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입연결로

Search Result 33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Backflow Flow Analysis of Street Inlet drain using Fluent Model (빗물받이 연결관 역류 흐름 해석을 위한 Fluent 모형 적용)

  • Lee, Min Sung;Kim, Jung Soo;Yoo, In Gi;Yoo, Kyu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5-245
    • /
    • 2022
  • 최근 국내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시간당 강우량의 증가로 도로부 유출량의 증가와 배수관거에서의 내수배제 불량에 따른 도심지 내수침수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대단위의 지하 저류시설의 지속적인 설치는 과밀화된 도심지에서 설치 지하공간의 구조적인 한계 및 적정 설치 위치의 미확보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여 저류시설의 침수저감 효과에 대한 추가적이고 새로운 저류시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내수 침수 저감 및 배수 능력 향상을 위한 도로 배수시설과 연계된 도로 측구부 저류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역류 방지 및 노면수 저류 빗물받이에 적용되는 부력식 역류차단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역류차단장치의 최적 형상 개발을 위해서 기존 빗물받이 연결관과의 통수능 비교 및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빗물받이 연결관 및 연결관 내에 역류차단장치가 적용된 역류차단 빗물받이의 흐름분석을 위해 Fluent 모형을 이용하여 3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구성으로는 전체 형상을 40×50cm의 빗물받이 유입부와 50×50cm의 빗물받이로 결정하고 격자는 빗물받이 내부의 복잡한 3차원 흐름을 모의하기 위해 1.2~2mm 크기로 생성하였다. 다상유동 해석을 위해 VOF(Volume of Fluid)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난류 모형으로는 SST k-𝜔모형을 적용하였다. 해석조건으로는 김정수(2021) 등이 제시한 4차선 기준 설계빈도별(5~30년) 빗물받이 유입유량을 산정하여 빗물받이 유입조건으로 선정하였으며, 빗물받이와 연결관에서의 통수능력 분석 조건으로는 빗물받이에 기존 연결관이 부착된 조건과 연결관 내에 역류차단장치가 설치되어 역류차단장치가 개방된 조건에서의 통수능을 비교하였으며, 역류상황을 가정한 연결관에서의 통수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역류차단장치의 개폐정도를 15도(통수단면 33%감소) 닫힌 상태 및 30도(통수단면 67% 감소) 닫힌 상태 조건을 대상으로 빗물받이와 연결관에서의 흐름을 모의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역류차단장치의 계폐조건에 상관없이 5년 빈도유입량 조건에서는 완전 배수가 되었으며, 개폐조건 15도에서는 10년 빈도의 유입량에서는 완전 배수가 되었으나 20년 빈도 이상의 유입량 조건에서 빗물받이 유입부로의 역류가 발생하였으며, 개폐조건 30도에서는 5년 빈도 이상 유입량 조건에서 빗물받이 유입부로 역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년 빈도 이상의 유입량부터는 빗물받이 연결관 내에 역류차단장치 개페조건과 관계없이 빗물받이 유입부로의 역류로 인한 도로 침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휴공간인 도로 측구부를 저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로 측구부 저류시스템의 구축은 필수적이라고 판단되며, 유량 조건에 따른 빗물받이 내부 와 흐름과 유출부에서의 유속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측구 저류조 개발 형상과 연결한 3차원 흐름의 구현 및 분석에 Fluent 모형의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Density Predictive Model within the On-Ramp Merge Influence Areas of Urban Freeway - Based on the Beonyoungro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 (도시고속도로의 유입연결로 합류영향권내 밀도추정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번영로를 대상으로 -)

  • Kim, Tae Gon;Pyo, Jong Jin;Kwon, Mi Hyun;Jo, In K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287-293
    • /
    • 2008
  • Density is used as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within the ramp junction influence area suggested in the KHCM 2005 in the LOS analysis of the ramp junction, and also density predictive models suggested in the KHCM 2005 is constructed based on the expressway with the speed limit of 100km/h or 110km/h in Korea. So, the density predictive models suggested in the KHCM 2005 are needed to verify if the models could be applied to the urban freeway with the speed limit of 80km/h or less, because the speed limits on most of the urban freeways in Korea are 80km/h or less.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d verify the appropriate density predictive model within the on-ramp merge influence area of the urban freeway by comparing with the USHCM 2000 and KHCM 2005 models.

