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역대책

Search Result 60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xaminations of Morphology and Residual Water Quality Parameters on Saemangeum Basin under Gate Operations with SCHISM-CoSiNE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새만금 호내의 지형 및 잔존 수질인자변화 검토: SCHISM-CoSiNE 모형 적용)

  • Yoo, Hyung Ju;Kim, Dong Hyun;Bang, Young J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4-84
    • /
    • 2020
  • 새만금은 농업용지 확보 등 다양한 용도의 토지이용을 목적으로 방조제 공사를 수행하였으며,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aster Plan, OPC, 2011)에 의하여 호내의 준설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방조제 준공 후 새만금 호내의 수질오염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왔다. 수질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강변저류지 설치, 하수종말 처리장 등 다양한 구조적 대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었지만, 수질개선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비하였다(Kim et al, 2016; KRCC, 2016).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호내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수질인자의 잔존률 및 하상의 변화를 SCHISM-CoSiNE(Semi-implicit Cross-scale Hydroscience Integrated System Model and Carbon, Silicate, Nitrogen Ecosystem model) 모형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수치모형의 하상변동 및 수질변화에 대한 정확한 수치계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van Rijn(1987) 실험 및 새만금호내의 수질 관측자료(DO, T-N, T-P, 온도, 염도, 새만금유역 통합환경관리시스템)를 이용하여 수치모형 검증을 수행하였고 10%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배수갑문 운영기록(Jeong et al., 2018)을 참조하여 배수갑문 운영을 재현하였으며, 지형은 기 수립된 MP 내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이 완료된 시점인 2030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하여, 배수갑문 운영 및 계절의 변화에 따른 최심 하상변동고 변화 및 하상변동량을 확인하여 침식 퇴적 구간을 구분하였고, 호내의 잔존하는 수질인자의 농도를 통하여 수질개선 효과를 평가하여 수질측면에서 최적의 배수갑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배수갑문 운영이 새만금 호내의 수질 및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이지만 향후에는 다양한 수질인자 및 시나리오를 고려한다면 보다 근본적인 수질오염 해결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DF curve Based Annual Exceedance Probability and Its application for Hydraulic Structure Design (치수시설물 설계기준 개선을 위한 연초과확률 기반의 IDF곡선 산정 및 적용성 평가)

  • Tak, Woohyun;Eom, Junghyun;Seo, Jae Seung;Kim, Sam 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1-191
    • /
    • 2021
  • 최근 이상기후 및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으로, 집중호우 및 대형호우 사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한 홍수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2020년 한반도 전역에서 발생한 호우사상은 56일간 지속된 최장기간 강우로 기록되었고, 일부 유역에 대해서 500년 빈도의 강우로 기록되기도 하였다. 이는 2020년 기준 치수시설물 설계기준 중 최상위 기준인 200년 빈도를 상회하는 대규모 호우사상으로, 기후위기에 따른 기존 치수대책의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설계기준 산정을 위한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 곡선(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IDF curve) 작성 시 사용된 강우 빈도해석의 대안으로서 연초과확률을 이용한 IDF 곡선 산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치수시설물 설계기준에서 활용되고 있는 강우 빈도해석의 경우 분포형의 종류에 따라서 극한사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최상위 기준인 200년 빈도를 넘는 빈도에 대해서 산정된 값을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통계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산정되는 '빈도(Frequency)' 라는 개념의 의미는 발생가능성을 내포한 재현기간으로 명확한 반면, 관련 의사결정자 혹은 민간에서 받아들이는 의미는 발생주기 혹은 재발에 대한 보장기간 등으로 오해하는 경향이 있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설계기준 산정을 위한 IDF 곡선 작성시 빈도(Frequency)를 연강우량에 대한 초과확률인 연초과확률(Annual Exceedance Probability)에 근거하여 산정하여 보다 직관적인 설계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홍수피해 발생이력을 기준으로 대상지역을 선정하고, 기존 빈도(Frequency)에 근거한 IDF 곡선 및 설계기준과 연초과확률에 근거한 IDF 곡선 및 설계기준을 산정 및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치수시설물의 설계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Risk Evaluation Method of Slope Failure Due to Rainfall using a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강우시 사면 붕괴 위험도 평가에 관한 제안)

