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입방식

Search Result 49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Smoke Control Effect by Air Supply Method of Smoke Control System (제연설비의 급기방식에 따른 제연효과에 관한 연구)

  • Kim, Hyeong-Seok;Mok, Yeon-Su;Lee, Dong-Hun;Choi, Jae-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02-305
    • /
    • 2011
  •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501)의 거실 제연설비에서 공기유입방식은 자연유입방식, 강제유입방식, 인접제연구역 유입방식으로 나눈다. 거실 제연을 위한 3가지의 공기유입방식에 따라 제연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바닥의 면적을 $400m^2$ 이상으로 구획된 제연구역에 대하여 동일실 제연방식인 자연 유입방식과 강제 유입방식에 대하여 실험을 행하였으며, 인접구역 상호 제연방식인 인접구역 유입방식에 대해서도 동일한 제연구역에서 실험하여 제연효과를 비교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실제연 설비의 공기유입방식(자연유입방식, 강제유입방식 및 인접한 제연구역 유입방식)에 따른 제연효과를 비교검토하기 위해 Hot smoke를 이용하여 거실제연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The real application of main transformer adopted by new cooling system equipped with gas refrigerant (Gas 냉매를 활용한 신기술 냉각방식 주변압기 현장 실증적용)

  • Kim, Jin-Hwan;Park, Han-Woo;Kang, Gu-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322-324
    • /
    • 2008
  • 현재 배전용변전소 대용량변압기 냉각방식은 주로 유입자냉식, 유입풍냉식, 송유풍냉식 및 수냉각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유입풍냉식의 경우는 대기 공기의 자연대류 또는 냉각팬에 의한 강제대류에 의해 방열기 내부로 유입된 절연유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이고 송유풍냉식은 변압기 내부 절연유를 강제순환 시키면서 냉각팬을 가동하는 방식이다. 도심지 복합건물내 주변압기 냉각은 수냉식을 채용하여 절연유를 강제로 순환시키면서 열교환기 2차측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교환기 내로 유입된 절연유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이다. 그러나 도심지 변전소의 냉각방식 채택에 있어 냉각성능, 소음, 설비의 건전성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나 새롭고 획기적인 냉각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inflow of dam reservoir using the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댐 저수지 유입량 산정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 Yeom, Woongsun;Park, D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02-402
    • /
    • 2021
  • 다목적댐의 유입량은 댐 저수지 관리 및 운영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정확한 유입량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댐 저수지 유입량은 유역의 물수지분석, 홍수조절 의사결정 등 이·치수적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나 가뭄의 발생이 빈번해진 최근의 상황에서 위기경보 운영 등 재난관리 측면에서도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댐 저수지 유입량 산정에 방류량과 저수지 수위를 활용한 물수지방정식에 의한 방법을 공식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물수지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유입량은 평수기와 갈수기 오차가 크고 음의 유입량 값이 발생하는 등 지속적인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댐 저수지 직상류부 하천의 수위 측정치로부터 수위-유량곡선을 통해 유량을 산출하고, 그 값을 활용하여 댐 방류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직상류부 수위 측정이 불가능한 저수지에는 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지점에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댐 저수지 유입량 산정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수위계측이 어려운 지점에서도 유량 계산이 가능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한강권역 내 K-water 운영 다목적댐인 소양강댐, 횡성댐, 충주댐 직상류부 유량과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으로 계산된 유량을 비교하여 모의 유량자료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댐 유입지점-상류 관측지점 간 유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류 하천에 흐르는 유량으로부터 댐 유입량을 계산할 수 있는 관계곡선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댐 유입량 산정방식은 관측지점의 다양성과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존 방식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분석 절차의 표준화나 결과에 대한 다양한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홍수 및 가뭄의 위기경보 발령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Denitrification Efficiency by Sulfur Denitr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Injection Type (유입방식 변화에 따른 황 탈질조의 탈질효율 평가)