Experimental Study about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Open Channel Bifurcation (개수로 분기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Dong-Kee;Kim, Chang-Wan;Rhee, Dong-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86-1290
    • /
    • 2006
  • 방수로는 홍수 피해 경감을 사용되는 구조적 대책으로 최근 국내에서 널리 계획되고 있다. 이러한 방수로는 대체로 보통 횡월류위어 등으로 대표되는 유입부 구조물을 통하여 본류에 연결되지만, 평상시에도 본류의 유량을 일부 분담하는 형태로 설계되는 젖은 하도(wet channel) 형태의 방수로는 별도의 유입부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바로 본류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유입부 구조물을 통해 연결되는 방수로의 특성은 유입부 구조물의 수리학적인 특성에 의해서 많이 좌우된다. 이에 반해 젖은 하도 형태의 방수로는 방수로의 폭(W), 방수로 유입되는 흐름의 유입각$(\theta)$등에 의해서 많이 좌우되며, 만약 설계된 방수로의 횡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따른다면 이러한 흐름은 '제한된 영위어고 횡월류위어 흐름(restricted zero-height side weir flow)'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의 흐름은 일반적인 횡월류위어에서의 흐름과 상당히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수로 분기 조건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실험 수로를 설치하여 방수로 폭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분기 조건의 변화에 따른 분수로 유입부분에서의 수리학적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Flow Analysis in Road Gutter Storage Using Fluent Model (Fluent 모형을 이용한 도로 측구 저류조에서의 흐름 분석)

  • Kim, Jung Soo;Lee, Min Sung;Han, Chyung Such;Yoo, In 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4-234
    • /
    • 2022
  • 도로에서의 우수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빗물받이 및 연결관 등의 노면 배수시설이 설치되고 있으며, 노면 배수는 측구부를 통해 흘러 빗물받이 유입부로 차집되고 연결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배수된다. 그러나 최근 국내 기상패턴의 변화로 국지성 집중호우와 같이 시간당 강우량 증가로 도로부와 저지대에서 배수시설의 배수불량에 따른 도심지 내수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다양한 우수관거 개선사업, 빗물펌프장, 지하저류조와 같은 방재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나 우수유출저감시설은 대규모 예산이 소요되고 실제 침수지역에 피해 저감효과에 대한 효용성 문제에 대한 제기뿐만 아니라 과밀화된 도심지에서는 지하공간 활용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므로 도심지의 다양한 공간을 활용한 도시 배수 및 저류시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휴 공간인 도로 측구부 공간을 활용하여 도로 노면수를 저류 및 지체할 수 있는 노면수 측구 저류시설의 개념을 제시하고 측구저류조의 활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빗물받이 유입구, 빗물받이, 측구 저류조 및 빗물받이와 측구저류조 연결부에서의 노면수 유입, 유출 및 저류 등의 다양한 흐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Fluent 모형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수치모의 전체 형상은 50x50cm 크기의 빗물받이를 기준으로 양쪽에 2m 길이의 측구 저류조를 원형관으로 연결하여 1/5 축소모형으로 구성하고 격자는 빗물받이 유입부, 빗물받이 및 측구 저류조 내부의 복잡한 3차원 흐름을 모의하기 위해 사면체와 육면체로 조밀하게 생성하였다. 다상유동해석을 위해 VOF(Volume of Fluid)방법을 적용하였고,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난류 모형으로는 SST k-ω모형을 적용하였다. 수치모의 조건으로는 설계빈도별(5~30년) 우수유출량을 산정하여 유입 유량별 기존 빗물받이 유입부에서의 유입흐름, 빗물받이 내부에서의 와 발생흐름, 측구 저류조 및 연결관에서의 흐름을 구현하여 분석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빗물받이 유입부에서 연결관을 통한 측구 저류조로 유입되는 유입흐름과 빗물받이 하단부의 배수관을 통해 유출되는 흐름을 정상적으로 구현하였으며, 빗물받이 유입부 및 측구 저류조 연결관에서의 유속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빗물받이와 측구 저류조에서 다양한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Flunet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향후 수리실험을 통하여 실제 흐름과의 매개변수 최적화 및 다양한 도로 조건의 변화를 고려한 수치모의 분석을 통하여 지속적인 모형의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지의 발생에서 방지까지⑥

  • 허광무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36 no.4
    • /
    • pp.19-24
    • /
    • 2002
  • 통신기기의 앞뒤에 서지방지기를 설치하고 서지방지기의 접지선을 통신기기에 연결하지 않고 서지방지기끼리 연결하고 한쪽의 접지선으로 유입된 서지가 다른 서지방기기의 접지선으로 전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선로에 유입된 서지를 기기를 우회하여 다른 회선으로 흐르게 하는 방식이다.

