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의성

Search Result 25,515,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he Effect of the Electro-acupuncture on Simsu($BL_{15}$) with the Heart Rate Variability as the Means of Measurement for Autonomic Nerve System (심유혈(心兪穴) 자침이 HRV(Heart Rate Variability)로 측정한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Jin;Lee, Dong-Gun;Hwang, Ji-Hye;Cho, Hyun-Seok;Kim, Kyung-Ho;Kim, Kap-S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5
    • /
    • pp.1-12
    • /
    • 2007
  • 목적 : 양심안영(養心安營), 청신녕지(淸神寧志), 조리기혈(調理氣血)의 효능을 가진 심유혈(心兪穴)($BL_{15}$)이 자율신경의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하여 객관적으로 자율신경의 활성과 심장의 많은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진 HRV(Heart Rate Variability)를 이용하였다. 방법 : 안정을 취한 후 29명의 남자 대상자를 HRV가 먼저 측정하였다. HRV 측정 후 대상자의 량측(兩側) 심유혈(心兪穴)에 자침하고 전침으로 지속적인 자극을 주었으며, 15분간 이 상태로 류침(留鍼)하였다. 발침(拔鍼) 후 다시 HRV를 측정하여 이를 측정 전과 비교하였다. 측정 결과의 비교 항목은 MHRT, SDNN, RMSSD, TP, VLF, LF, HF, Norm LF, Norm HF, LF/HF ratio로 하였다. 결과 : MHRT는 유의성이 있었다. SDNN은 유의성이 없었다. RMSSD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TP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VLF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LF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HF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Norm LF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Norm HF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LF/HF ratio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심유혈(心兪穴) 자침 결과는 교감 신경의 흥분을 가라앉히고 부교감 신경의 안정성을 증대하여, 심장의 안정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본 연구의 대상 집단이 소규모이며 스트레스가 아주 심하지 않은 집단이라는 점에서 유의성이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못했다. 향후 비교할 만한 대조군을 설정하여 더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큰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ion of the Combining Abilities of Abdominal Eat Deposition of Broiler (육용계의 복강지방축적에 대한 결합능력추정연구)

  • 정선부;정일정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0 no.2
    • /
    • pp.83-89
    • /
    • 1983
  • Sixteen crosses from two strains of White Cornish and White Plymouth Rock were reared seperately on floors and abdominal fat was measured every two weeks interval from two weeks to twelve weeks of age. The abdominal fat weights surgically removed were slightly heavier in female than male. Estimates of general combining ability variances of body weight showed significant at all weeks of age in both sexes but those of abdominal fat weight were significant at 2, 8, 10 and 12 weeks of age in female and 2, 6 and 12 weeks of age in male. In percentage of abdominal fat to body weigh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t 10 and 12 weeks of age only in female. The specific combining ability variances were significant at 4, 6, 10 and 12 weeks of age in female and 4, 8 and 12 weeks of age in male in body weight. In abdominal fat weigh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t 4, 8, 10 and 12 weeks of age in femal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e. The specific combining ability variances of percentage of abdominal fat to body weigh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4 and 8 weeks of age in femal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e.

  • PDF

Effect of Tang-gwi-eum-za-gagambang along with External Spray Therapy on the Spontaneously Occurring Atopic Dermatitis Development in NC/Nga Mouse (당귀음자가감방(當歸飮子加減方)과 외치방(外治方) 병용이 NC/Nga 아토피 생쥐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Hun;Kim, Jong-Han;Park, Su-Yeon;Choi, Jung-Hwa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 /
    • v.18 no.1
    • /
    • pp.27-49
    • /
    • 2005
  • 당귀음자가감방(當歸飮子加減方)과 외치방(外治方) 병용의 아토피 치료 기전을 규명하고자 NC/Nga 생쥐의 동물 병태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면역 반응을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C/Nga 생쥐의 피부손상 정도 16주와 20부에 대조군에 비해 36.0%, 37.8% 감소하다. 2. NC/Nga 생쥐의 혈중(血中) IgE, IL-4, IL-5, IL-6, IgM, IgG1 및 IgG2a 수준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IL-13 수준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IFN-{\gamma}$ 수준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다. 3. NC/Nga 생쥐의 비장 무게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4. NC/Nga 생쥐의 lymph node에서 B/f ratio는 증가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CD4^+$$CD8^+$ 세포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CD4^+$는 유의성있는 감소를, $CD8^+$는 유의성 없는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CD69^+$, CD11a 세포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5. NC/Nga 생쥐의 피부조직배양에서 IL-4 IL-5, CCR3 유전자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IL-6, IL-13, $CD69^+/CD3{\varepsilon}^+,{\;}CD19^+/CD44^+$ 발현량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IFN-{\gamma}$의 유전자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6. NC/Nga 생쥐 귀, 목의 피부 조직 변화에서는 표피와 진피의 염증 정도와 침윤된 염증 면역세포 등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7. Lymphokine assay에서 IL-4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減少)하였고, $IFN-{\gamma}$의 발현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 PDF