  • Yoo, Tae-Kyoung;Choi, Yong-Bum;Kwon, Jae-Hyo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2
    • /
    • pp.262-26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t of a sulfur denitrification reactor using nitrified effluent from a batch type reactor. The denitrification efficiency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injection type. The nitrogen removal effects were compared with the changes in the EBCT and nitrogen concentration of the influent to determine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s with the selected injection type. A denitrification efficiency evaluation of a reactor according to the change in injection type and up-flow was performed using a lower organic concentration of the effluent than the down-flow because of the re-precipitation of desorbed microbes and spilled solids. In the up-flow type, organics were controlled by the low concentration than the down-flow type because of solid re-precipitation. The T-N removal efficiency of the up-flow type was 73.3~90.2%, which was more that 10% higher that down-flow type. This means that the up-flow type has a great advantage in removing T-N and organics. The T-N removal efficiency by EBCT at 1hr was 47.3%, and was 88.1% and 90.5% by EBCT 3hr and 5hr, respectively. Therefore, the optimal operation conditions to remove nitrogen was considered to be EBCT for 3hr.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rule of law and T-N removal effects, the T-N load factor in the reactor should remain below $0.443kgT-N/m^3{\cdot}day$ to maintain the legal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for discharge, which is 20mg/L.

서지의 발생에서 방지까지⑥

  • 허광무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36 no.4
    • /
    • pp.19-24
    • /
    • 2002
  • 통신기기의 앞뒤에 서지방지기를 설치하고 서지방지기의 접지선을 통신기기에 연결하지 않고 서지방지기끼리 연결하고 한쪽의 접지선으로 유입된 서지가 다른 서지방기기의 접지선으로 전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선로에 유입된 서지를 기기를 우회하여 다른 회선으로 흐르게 하는 방식이다.

  • PDF

DVI적용시 원자로용기 Downcomer 지역의 온도분포 해석

  • 김대웅;김인환;박치용;정우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457-462
    • /
    • 1997
  • 현재 국내외 대부분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의 안전주입방식은 저온관 주입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안전주입시 노심의 온도와 압력분포가 주요 관심 대상이었다. 하지만 향후 개발될 원전의 안전주입방식은 저온관주입이 아닌 안전주입의 신뢰성을 한단계 높인 원자로용기 직접주입방식인 DVI(Direct Vessel Injection)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 경우 관심분야는 원자로용기 dowmcomer지역까지 확대된다. 즉 저온의 안전주입수가 고온 고압의 원자로용기 downcomer지역으로 직접 주입됨으로 인해 이 지역의 유체유동과 혼합상태 및 온도분포가 주요관심 대상이 되며 이는 원자로용기의 PTS(Pressurized Thermal Shock)해석에 연결된다. 본 연구에서는 LOCA 사고시 DVI방식을 적응한 안전주입수 유입에 의한 원자로용기 downcomer지역의 유제유동과 유체혼합상태 및 온도분포를 열유체 해석 code인 FLUENT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사고시 DVI에 의해 유입되는 약55℉인 저온 안전주입수는 유입과 동시에 넓은 지역으로 퍼지면서 dowmcomer지역의 고온 원자로냉각재와 적절히 혼합되어 하향유로를 따라 흐르며 PTS의 발생 원인인 국부적 유체비혼합 현상이나 온도 급하강현상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Hydraulic Modifications of Low-Pressure Membrane Inlet Structure with CFD and PIV Techniques (CFD와 PIV 기법을 이용한 저압막 유입부 수리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 Oh, Jeong Ik;Choi, Jong-Woong;Lim, Jae-Lim;Kim, Donggil;Park, No-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11
    • /
    • pp.607-618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hydraulic modification for improving evenness of inlet flow distribution into side stream type low-pressure MF (microfiltration) module using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and PIV (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s. From the results of CFD simulation for various typed inlet structure, it was investigated that installing internal orifice baffle in inlet the distribution channel could improve the evenness of inlet flow distribution over about 40%. Also, from the results of PIV measurements which were carried out for verifying the CFD simul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momentum of the water body com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was relatively larger. This momentum would generate strong shear force in the near of inlet side wall. On the other hands, occurrence of dead zone and eddy flow was confirmed in the opposite side.