  • PDF

Effect of tunnel connection on turbid water transport: Intake control (댐간 연결터널에 의한 탁수거동 해석(1): 취수설비 운영)

  • Jung, Kwang-Wook;Jung, In-Gyun;Kang, Chang-Seok;Yoo, Dong-Bae;Koo, B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64-564
    • /
    • 2012
  • 유역내에서 발생한 고탁수는 저수지로 유입됨으로써 용수 공급에 지장을 초래하고, 수환경 악화 및 하류지역의 정수비용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사회, 경제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다목적댐은 홍수기에 탁수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탁수문제는 수중생태계를 파괴하고, 상수원을 오염시키며, 물이 가지는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잦은 이상 집중강우 현상 때문에 탁수의 장기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중요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댐의 연결사업은 탁수의 인위적인 외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절을 통해 그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댐에서 물의 밀도는 온도, 염도 및 탁도 등의 변화로 인하여 일정하지 않고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혼합되지 않고 밀도와 두께가 다른 층에 분리되어 존재한다. 여름철 집중 강우 시 유입되는 고탁수층은 저수지의 밀도성층으로 인하여 표수층 하부에 위치하며, 이를 적기에 배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확산현상과 연직방향의 전도현상으로 인해 저수지 전역에 분포하게 되어, 탁수현상의 장기화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EFDC의 댐의 수리 및 수질예측모형을 이용해 여름철 집중강우시 유입되는 고탁수의 도달시간과 탁수량 등을 예측 평가하였다. 댐의 취수탑이 설치되는 위치는 댐의 상류측으로 일반적인 댐 주변의 온도 및 탁수거동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을 반영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EFDC의 댐 수리 및 수질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여름철 댐으로 유입되는 탁수거동을 평가하고, 댐 연결터널로 유입되는 취수탑 앞의 탁수농도를 예측하여 적절한 선택취수를 통해 댐 연결로 인한 고탁수의 댐간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취수설비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총 6개의 홍수사상('99년 홍수, '02년 루사, '03년 매미, '06년 에위니아, '09년 홍수 등)을 선정하여, 홍수사상에 대한 시단위의 유입량자료를 이용하여 양 댐간 연결로 인한 탁수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

An Investigation for Driving Behavior on the On-Ramp Merging Section in Urban Underground Roads Using a Driving Simulator (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도심 지하도로 유입연결로 합류부 주행행태 분석)

  • Seungwon Jeong;Soohwan Kim;Dongmin Lee;Gunki 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6
    • /
    • pp.97-114
    • /
    • 2022
  • Unlike ground roads, the on-ramp merging section of underground roads cannot be seen by drivers of main road due to tunnels. In this study, a driving simulator was used for analysis, and virtual driv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assess the driver's visibility for different design factors. The driver's driving behavior was analyzed by setting scenarios considering the length of chevron markings and the approach speed from the main roa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esign factors for ensuring visibility when constructing the virtual driving environment for each scenario. These factors, including speed, lane change points, and driver's gaze ratios, were reviewed for significance using a statistical approach. As a result, in scenarios with a higher approach speed from the main road,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driver's behavior between specific scenario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ection with chevron marking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and feasible solutions to improve driver safety on the on-ramp merging section of underground roads.

Inflow and outflow analysis of double major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복수전공 유입 및 유출 분석)

  • Cho, J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4
    • /
    • pp.693-701
    • /
    • 2012
  • Recently, the number of students who get double majors has tended to increase in many universities. As results, many problems occur because immoderate inflow of double-major students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popular department. In this paper, we study the characteristic of inflow and outflow of double major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SAT score affected the inflow of double majors the most. Additionally, department category, course evaluation score, employment rate also affected the inflow of double majors in the order named. On the other hand, department category affected the outflow of double majors the most. Additionally, SAT score, employment rate, course evaluation score also affected the outflow of double majors in the order named.