  • Chae, JongGil;Jung, MinSu;Torii, Nobuyuki;Okimura, Takash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C
    • /
    • pp.219-229
    • /
    • 2010
  • Slope failure in South Korea generally occurs by the localized heavy rain in a rainy season and typhoon, and it annually causes huge losses of both life and property because nearly 70% of territory in South Korea is covered with mountains. It is required to measure the risk of slope failure quantitatively before proper prevention methods are provided. However, there is no way to estimate the risk based on realtime rainfall,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properties.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rrion model to predict slope stability using infinite slope stability theory combined with temporal groundwater change.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factors to affect slope stability in Japan.

Establishing the Progress Orientation of Flood Management and a Framework for Sustainable Flood Management Employing an Interview Survey (설문조사를 통한 홍수관리 발전방향과 지속가능한 홍수관리 프레임워크 수립)

  • Kang, Min G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6B
    • /
    • pp.527-535
    • /
    • 2009
  • In this study, employing an interview survey, the progress orientation of flood management is established, and a framework and process for sustainable flood management in a river basin's context are developed to effectively achieve its goals and objectives. The Interview survey about flood management shows that to reduce flood damage, it is necessary to subdue injudicious man-made developments, to make systematic long-term plans, and to consistently implement them. In the framework, the goal is established as minimizing flood damage and building resilience against flooding, and an implementing methodology is developed, integrating five elements: integrated flood management, flood risk management,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process, and adaptive management. Also, evaluating the state of flood management in river basins' context is incorporated into the framework,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fed back to the goal and the methodology. To effectively implement flood management, an adaptive flood management process is developed,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urvey. In this process, the participation of the persons concerned is secured, the state of flood management are evaluated periodically, and measures appropriate to the specific sites are selected and are adaptively carried out.

Efficient use of AWS data for determining the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Objectives (방재성능목표 설정의 AWS 자료 활용방안)

  • Kong, So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1-221
    • /
    • 2022
  • 방재성능목표란 홍수, 호우 등으로부터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재정책 등에 적용하기 위하여 처리 가능한 시간당 강우량 및 연속강우량의 목표로, 각 지자체별로 지역특성 및 경제여건 등을 고려하여 지역별 방재성능목표를 설정한다.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전국을 168개 티센망으로 분류하고 69개 지점 확률강우량을 활용하여 지방자치단체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지방자치단체별 티센면적 비율을 감안하여 각 지자체별 방재성능목표 설정 기준을 마련한다. 이때 확률강우량 산정에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종관기상관측(ASOS) 자료를 이용하는데, 종관기상관측(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이란 종관규모의 날씨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해진 시각에 모든 관측소에서 같은 시각에 실시하는 지상관측으로, 종관규모는 일기도에 표현되어 있는 고기압이나 저기압의 공간적 크기 및 수명을 말하며, 해당 지역의 현재 기상 실시간 제공 및 기상예보에 활용한다. 그러나 ASOS 자료로 산정한 확률강우량을 토대로 설정한 지역별 방재성능목표는 지배관측소개소 및 면적 비율에 따라 강우량이 실제 해당 지역에 내린 강우량에 비해 작거나 크게 산정되어 실제 강우량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지진·태풍·홍수·가뭄 등 기상현상에 따른 자연재해를 막기 위해 실시하는 지상관측인 방재성능관측(AWS, Automatic Weather System)을 1997년부터 약 510여개 지점에 설치하여 기상관측자료를 구축하고 있으나, 관측자료가 30년 미만이므로 자료의 일관성 및 신뢰도 확보 등의 문제로 이용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 ASOS 관측소와 AWS 관측소의 시간 강우량 최댓값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행안부는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수립을 위한 강우량 산정에서 AWS 관측소의 기록은 반영하지 않고 ASOS 관측소 기록만 적용하여 실제 해당 지역의 강우량을 반영하는 방재 대책을 수립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규모 유역 및 재해영향평가 등의 경우 인근 지역에 AWS 관측소가 있을 경우, 해당지역의 기상 특성을 대변하는 자료로 보유관측년수가 30년 이상인 AWS 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review on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rainfall kinetic energy using disdrometer: a case study of Sangju (광학우적계를 활용한 강우 운동에너지 산정 및 비교에 관한 연구: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 Yeon, Min Ho;Van, Linh Nguyen;Song, Min Geun;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9-129
    • /
    • 2022
  •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soil erosion)은 주로 강우에 의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농경지 유실, 탁수 발생, 하천 통수능 저하 등 여러 수문학적·환경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역 내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의 토양유실 및 유사의 발생량을 산정하는 것은 토양보전 대책 수립 시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침식-유사유출의 물리적 과정은 크게 '강우에 의한 토양 분리(detachment by raindrop)'와 '지표류에 의한 토양 분리(detachment by overlandflow)'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강우에 의한 토양 분리는 수침식(water erosion)의 첫 번째 과정 중 하나로 강우 시 낙하하는 강우 입자들이 갖는 운동에너지가 지표면을 타격할 때 토양체로부터 토양입자가 분리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강우에 의한 토양분리량 산정을 위해서는 강우 운동에너지(rainfall kinetic energy, KE)의 정확한 계산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후 및 지리적 특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강우 운동에너지는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은 주로 강우강도(rainfall intensity, I)와의 관계를 이용한 함수식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인 상주지역에 광학우적계(disdrometer)를 설치하여 2020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관측된 37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KE-I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강우 운동에너지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존에 국외 및 국내에서 제시된 선형(linear), 멱함수(power-law function),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 형태의 강우 운동에너지 공식과 본 연구에서 산정된 KE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체적 강우 운동에너지에서 Sanchez-Moreno et al. (2012)가 제안한 멱함수 형태의 공식이, 비시간 강우 운동에너지에서 Kinnel (1981)이 제안한 지수함수 형태의 공식이 각각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immersive flood routing model using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sualization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를 활용한 몰입형 홍수추적 모형 개발)