Comparison of Regression Coefficient Significance Test for Temporal Distribu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다중회귀분석 방법에 따른 시간분포 회귀식의 회귀계수 유의성 검정 비교)

  • Lee, Sung Ho;Lee, Jae Joon;Park, Ji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5-205
    • /
    • 2019
  • 우리나라에서 강우의 시간분포를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Huff 4분위법으로 강우의 시간적 분포특성을 나타내는 무차원 시간분포곡선을 제시한 것으로, 강우의 지속기간을 4분위로 구분하여 각 분위의 강우량 중 가장 큰 값이 속해 있는 구간을 선택하여 그 구간의 위치에 따라 분위를 정하는 방법이다. 현재 실무에서는 Huff의 분위별 곡선에 대한 회귀식은 지속기간 전반에 걸쳐 정확도가 높은 이유로 6차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통계 모델링에서 간결함의 원리에 따라 회귀식이 간결할 필요가 있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에 기초하여 회귀계수를 결정하여야 하므로 유의성 검정 방법을 통한 검정결과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 방법에 따른 회귀계수 유의성 검정결과 비교를 위하여 구미지역의 무차원 누가우량 백분율을 이용한 시간분포 회귀식을 이용하여 유의성 검정 방법인 분산분석 방법(Analysis of Variance)과 변수선택 방법(Backward Selection)의 검정 결과를 도출 및 비교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인 프로그래밍 R을 이용하여 변수선택 방법 중 후방제거법 함수를 이용하여 최종 회귀식을 도출하고 또한 7차 회귀식을 분산분석을 이용한 후방제거법으로 회귀계수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최종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분산분석을 이용한 후방제거법의 유의성 검정결과는 프로그래밍 R을 이용한 후방제거법의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반적으로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Huff의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은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설계강우량 시간분포 회귀식의 유의성 검정방법 제시 및 결과도출과정을 통해 시간분포 회귀식 산정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Effects of Forest Bathing on Social Psychological and Job Stress (삼림욕이 사회 심리적 및 직무적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

  • Sin, Bangsik;Lee, Keun Kwang
    • Journal of Naturopathy
    • /
    • v.7 no.2
    • /
    • pp.51-6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tress and cumulative stress in 49 people and the changes of job stress, socio-psychological stress and anxiety relief levels by conducting a survey of 85 people after Gyorae forest bathing. Methods: The level of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uBioMacpa, an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derive the data. Results: In the stress level after the forest bath,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athing (p<.043). In the cumulative stress change,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bathing, but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p<.02), and in the varianc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also between the group and the before and after tests (p<.002). In the questionnaire about job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environment and job demand. Overall, in the case of job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p<.001).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organizational unfairness, inadequate compensation, and workplace culture also had a significant decrease in stress (p<.001).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bathing (p<.001). The state anxiety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after forest bathing. Conclusions: After the forest bathing in the Gyorae forest, the stress and anxiety are both reduced and significant, providing basic information that is very helpful as a natural healing place for stress relief.

  • PDF

Effects of Ginseng Saponins and its Fractions on Mouse Tryptophan pyrrolase Activity in vivo (생쥐의 in vivo에서의 Tryptophan Pyrrolase 활성에 미치는 인삼사포닌과 그 분획물의 영향)

  • Jung, Noh-Pal;Kim, Sei-Chang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1 no.3
    • /
    • pp.79-86
    • /
    • 1978
  • 0.02 mg of Korean ginseng total saponins, and/or 0.01 mg of diol- and/or triol-saponin per 10g of boby weight per day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in mice weighing about 20g. The changes of tryptophan pyrrolase (TP) activity in vivo were determin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With total saponins treatment, TP activity increased slightly after 3 hours,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ctivity returned to its control level after 24 hours. One week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The activity returned to its control level after 24 hours. One week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61.11% increase. 2. With diol-saponin treatment, TP activity increased slightly after 3 hours, which was not significant. The activity increased 64.98% after 12 hours, and then again returned to its control level after 24 hours. One week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100.58% increase. 3. With triol-saponin treatment, TP activity increased 59.17% after 3 hours and it returned to its control level after 24 hours. One week treatment caused a significant 66.98% increase.

