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역 토지이용현황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for the Efficiency to Extract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Using GIS (GIS를 이용한 수문지형인자 추출에 관한 효용성 연구)

  • Choi, Hyun;Ahn, Chang-Whan;Lee, Je-Yun;Han, Ho-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937-941
    • /
    • 2007
  • For Hydrologic analysis of the river, the exact Dividing Watershed and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affect enormously Hydrologic analysis of the river basin. Therefore the extraction of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as well as Dividing Watershed are stiuied by several ways. However the definite standard of all those means are not settled. Recently GIS is applied to the field of water resources so that we can divide Watershed and calculate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of the targeted area easily and objective way for using DEM. Thanks to DEM, we don't have to spend much time as we did before. However other problems are generated such as the parameter value is changed by the precision of established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tc. In this study, using GIS which is popular recently, we suggested efficient extract method of Hydrologic-Topographical Parameters SCS(Soil Conservation Service) CN(Curve Number) in watershed.

  • PDF

Analysis of Land Use and Pollutant Source Effect on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유역의 토지이용과 오염원 현황이 수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ung, Kwang-Wook;Jang, Jae-Ho;Kim, Hyung-Chul;Yoon, Chun-Gyeo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9 no.1 s.115
    • /
    • pp.41-51
    • /
    • 2006
  • The influence of land use and pollutant source on water quality was investigated using 3-yrs monitoring data major influent stream in Hwaong reservoir watershed. The seven water quality station (N1, N2, J1, J3, J4, E2, E3) were used analysis of land use and pollutant effect, and six water quality station (N3, N4, J2, J5, E1, E4) were used analysis of waster quality status. Water quality paramet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dential and forest, negatively with paddy and upland especially during dry period. During wet period, correlation between land use and water quality was less apparent. Population and livestock density was correlated well to water quality parameter than just number of population and livestock. The watersheds studied are mainly non-urban and their land uses are similar to typical watershed of other estuarine reservoirs, therefore, the correl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might be helpful to manage other estuarine reservoir watersheds.

Delineation and Land Use Analysis of the Isolated Former Floodplain in the Nakdong River, Korea (낙동강에서 격리된 과거 홍수터의 경계 설정과 토지이용 분석)

  • Jin, Seung-Nam;Cho, Kang-Hyun;Cho, Hyung-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4
    • /
    • pp.324-329
    • /
    • 2015
  • For the restoration of lateral connectivity between rivers and floodplains, it is important to find the isolated former floodplain (IFF) and to characterize its land use in Korean rivers which were channelized by levee constructions for flood prote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p the IFF and to assess its land use pattern in the Nakdong River, Korea. The isolated former floodplain was explored by being overlapped on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igital topographic map and design flood level using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in the Nakdong River basin. The land use of the identified IFF was classified by land-use map. The total number of IFFs was 384 and their total area was $291km^2$. While IFFs were usually surrounded by mountain forest in the upper river area, they tended to be located on wide plain areas in the downstream area of Nakdong River. The land use pattern of IFFs was mostly farmland (73.9%) and urban areas (12.7%) in the river. The results of delineation and land use analysis of isolated former floodplain in the Nakdong River will be used as a base line data for planning stream restoration.

Delineation and Land Use Analysis of the Former Floodplains Isolated by Levees in the Cheongmi-cheon Stream, Korea (청미천에서 제방에 의해 격리된 옛홍수터의 경계 설정과 토지이용 분석)

  • Jin, Seung-Nam;Cho, Kang-Hyun;Cho, Hyung-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4 no.2
    • /
    • pp.97-104
    • /
    • 2017
  • For the restoration of lateral connectivity between channel and floodplain, it is important to find the former floodplain and to characterize its land use in streams which were channelized by the levee construction for the flood prote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p the former floodplains and to assess its land use pattern in the Cheongmi-cheon Stream, Korea. The former floodplains were explored by being overlapped on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igital topographic map and design flood level using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in the Cheongmi-cheon Stream basin. The land use of the identified former floodplains was classified by land-use map. The total number of the former floodplains was 104 and their total area was $11.9km^2$ in the Cheongmi-cheon Stream. The land use pattern of the former floodplains was mostly farmland (87.1%). The former floodplains were usually surrounded by mountain forest in the downstream of the Cheongmi-cheon Stream. These former floodplains are probably suitable for restoration of lateral connectivity because of lower ratio of urban area but higher ratio of farmland. The results of delineation and land use analysis of the former floodplain can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planning stream restoration in the Cheongmi-cheon Stream.