  • Son, Sangyoung;Hwang, So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6-96
    • /
    • 2022
  •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VR) 기술은 3차원 가상공간 내에서의 높은 몰입감에 기반한 체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소방훈련이나 태풍, 지진 등 재해 대응훈련과 같이 인명피해의 위험이 있는 재해에 대한 VR 기술을 활용한 방재교육은 위험성을 동반하지 않으면서도 현장감에 기반한 높은 교육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는 VR 기술을 이용하여 소방훈련을 위한 실감 소방훈련 시뮬레이터를 개발한 바 있으며 목동재난체험관에서는 홍수, 태풍, 지진 등 다양한 재해에 대한 안전교육을 위한 자연재해 가상현실체험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국 지자체 및 교육청에서는 방재교육을 목적으로 VR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VR을 활용한 수재해 방재교육은 범람의 수리학적 특성과 함께 수해지의 지형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방재교육이나 경각심을 부각하는 데엔 효과적이나 실질적인 방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몰입형 파랑해석모형인 Celeris Base를 기반으로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를 활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3차원 가상현실 시각화는 Unity3D를 이용하여 모의환경 내에 구현되었다. 강우-유출 과정의 수리학적 해석을 위해 동수역학 수치모형의 연속방정식 내에 강우와 침투에 대한 항을 추가하였다. 침투모형으로는 Horton 모형, Green-Ampt 모형과 함께 사면의 기울기를 고려한 Green-Ampt 모형을 적용하였다. 실제 유역에서의 홍수추적 모의결과는 관측값과 비교적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VR 방재교육을 통해 일반인의 수재해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정확성 높은 홍수추적 모의결과에 기반한 홍수대책 마련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imulation of compound flooding using TUFLOW's 1D-2D coupling features (TUFLOW의 1-2차원 연계 기능을 활용한 복합 침수 모의)

  • Hwang, Donggyu;Kang, Teauk;Jin, Yongkyu;Lee, Sa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7
    • /
    • pp.451-460
    • /
    • 2024
  • It is necessary to apply a rational urban flood simulation method to analyze the causes of frequent urban flooding and to develop appropriate countermeasures. Previous studies in Korea have performed flood simulations by inputting the results of manhole overflow from sewer systems and river overflow into two-dimensional flood flow simulation models. It, however, is reasonable to simulate flooding from river and manhole overflows in a complex manner. In this study, we used the 1D-2D coupling functionality of the TUFLOW module, which is a part of XP-SWMM, to simulate the compound flooding of rivers and urban areas. That method was applied to the lower basin of the Naengcheon River in Pohang City, Gyeongsangbuk-do, where both inland flooding and river overflow coincided due to Typhoon Hinnamnor on September 5 and 6, 2022, to verify its applicability.