Study on Entering Improvement of Acceleration Lane onto an Expressway Using a Traffic Simulation (교통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고속도로 유입연결로 가속차로 진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Roh, Hee-Chan;Kim, Nak-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3
    • /
    • pp.409-415
    • /
    • 2022
  • The length of the acceleration lane in the area of entrance terminals is calculated based on 13 PS/ton horsepower of a cargo truck in Korea, so it is generally overestimated compared with the capacity of most vehicles traveling on an entrance ramp. Most drivers have, therefore, an indiscreet tendency to enter the main lane in all sections of an acceleration lane, which affects the traffic flow of the main lane. Because of this tendency, measures are required to minimize the impact on traffic flow of the main lane. The operating speed, rate of entrance, and traffic volume for each vehicle were investigated at the entrance terminals of the interchanges (ICs) of Yangji IC, Suseok IC, Yongin IC, and Osan IC, and the level of improvement in traffic flow was analyzed via VISSIM simulation. From the VISSIM simulation analysis, 74.0 % of the total vehicles traveled over the specified speed from the nose point where drivers w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traffic condition of the main carriageway, or the point at which there is a simplification of the curve section. In addition, 88.6 % of the vehicles entered the main carriageway up to 0.8 points compared with the entire length of the acceleration lane. It was subsequently found that an improvement of average speed in the main carriageway and at the entrance ramp can be achieved from 60.1 km/h to 68.5 km/h by intentionally limiting the entrance point onto the main carriageway up to 0.265 points of the entrance ramp.

Effect of tunnel connection on turbid water transport: Discharge side (댐간 연결터널에 의한 탁수거동 해석(II): 방류지역 영향)

  • Park, Dong-Jin;Jung, Kwang-Wook;Jung, In-Gyun;Oh, Da-Young;Kim, B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65-565
    • /
    • 2012
  • 최근 지구환경변화에 의한 이상기후현상으로 수자원을 안정되게 확보하고, 확보된 수자원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수자원 이용효율 극대화의 일환으로 댐간 연결사업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유역이 다른 두 댐을 인위적으로 연결할 경우 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책들이 필요하며, 특히 홍수기 발생하는 탁수의 댐간 이동문제는 중요한 검토항목 중 하나이다. 댐에 저류된 물은 기후조건(기온, 일사량 등), 유입수의 수질조건(수온, 탁도 등)의 영향으로 밀도분포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수면으로부터 열에너지가 공급되어 댐 저수지 상하부에 큰 수온차가 발생하여, 강한 수온 밀도성층이 형성된다. 이 수온 밀도성층은 여름철 발생하는 홍수의 규모에 따라 파괴 또는 유지되며, 댐내 탁도분포는 다양하게 변화하게 된다. 강한 수온 밀도성층을 파괴하기 힘든 중소규모의 홍수가 유입할 경우에는, 밀도성층 하부로 탁수가 유입하여 장기간 댐내에 채류하게 되며, 이를 선택적으로 취수하여 방류하지 않으면 계절적인 수온변화에 저수지 전역으로 확산되어, 늦 가을 맑은 날 저수지내 물이 탁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홍수규모가 클 경우는 홍수유입과 동시에 수온 성층이 파괴되어 저수지 전체로 탁수가 확산되며, 홍수초기부터 신속하게 방류하지 않으면 홍수 후 맑은 날 탁수가 방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탁수장기화 현상은 댐 유지관리 선진국에서는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댐 연결사업 추진 시에는 홍수사상별 댐 저수지내 탁수거동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특히 취수설비가 댐본체에서 분리되어 댐 저수지내 임의의 지점에 위치 할때는 취수설비 계획지점 전면의 탁수 거동현상을 고려하여 고탁수의 댐간 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설비 운영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EFDC의 댐 수리 및 수질예측모형을 이용하여 댐의 탁수모델을 구축하였으며, 고탁수가 발생하는 유역의 댐에서 취수한 물을 다른 댐으로 공급하게 될 경우, 방류지역의 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분석하였다. 총 6개의 홍수사상('99년 홍수, '02년 루사, '03년 매미, '06년 에위니아, '09년 홍수 등)을 선정하여, 방류지역 댐의 탁수 거동해석을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