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아용 기능성 게임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 Android App Development - 'Play with Hangul' which has function of Game and Note of the Wrong Answers (게임 및 오답 단어장 기능을 갖는 단어 학습 앱 '한글아 놀자' 개발)

  • Jeong, Yong-Seok;Lee, Tae-Seong;Lee, Hyun-Woo;Kang, Hyun-Ky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156-160
    • /
    • 2014
  • 본 논문은 사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글 뜻풀이를 하여 한글 단어를 맞추는 앱 어플리케이션 '한글아 놀자'의 설계에 대하여 서술한다. '한글아 놀자'는 게임을 통하여 사용자가 쉽게 한글 단어를 학습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앱 어플리케이션으로 기존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사한 어플리케이션들과 달리 특정 층을 대상으로 잡지 않아, 일반인도 흥미를 가지고 학습 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 층을 확보 하여 한글 학습의 접근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게임을 진행 하며 잘 몰랐던 단어들은 오답 노트를 통하여 피드백을 해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신의 단어장에 추가하여 언제든지 복습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 외에도 '한글아 놀자'는 사전 데이터를 가지고 동작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잘 쓰이지 않는 단어, 옛말, 사자성어등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한글의 활용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접하는 단어의 다양성을 높이는데 주력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Image Block Linked Contents to Improve Children's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 (유아의 시지각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이미지 블록 연동형 콘텐츠 구성과 구현)

  • Kwak, Chang-Sub;Lee, Young-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9
    • /
    • pp.76-84
    • /
    • 2022
  • In this paper, in order to compose the visual percep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that can be linked with the IPUZZLE image block, an interactive content device that utilizes photos and videos of smartphones. Four areas of visual memory, visual continuity, spatial relationship, and visual discrimination were derived and the content operation, application method, and scenario were written. It was intended to continuously give and induce children's desire to participate in training by designing the content image and developing the existing learning terrain visual and perceptual cognitive function training materials in the form of mobile mini-games. Experiential activities were conducted for general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using the developed contents, and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concentration, effect, and effect compared to basic puzzle toys. It is expected that this thesis will be a meaningful data for the study of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ctivities based on digital toys and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