Division of Soil Properties in Reclaimed Land of the Mangyeong and Dongjin River Basin and Their Agricultural Engineering Management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 간척농경지 토양특성 구분과 농공학적 관리 대책)

  • Hwang, Seon-Woong;Kang, Jong-Gook;Lee, Kyung-Do;Lee, Kyung-Bo;Park, Ki-Hun;Chung, Doug-Yo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3
    • /
    • pp.444-450
    • /
    • 2012
  •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Mangyeong and Dongjin river basin had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establish the most optimum soil improvement plan on the reclaimed land. The total soil area by reclamation in Saemangeum basin is 113,971 ha. The classification by the distribution of soil series and soil texture is as following. 13 soil series including Chonnam, Buyong and Chonbuk series are period-unknown areas. Regarding the soil texture, they are fine silty ~ clayey very fine. From 1920s to 1960s, Mangyeong, Gwanghwal and Chonbuk series had coarse silty textured soil. After the 1970s, Mangyeong, Gwanghwal, Munpo, Yeompo, Poseung, Gapo and Hasa series have more sandy soil ~ moderately coarse loamy textured soil. Regarding the chemical properties, the concentrations of EC, Exch. $K^+$, $Mg^{2+}$, $Na^+$ and pH are high regardless of the time of reclamation. On the other hand, organic matter (OM) of top soil were 3.3~16.1 g $kg^{-1}$. The organic matter contents were very low though the soil had been farmed for a long time. Furthermore, the deep soil had almost no organic matter with 5.6~1.1 g $kg^{-1}$. The reason is believed that there had not been any movement of OM and clay because pressure or induced pans had been formed by large agricultural machineries and poor vertical drain. Regarding the forming of illuvial horizon (B layer) which tells the development extent of soil, only in the Hwapo reclaimed area where rice had been cultivated for past 90 years, Fe and Mn from top soil are deposited at underground 20~30 cm with 7~8 cm thickness by the movement of clay. It is believed that it had been possible because the earthiness is silty clay loam soil with relatively high content of clay. The soils are soil with concern of damage from sea water, soil on flimsy ground and sandy soil. Therefore, soil improvement for stable crop production can be expected; if the water table would be lowered by subsurface drainage, the water permeability would be enhanced by gypsum and organic matter, and the sandy soil would be replaced by red soil with high content of clay.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ibutaries of Dongjin River Watershed (동진강 유역내 하천의 특성별 영향평가)

  • Yun, Sun-Gang;Kim, Won-Il;Kim, Jin-Ho;Kim, Seon-Jong;Koh, Mun-Hwan;Eom, Ki-Cheo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1 no.4
    • /
    • pp.243-247
    • /
    • 2002
  • Irrigation water quality along Donjin river watershed was monitored to find a possible pollutant, for maintaining water quality to achieve food safety through water quality preservation of river. As a pollution indicators, such as Biological Oxygen Demand(BOD), Chemical Oxygen Demand(COD),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ate(T-P) in Dongjin river were examined from May to November in 200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BOD level of Dongjin river ranged from 2.84 to 6.45 mg/L, which would be in a II$\sim$IV grade of the potable water criter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Averaged BOD level of downstream DJ6(After Jeongupcheon confluence) was 4.07 mg/L. The average COD level of Dongjin river ranged from 11.20 to 32.96 mg/L. COD level of DJ6 rapidly increased rapidly after the junction of Dongjin river and Jungupcheon because it showed the latter had relatively high pollution level. T-N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 in all sites of Dongjin river ranged through 4.16 to 5.84 mg/L. T-P examined high concentration than another thing point by 0.19 mg/L after Jeongupcheon confluence as BOD and COD. COD of main stream was expressed high concentration to dry season after rainy season. In case of T-P, pollution degree of dry season before rainy season appeared and examined that quality of water was worsened go by dry season after rainy season. The water quality of Dongjin river was deteriorated with inflow of Jungupcheon polluted by municipal and industrial sites near Jungup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