Evaluation of Allowable Channel Conveyance for Comprehensive Flood Control Plan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시 하도의 홍수소통능력 평가)

  • Lee, Hee-Chul;Lee, Jae-Hyung;Jeon, Se-Ho;Lee, Y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4-158
    • /
    • 2006
  •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시 유역내 해당 지점에서의 하도와 유역에 대한 홍수량 배분은 원활한 목표연도 홍수량 처리, 치수안전도 증대, 치수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하도 및 유역에서 실현 가능한 모든 홍수방어대안 등을 검토하여 적절한 홍수량이 분담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문헌 및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홍수량 배분에 대한 규정은 구체적이지 못하고 추상적이며 계획수립시 하도 홍수소통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과 고려없이 하도분담량을 설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도 홍수소통능력 평가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기존의 문헌 및 사례 등을 종합 분석하여 하도의 홍수소통능력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하도 홍수소통능력의 판단기준은 하천내 유수의 소통능력은 물론, 하도내 수위가 높음으로 인해 내수배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해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5단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제내지의 토지이용현황, 자산분포와 인구밀집도 등을 고려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수에 대한 하도 홍수소통능력 검토시 도시하천의 경우에는 홍수피해 위험이 높고 자산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하천구간은 소파기준에 해당하는 침수심 0.5m 기준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농경지하천의 경우는 농경지 침수시간에 따른 작물 피해액 기준을 도시하천의 개념과 유사하게 적용하여 홍수피해잠재능이 높은 지역에 위치한 하천의 경우는 침수지속시간이 24시간 이내가 되도록 적용하였다.

  • PDF

A Study on Change of Average SCS-CN Value by the Spatial Resolution (공간해상도에 따른 유역평균 SCS-N값 변화에 관한 연구)

  • Chang Eun-Mi;Jung In-Kyu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0 no.6
    • /
    • pp.361-368
    • /
    • 2004
  • Hydraulic models has a module to calculate SCS-CN values in order to estimate amount of water flow, which can be done with remotely sensed data and GIS data. The choice of the ancillary data tends to determine the range of SCS-CN values. We compare the results of SCS-CN value with satellite data of different spatial resolution and with soil maps of different scale. Mokhyun river basin was chosen,partly because of availbility of water quality and quantity data, partly because of rapid changes in land use and land cover since last ten years. The average C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patial resolutions of 2.5 meter and 30 meter, We could not find any different result due to spatial resolution of CN resolution but due to both soil maps and to land cover maps. Further studies should be done for more than two kinds of satellite data.

Status of pollution source and characteristics of discharged loads in a small watershed (소유역의 오염원 현황과 오염물질 배출특성)

