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스트레스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9초

유아의 기질 및 성격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우울 수준의 차이 (The Correlation between JTCI3-6 and Mother's SRI and BDI)

  • 김지영;이지현;성원영;명성민;강형원;김지훤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3-54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at correlation between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3-6) and Mother's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Methods : We investigated 48 cases of 3-6 year old infants. Mothers of infants answered that questionnaire about temperament, character of infants and stress, depression of themselves. JTCI3-6 and SRI, BDI were used to get to know that answers. Results : Infants of mothers with high stress levels were lower than infants of mothers with low stress levels in cooperativeness. Infants of mothers with high depression levels were lower than infants of mothers with low depression levels in cooperativeness. Stress of mothers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cooperativeness in temperament of infants. Depression of mothers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cooperativeness in character of infants. Conclusions : Stress and depression of mothers were negative correlated with cooperativeness in character of infants.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적 역할 (The Mediating Roles of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 박미자;박보경;임희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257-27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job stress. Methods: Four hundred and fifty child care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e.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uses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we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tress. Second,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e.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uses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Third,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was negatively linked to job stress. Lastly,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job stress, and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es of emotion and job stre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 emotional intelligenc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re important in order to reduc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한 유머감각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in the Relation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 이유신;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106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Methods: Participants were 29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83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eachers completed a rating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ir demographic variables, job stress, sense of humor, and happi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happiness. And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happi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sense of humor predicted their happines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happiness among those who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had no relationship with their happiness, especially for those with the highest level of sense of humor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that having a sense of humor might be valuable for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buffer the link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스마트미디어 방임적 중재 및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과다사용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and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 장지우;김선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19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ternal parenting stres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and the over use of smart media in preschool children. Methods: Quant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stress, smart media neglect mediation, and over use of smart media in preschool childre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neglectful smart media mediation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was verified using the Amos 23.0 and SPSS 26.0 programs Results: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In addition, mother's neglectful mediation of smart media 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er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t role of maternal stress in preschool children's over use of smart media. And maternal competence such as supervision and limit setting is an important role in preschool children's use of smart media,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and divers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reduce.

피트니스 트래커를 활용한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관련 생체지표 특성 경향과 심리척도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related biomarker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scales of daycare teachers using fitness trackers)

  • 이정민;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5-99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empirically analyze and manage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stress-related physiological indicators measured by a fitness tracker.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7 childcare teachers in Gyeonggi-do and wore Garmin's wearable fitness tracker Vivosmart 4 for 15 days for three months.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analyzed for mean, SD, ANOVA, and correlation using JAMOVI 2.00. Results: First, among the daily changes of physiological indicators measured by a fitness tracker, the data collected on Mondays were significant. On Mondays, the stress index was high, the duration of the rest period was short, and the sleep time was short. The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body battery which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duration of the rest period, heart rate variability, stress, and activity level. Also, the duration of deep slee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low degree of stres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indicators and the biomarkers measured by fitness trackers. Conclusion/Implications: Stress research using a fitness tracker is big data, and in-depth analysis is possible. Fitness trackers can collect and utilize repeated measurement data for each individual childcare teacher.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감정어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y Activities in Forest on the Emotional Vocabulary Change of Children)

  • 장현희;김미진;윤숙영;최병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3-12
    • /
    • 2019
  • 본 연구는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감정어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G시에 소재한 환경연수에 방문한 만 4~5세 유아 498명을 대상으로 1시간 동안 숲놀이 활동을 하였다. 그 결과 긍정어휘는 숲놀이 전 0.95±0.78개서 숲놀이 후 1.15±1.21개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03), 부정어휘는 1.27±1.58개에서 0.41±1.10개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 남자유아의 긍정어휘는 숲놀이 전 0.96±0.82개서 숲놀이후 1.36±1.24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 부정어휘는 숲놀이 전1.42±1.74개서 숲놀이 후0.55±1.30개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 여자유아의 긍정어휘는 1.12±1.37개에서 0.26±0.26개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0), 긍정어휘 증가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851). 만4세 유아의 긍정어휘는 숲놀이 전 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471), 부정어휘는 숲놀이 전 1.04±1.42개서 숲놀이 후 0.41±1.16개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 만 5세 유아의 긍정어휘는 숲놀이 전 0.96±0.85개서 숲놀이 후 1.23±1.21개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부정어휘의 경우 1.41±1.65개에서 0.41±1.16개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 본 연구의 결과 숲속에서 다양한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 활동은 자연과 직접적인 접촉으로 정서적인 해방감, 긴장감 완화,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주어 부정어휘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지기 Salmonella typhimurium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질 단백질의 동정 및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 (Identification and Chararterization of Stationary-phase Specific Cytosolic Protein in Salmonella typhimurium)

