutely need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scenario based GUI test method and automatic tool(MoGuT). The MoGuT can detect the functional faults using scenarios and operate in SKVM environment.

A Method of Arrangement of Voice and Sound : For User Interface of Domestic Appliance (음성과 소리의 할당 방법 : 가전제품 UI 를 중심으로)

  • Hong, Ji-Young;Chae, Haeng-Suk;Lee, Seung-Yong;Park, Young-Hyun;Kim, Jun-Hee;Ryu, Hyung-Su;Kim, Jong-Wa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478-483
    • /
    • 2007
  • 본 연구는 가전제품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음성 신호와 청각 신호의 최적 할당 방법을 기술하였다. 가정에서 수시로 접하는 가전제품에서 음성 유저 인터페이스(Voice User Interface, 이하 VUI) 는 음성을 매개로 일어나는 인간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음성 유저 인터페이스의 단독적 적용보다는 소리 신호와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들의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F.G.I, 실험, Depth Interview 를 수행하여 가전제품의 음성 생성 및 표현 인터페이스에서 음성과 소리 신호의 배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 조사 및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최적의 할당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Extract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for Integrated Interface Construction of the Network Electronics (네트워크 가전의 통합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조작방법의 특성 추출)

  • Hong, Sang-Hui;Kim, Hye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102-105
    • /
    • 2008
  • 본 연구는 근미래에 실현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되는 홈 오토메이션 시대에 대비하여, 유저의 사용편의성 향상과 메이커 입장에서의 디자인전략 수립을 위한 홈 네트워크 정보가전의 통합형 유저 인터페이스 구축을 목표로, 대표 메이커의 홈 네트워크에 대한 현황파악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테이션 의존형 시스템 구축', '조작성의 향상', '기기 간의 친화성 향상'의 필요성 규명과 함께, 네트워크 가전의 인터페이스 구축의 개념 모델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유저 인터페이스의 통합화가 가능한 기종의 선별과 네트워크 가전으로서의 조작방법상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총 34개 제품에 대한 38가지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 가전제품은 크게 4가지의 조작방법에 따른 총 7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중 Full Control과 Remote Control, Non Control, Simple Control, Direct Control의 5개 그룹에 속하는 정보가전제품들이 홈 네트워크 가전에 적합하며, 공통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그 제품군들의 통합형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공통조작 요소로 Direct Control과 Simple Control, Non Control이 적합하다는 점도 규명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aptable User Interfaces Generation System for Devices (장치 적응력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Young-Tae;Kim, Chi-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317-320
    • /
    • 2005
  • 웹 기반 정보시스템들은 무선 장치를 사용하여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클라이언트 장치와 사용자, 사용자 작업에 대한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의 적합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자가 고 수준 마크 업 언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장치와 사용자, 사용자 작업에 적합한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명세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접근방법을 통한 단일 인터페이스 명세는 실행 시에 다양한 웹 장치, 사용자, 작업에 대하여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개발에 유연성과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 PDF

Touch User Interface of Relative Coordinate Style based on Drag and Diversion Operations (드래그 및 방향전환 동작 기반의 상대좌표형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

  • Paik, Jung-Hoon;Choi, Kyung-S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
    • /
    • pp.89-98
    • /
    • 2011
  • In this paper, a new touch user interface which is based on the hand operations of dragging and diversion is presented. With it, convenience and quickness for inputting of texts as well as searching and selecting of multi-layered menus are improved. The new interface also applies relative coordinate systems which display texts on the touch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oving of touch location. It accommodates more text codes than those in conventional fixed coordinate systems which allocates texts to fixed location on touch screen. The suggested interface is implemented to IPTV remote control and set-top box to prove its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Android Platform based Gesture Recognition using Smart Phone Sensor Data (안드로이드 플랫폼기반 스마트폰 센서 정보를 활용한 모션 제스처 인식)

  • Lee, Yong Cheol;Lee, Chil Woo
    • Smart Media Journal
    • /
    • v.1 no.4
    • /
    • pp.18-26
    • /
    • 2012
  •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smartphone applications has enforced the importance of new user interface emergence and has raised the interest of research in the convergence of multiple sens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the convergence of acceleration, magnetic and gyro sensors to recognize the gesture from motion of user smartphone. The proposed method first obtain the 3D orientation of smartphone and recognize the gesture of hand motion by using HMM(Hidden Markov Model). The proposed method for the representation for 3D orientation of smartphone in spherical coordinate was used for quantization of smartphone orientation to be more sensitive in rotation axi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success rate of our method is 93%.

  • PDF

Development of Casual MMORPG for Pre-Teenagers -Focus on UI- (유소년층 타깃의 캐주얼 MMORPG 개발 -UI를 중심으로-)

  • Yoo, Wang-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2
    • /
    • pp.125-131
    • /
    • 2008
  • When developing MMORPG targeting pre-teenagers, developer has to consider the users' psychology and physiology characteristics. In the product of endless decision making in the game play, pre-teenagers make improvised choice and make intuitional decision. Therefore, based on users understanding, the Alpha version of online game has been shown and examined its usability through FGI. In conclusion, the game interface integrating with story-telling based leads the users more into the game. Also, it is more important to post in game screen layout by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or frequency in using In addition, it is inspected that when users control the interface mentioned above, the response had to be quick and precise.

Improvement of user interface design optimized for tablet PC environment (태블릿PC 환경에 최적화된 웹사이트의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선)

  • Oh, Hyoung-Yong;Min, Byoung-Won;Oh, Y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69-70
    • /
    • 2011
  • 웹표준 준수가 미비한 국내 모바일 인터넷 환경에서는 자유로운 인터넷 서핑이 어렵고, 국내 웹사이트의 대부분이 사용성이나 접근성 보다는 다양한 기능과 화려한 디자인에 주력하여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서 접속시 사용성 및 접근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성과 접근성을 고려한 웹 인터페이스를 제안함으로써 기업과 사용자들에게 모바일 환경에서도 쉽게 웹사이트 접근할 수 있도록 개선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구대상인 (주)링크소프트의 웹사이트에 적용하여 향후 기업 모바일 웹사이트를 개발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유저 인터페이스(UI) 디자인 적용방향관한 지침을 제공한다.

  • PDF

Application Research on Flat Graph in Mobile Phone Interface (매체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플랫화 도형의 응용 연구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 Li, qi-hang;Lee,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99-400
    • /
    • 2016
  •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디자인 언어 플랫 스타일로 디자인 변경에서 실현되기 시작에서 최근 많은 회사들이 휴대폰을 시작했다. 문헌 검색 및 웹 검색 후,휴대폰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플랫화 도형과 스큐어모피즘화 도형의 비교.목적은 플랫 디다인과 스큐모프 디자인의 휴대폰 UI화면 응용의 특점과 원칙을 비교 분석하여 휴대폰 UI화면에서 의 플랫 도형의 우세와 열세를 발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고하는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