  • Lee, Su In;Shin, Jae Young;Joo, So Hee;Na, Young Gwang;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9-56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 내 오염원 현황에 따른 발생부하와 배출부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천 일대이며, 소유역을 6개의 세유역으로 구분하여 발생부하와 배출부하를 산정하였다. 오염원 현황자료는 2013년 전국오염원 조사자료를 기초로 하였으며, 행정구역 단위의 오염원 조사 및 행정구역과 유역의 경계가 일치 하지 않는 경우의 오염원별 점유율은 토지종합정보망(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LMIS)의 연속지적도 자료를 이용하여 면적비로 산정하였다. 대상유역의 전체 인구는 총 5,140명이며, 이 중 시가 인구가 2명, 비시가 인구가 5,138명으로 나타났다. 생활계 오염원은 소유역 별 인구를 분석한 결과, FW-'1은 3,113명, FW-'2는 298 명, FW-'3은 604 명, FW-'4는 836 명, FW-'5는 283 명, 그리고 FW-'6은 6 명으로 분석되었다. FW-'1의 인구는 총 3,113명으로 대상유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계 오염원은 FW-'1 지점에 총 115 가구의 농가가 위치하여 소유역 중 가장 많은 축산 농가가 위치하고 있으며. 가축 사육 두수는 돼지 8,040두, 젖소 394두, 한우 1,587두, 사슴 10두 그리고 가금(기타) 수가 292,158두로 다른 지점들과 비교하여 사육 두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FW-'2 지점은 돼지 1,350두가 있는 돼지 농가가 1가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W-'3 지점은 돼지 14,692두, 한우 1,287두, 가금(기타) 100두가 있으며, 축산 농가는 총 42가구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지점들과 비교하여 돼지 사육 두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FW-'4 지점의 가축현황은 돼지가 900마리, 한우 1,222 마리이며, 총 57개의 농가가 위치하고 있고, 이 중 돼지 농가는 1가구이며, 그 외 56개의 농가는 모두 한우 농가이다. FW-'5 지점은 한우 407마리 가금(기타) 150마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W-'6 지점은 축산 농가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대상유역 내에는 총 14개의 산업체가 있으며, $800.33m^3/day$만큼의 폐수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중 FW-'1 지점 산업체 개수는 12개이며, 폐수 발생량은 $730.59m^3/day$로 가장 많은 양의 폐수가 발생하고 있다. 대상유역 내에는 산업계, 양식계, 매립계의 오염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원 자료를 바탕으로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생활계와 축산계, 토지계 중축산계의 BOD, T-N, T-P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출부하량 비교 결과에서도 BOD, T-N, T-P 모두 축산계 배출부하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BOD는 토지계 배출부하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축산계 배출부하량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T-N과 T-P는 축산계 배출부하량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오염원의 정량적인 발생원 규명을 위해서는 오염원 그룹이 포함되어있는 지역에 대하여 장기적인 실측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오염부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Soil Erosion Hazard Zone using GIS (GIS를 이용한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 Kim, Joo-Hun;Kim, Kyung-Tak;Yeon, Gyu-B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2
    • /
    • pp.22-3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il erosion quantity of a basin by using DEM, soil map and landuse map and to find a soil erosion hazard zone in a basin based on this data. In this study, RUSLE was used to analyze soil loss quantity and the research area chosen is Mushim stream which branches off the Geum river. This study used a mean annual precipitation of Cheongju Meteorological Observation was used as a hydrological data and DEM, the detailed soil map(1/25,000), the landuse map collected respectively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subject map was drawn to analyze soil erosion hazard zone by using the above data and ma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lot of soil loss shows in a bare area. In case of a forest, a slope has a lot of influence on soil loss. The integration and analysis of the above gave the result that $193,730.3m^2$corresponding to 8.5% of the places of which the slope is over 20 degree in a bare area was found to have a higher chance of soil erosion.

  • PDF

Analysis of Stream Ecosystem Health in Headwater Areas Using Landcover Data (소하천 수변 토지피복에 따른 하천 건강성 분석)