  • 유아영;김영희;유종언;김삼웅;백형석;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98-304
    • /
    • 2007
  • Salmoenella는 대표적인 intracellular pathogen으로 숙주의 면역 세포인 macrophage 내에서 살아남아 이들을 매개로 숙주의 몸 전체를 이동해 가면서 전신성 감염을 일으킨다. 살모넬라는 숙주 세포 내부의 이러한 극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어 기작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정지기 Salmonella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에 주목하였다. 정지기 상태의 Salmonella에서 약 20 kDa의 단백질이 특이적으로 많이 발현되었으며, 세포질 분획을 통해 이 단백질이 세포질 부분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MALDI-TOF 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이 $\b{D}NA$ binding $\b{p}rotein$ in $\b{s}tationary$ phase (Dps)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Dps 단백질은 스트레스가 주어진 상황에서 DNA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DNA가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트레스로부터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의 연구를 위하여 과발현하여 정제한 Dps 단백질을 토끼에 주사하여 Dps 특이적인 항체를 제조하였다. dps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자 단백질을 알기 위하여 다양한 S. typhimrium 돌연변이주들 내에서의 Dps 단백질양을 조사하였다.

유아대상 동요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Singing Activities for Children)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18-228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대상 동요활동의 효과성을 살피기 위해, 지난 16년 간 국내에서 이루어진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관련된 요인에 대해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요인들의 변화추이를 살피기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동요활동 관련 요인들의 전체효과크기와 요인군들은 모두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요인군과 문화예술적 요인군은 큰효과크기를 보인 반면, 심리 정서적 요인군은 중간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군의 하부요인은 타인인식능력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자연친화적행동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 정서적 요인군의 하부요인 중 자기표현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은 큰효과크기를 스트레스억제와 정서지능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적 요인군의 하부요인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창의적 능력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큰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연도에 따른 효과크기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동요활동 관련 요인들의 전체효과크기와 사회적 요인군, 심리 정서적 요인군, 문화예술적 요인군 등 각 요인군 별 효과크기 변화추이가 최근 출판물에 가까울수록 활동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주목할 만한 시사점은 동요활동을 통한 효과에 있어 상대적으로 미진한 심리 정서적 효과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노력이 있어야 하며, 현 유야 교육관점에 맞는 창의력 효과 증진을 위한 체계화된 동요활동 구성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8-52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심리적소진과 관련하여 지난 20여년 간 국내에서 연구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리적소진 관련요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발요인과 억제요인들의 전체효과크기와 요인군, 하부요인, 정적 부적효과요인 모두 유의미한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유발요인군은 큰효과크기를 가진 업무상문제요인군이 중간효과크기를 가진 부정적관계요인군 보다 상대적으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부정적관계요인군의 하부요인 중, 큰효과크기를 가진 원장과의 부정적 관계를 제외한 모든 하부요인이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넷째, 업무상문제요인군의 하부요인은 상대적으로 업무스트레스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그 다음 역할갈등, 업무과다, 역할모호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억제요인군 별 효과크기는 상대적으로 회복탄력성요인군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그 다음 조직지원요인군, 교사효능감요인군, 사회적지지요인군, 감정노동요인군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억제요인군 중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감정노동요인군의 내면적, 자연적, 표면적행동요인, 조직지원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조직지원요인과 교사효능감요인군의 일반교사효능감요인, 사회적지지의요인군의 직장 내 외요인, 사회적지지전체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군이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일곱째, 효과요인에 있어, 직무만족, 우울, 이직의도요인은 모두 큰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선행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객관적 결과를 살피기 위한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형 부모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PARENTING STRESS INDEX)

  • 염현경;신윤오;이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70-78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형 부모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Abidin의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Parenting Stress Index)의 적용을 통해 기초연구가 수행되었다. 1차 예비조사는 $3{\sim}12$세 아동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382부의 데이타로 요인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영역의 문항 47개 문항 중 29개 문항, 5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부모영역의 문항 54개 문항 중 28개 문항,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1차 분석에서 추출된 57개 문항에 대해 2차 예비 조사에서는 만 $3{\sim}6$세 유아의 부모로부터 수집한 392부의 데이터로 재분석하였다. 문항변별도 분석을 위해 문항-총점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r=.20 이하의 문항을 삭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와 구조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구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영역에서는'부모강화', '수용성', '주의산만성', '요구성'의 4개 요인, 24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아동영역의 전체 공통분산 가운데 설명되는 공통분산은 82.05%로 나타났다. 부모영역에서는'역할제한', '우울감', '사회적 고립', '건강', '배우자 관계'의 5개 요인, 24개 문항이 추출되었다. 부모영역의 전체 공통분산 가운데 설명되는 공통분산은 82.40%로 나타났다.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 지수를 산출하였는데, 아동영역에서는 전체 신뢰도 ${\alpha}$=.81을 나타냈고, 각 요인별로 .69, .70, .67, .66을 나타냈다. 부모영역의 신뢰도 지수는 ${\alpha}$=.83이며 각 요인별로 .73, .70, .70, .55, .73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미국판 PSI 척도를 적용하여 한국에서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를 한국문화에 알맞게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따라서 추후 국내 문화에 알맞은 문항과 요인을 추가한 2차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