Heat Gains and Occupant′s Thermal Comfort in Computer Room (컴퓨터실의 열취득과 재실자 온열 쾌적감 연구)

  • 김원태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2
    • /
    • pp.1-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조방식 및 본 연구에 제안된 개별환경제어시스템(PEM)으로부터 재실자가 거주하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룸(CR)에 대해 기하학적으로 3차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CR의 열취득과 재실자 온열 쾌적감을 감성공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바닥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천정으로 유출하는 바닥취출공조(TAM)방식이 실내 환경 개선에 유리하고 디퓨저만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천정과 바닥으로 공가가 유출되는 개별공조(PEM) 방식은 열적 냉각 성능은 좋으나 컴퓨터와 재실자 주변에 강력한 ㅐ순환 유동을 유인하여 실내 환경의 쾌적감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그러나 PEM과 TAM방식의 결합이 감성공학적 온열특성 분포로부터 CR의 재실자 주변온도 분포에 최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micro plastic detection among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 (하수처리장 유입수 전처리 방식에 따른 미세플라스틱 검출 비교)

  • Gil, Kyung Ik;Kim, Sung ryul;Lee, Ji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2-422
    • /
    • 2021
  • 현대사회에서 플라스틱의 요구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생산량 역시 맞춰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플라스틱 재질의 폐기물이 많아지고 있다. 이 중 가장 문제가 되는 폐기물이 바로 미세플라스틱이다. 미세플라스틱은 1㎛ ~ 5mm 미만의 플라스틱으로 그 물리 화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회수가 어려우며 외부 환경에 잔류시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플라스틱의 약한강도와 열악한 내열성 그리고 유기용매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첨가하는 화학물질로 인해 내분비계교란물질을 발생시켜 생명체의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최종적으로 성기능장애를 유발한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의 표면은 유기염류성 살충제와 같은 잔류성오염물질(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사이의 흡착성이 크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은 POPs 농도를 주변보다 최대 백만배 높게 만들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의 분석은 표준화된 방식이 없어서 제각각이지만 대체로 미세플라스틱 표면에 응집된 유기물을 처리하는 전처리, 미세플라스틱의 농도를 분석하는 정량분석, 그리고 미세플라스틱의 성분을 분석하는 정성분석의 과정을 거쳐서 진행된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의 분석법을 기반으로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하수의 미세플라스틱 분석방법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입수로부터 미세플라스틱을 따로 분리하기 위해 체거름을 진행했다. 이후 유입하수의 성상에 맞는 적정 전처리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산화방식으롷서 과산화수소수, 80℃의 과산화수소수, 그리고 펜톤산화의 서로 다른 3가지 방식을 사용했다. 이후 이어지는 정량분석과 정성분석결과를 비교하여 유입하수에 가장 최적인 미세플라스틱 측정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Particle Loading Characteristics onto Ceramic Candle Filters in Filtration System at Different Gas Inflow Pattern (가스 유입 방식에 따른 집진장치 내에서의 세라믹 캔들 필터로의 입자 부하 특성 비교)

  • Park, Seok-Joo;Lim, Jeong-Hwan;Lim, Kyeong-So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5
    • /
    • pp.983-987
    • /
    • 2008
  • Computational simulation has been performed to design optimally the filtration system for IGCC pilot plant. It was analyzed how the different inflow pattern influences the flow field and the particle behavior in a filter vessel. The particle loading onto the filter surface lowers significantly and decreases dramatically with particle size when the dusty gas flows into the filter vessel with a shroud tube through a tangential inlet setup tangentially on the vessel outer wall. However, the particle loading is considerably high when the dusty gas enters the filter vessel through a normal inlet setup vertically on the vessel top wall, and the decrease of the particle loading with particle size is not steeper compared with the tangential inflow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