  • PDF

가시오가피와 더덕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유가 마우스의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 Im, Sang-Dong;Kim, Gi-Seong;Seong, Gi-Seung;Sim, Jin-A;Han, Do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86-292
    • /
    • 2006
  • 가시오가피와 더덕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유가 마우스의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발된 수컷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여 발효유에 가시오가피와 더덕 열수 추출 건조물(가시오가피:더덕=8:2)을 혼합하여 투여한 그룹 1mg/mL(A), 3mg/mL(B), 9mg/mL(C)의 3 그룹으로 나누어 임상 적용 경로인 경구 투여를 선택하여 발효유를 각각 3mL/kg씩 위내로 직접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발효유만 먹인 그룹(D)과 식염수만 먹인 그룹(E)을 두었다. 실험 결과 모든 그룹에서 마우스의 증체량과 체중 증가는 유의성이 없었고, 7주와 10주령에 안락사 시킨 마우스의 각 장기인 간, 신장, 심장, 폐, 고환의 무게에서도 유의성이 없었다. 비장 계수는 7주령에서는 B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고 10주령에는 C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비장 계수는 식이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되었고, 흉선 계수는 B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항체 생산 세포수는 가시오가피와 더덕을 급여 한 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특히 A, C군에서는 유의성(p<0.05)이 있었다. 모든 그룹에서 항체 생산 세포수는 10주령에서 7주령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원에 대한 항체 생성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구 응집 반응을 실시한 결과 가시오가피와 더덕을 급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7주령 A, C 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 10주령 에서는 C군에서만 유의성있는 차이가 나타났다(p<0.05).

  • PDF

Changes of Autonomous Nerves Activities after the Gyorae Gotjawal Forest Bathing (곶자왈휴양림 삼림욕 후 자율신경 활성의 변화)

  • Sin, Bangsik;Lee, Keun Kwang
    • Journal of Naturopathy
    • /
    • v.7 no.2
    • /
    • pp.39-4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ubjects after visiting the Gyorae forest on the activity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s: Before and after the forest bath, it was measured using a ubiquitous machine. Results: After the ba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ympathetic nerve activity (LF) of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increasing (p<.038), and in the varianc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14), between pre-and post-bath (p<.026), and also between the groups and pre-and post-bath (p<.018). The changes in parasympathetic activity (HF)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In the LF/HF ratio,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in the analysis of variance,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nd before and after bath (p<.04). Mean pulse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significant increase after bath (p<.026). In the change of pulse standard deviation, the value of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by variance analysis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14).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s of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s in the change of mean heart rate deviation. Conclusions: The autonomic nervous systems were activated after Gyorae forest bathing, where may be useful place for healing.

  • PDF

The Effects of Jawoongo plus Flos Lonicerae on The Artificial Wound on Rats (자운고가(紫雲膏加) 금은화(金銀花)가 흰쥐의 창상(創傷)에 미치는 효과(效果))

  • Yi, Kum-Taik;Choi, Byung-Tae;Lee, Yong-Tae;Ko, Woo-Shin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20 no.1 s.37
    • /
    • pp.132-141
    • /
    • 1999
  • 자운고가(紫雲膏加) 금은화(金銀花)가 창상치유과정(創傷治愈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살펴보고자 혈청중(血淸中)의 Leukocyte, CRP, Cortisol의 변화 및 상처크기의 축소율(縮小率)을 실험(實驗)한 결과 백혈구의 변화에서는 Sample II 가 Control에 비해 감소(減少)의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CRP함량(含量)의 변화에서는 뚜렷한 유의성을 나타내지 못하였고 Cortisol함량(含量)의 변화에서는 Sample II 가 Control에 비해 감소(減少)의 유의성을 나타내었지만 Sample III와 비교시에는 Sample III의 감소(減少)의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상처(喪妻)의 축소율(縮小率)은 실험 10일과 15일째 Control에 비해 유의성이 인정(認定)되었다. 이상(以上)을 살펴볼 때 자운고가(紫雲膏加) 금은화(金銀花)가 창상치료(創傷治療)에 대해 효과적(效果的)이며 약재(藥材)로서의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자운고(紫雲膏)와 비교하였을 때는 금은화(金銀花)의 첨가가 창상치료(創傷治療)애 크게 유의성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자운고(紫雲膏)의 단독(單獨) 투여(投與)시보다는 나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앞으로 한방(韓方) 연고(軟膏)의 개발을 위하여 더 많은 연구(硏究)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Usage Intention of Family Restaurant Websites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Min-Sun;Kang, So-Ra;Um, Hye-M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861-863
    • /
    • 2011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AM)을 토대로 하여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에 대한 고객의 사용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패밀리 레스토랑 이용 시 홈페이지를 사전에 활용했던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즐거움과 효율성, 실용성과 거래편리성이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들이 사용자의 태도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효율성은 용이성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즐거움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용성과 거래편리성은 모두 유용성에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드러났다. 용이성은 유용성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태도에 대하여 유용성은 긍정적 영향을, 용이성은 부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는 사용의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