  • Han, Dae-Ho;Kim, Ik-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6-500
    • /
    • 2009
  • 소하천은 하천 네트워크의 최상류에 넓게 소재하는 하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올바른 소하천 수생태계 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소하천의 건강성을 분석하고 현행 소하천 관리제도의 개선점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첫째, 2007년 한강수계 소하천 28개 지점에서의 부착조류($DAI_{PO}$, TDI),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KSI), 어류(IBI), 서식환경, 수변환경 등 6개 항목에 대한 수생태 건강성 조사결과를 토대로 공간적 분포와 수질현황을 조사하여 소하천에 대한 종합적인 건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둘째, 분석대상지역을 각각 소하천 구간스케일(28개 지점)과 유역스케일(팔당호, 안성천 유역)로 선정, 하천차수도(1:25,000)를 활용하여 해당 구간과 유역의 소하천도를 작성하였다. 셋째, 작성된 소하천도 는ArcGIS(ver. 9.3)에서 30, 60, 90, 120, 150-m Buffering을 하였다. 다음으로 소하천 구간은 중분류(23개 항목, $2000{\sim}2006$ 또는 2007년) 토지피복도를, 팔당호 및 안성천 유역의 소하천은 대분류(8개 항목, $1975{\sim}2000$년) 토지피복도를 적용하여 분류항목별 면적변화비율을 산정하였다. 끝으로 소하천 정비에 대한 제도적 문제점을 분석하여 소하천 관리의 개선점을 연구하였다. 그 연구 결과, 첫째 연구대상 소하천(28개)의 건강성은 도심 소하천에서 가장 낮게 조사되었고, 일부 소하천은 비록 상류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부착조류의 유기물, 영양염류 평가가 낮게 평가되었다. 둘째, 소하천 구간 스케일의 수변토지피복변화 분석결과 소하천 수생태 건강성은 거시적으로 산림, 도시화, 밭 등의 피복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화 피복변화의 영향은 수변 30m에서 60m보다 3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 스케일 분석에서는 상대적으로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안성천 유역의 소하천이 팔당호 유역보다 낮은 건강성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소하천 수변관리는 지역 하천의 건강성을 온전히 회복시키고 개선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들 중에 하나이며 수변토지피복의 변화율은 (소)하천 건강성 또는 유역관리의 지표로 활용될 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소하천 복원 및 관리는 소하천 특성을 고려한 장기적인 계획과 관리대상의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점진적인 대안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availability considering complex water use in upstream of the Hantan River Dam (한탄강댐 상류 상세 물이용체계를 고려한 수자원가용량 평가)

  • Jang, Cheol Hee;Kim, Hyeon Jun;Kim, D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2-252
    • /
    • 2020
  • 대하천 주변 광역상수도 공급지역은 가뭄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물이용이 가능하나, 중소하천을 수원으로 하는 하천의 상류지역은 가뭄시 물공급 안정성이 취약하다. 따라서 중소하천을 대상으로 가뭄시 물 공급시설의 효율적 운영, 물부족 위험도 평가, 가용 수자원의 최적이용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신뢰성 높은 수문량(하천유출량 및 수자원가용량) 예측이 필요하다. 기존의 가뭄시 하천유출량 예측정확도 평가는 통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가뭄지수 기반의 가뭄상황의 예측에 치중하여 불확실성이 크며 국내 유역의 복잡한 물이용체계를 고려하지 않아 시·공간적인 규모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며 실측자료 기반의 하천유출량과 비교하면 정확도가 대부분 60% 이하로 나타난다(이상은 등, 2015). 본 연구에서는 상세 물이용체계를 고려한 정도높은 수자원가용량의 평가를 위하여 한강권역 내의 한탄강댐 상류 유역을 테스트베드로 선정하였다. 한탄강댐 상류유역은 다수의 복잡한 농업용 수리시설 운영에 따른 수자원가용량 예측정확도가 매우 낮은 지역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정도 높은 수자원가용량 예측정확도를 확보하기에 적정한 유역이라 판단하였다. 수자원가용량을 평가하기 위한 모형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된 CAT3.1(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3.1)을 이용하였다. CAT 3.1은 중소하천 유역내의 인위적인 물이용체계(광역급수, 재이용, 지하수 취수, 하천수 취·배수 등)를 반영한 수문량(하천유출량 및 수자원가용량) 평가 및 예측이 가능한 모형으로 기존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개발되었다. 한탄강댐 상류유역의 물리적 매개변수는 최대한 기 구축된 GIS 자료를 활용하여 추출하였다. 토지이용현황은 산림과 농업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농업용수 공급이 대부분인 물이용체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11개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취수현황 및 제원, 국가지하수센터의 유역내 지하수사용량, 하폐수처리량을 기본 입력 자료로 사용하였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의 경우에는 저수지출구점을 기준으로 저수지 상류유역 및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기 구축된 관개면적 공간자료를 기본으로 수혜구역을 세분화하여 모형을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